1·8 항쟁
1·8 항쟁(一·八抗爭)은 1987년 9월 17일부터 1988년 1월 8일까지 대한민국 광주광역시의 조선대학교에서 일어난 대학개혁운동이자 학원민주화운동이다. 일각에서는 조선대 사태라고도 한다.[1] 사건 개요호남 지역 민중들에 의해 설립된 민립대학인 조선대학교를 사유화(私有化)하고자 대학 설립 당시 '설립동지회 회장'이었던 박철웅은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1982년 불법으로 정관을 변경하였고 부정입학, 교수 해임, 교수 및 학생들에 대한 폭언과 폭행, 공금 횡령을 하였다. 1986년에는 교수들의 시국선언을 막기 위해 매일 아침 7시에 전체 교수 및 교직원을 운동장으로 집합시켜 출석을 부르고 노교수, 여교수 할 것 없이 운동장을 두 바퀴씩 구보하게 한 다음 총장에게 충성서약을 하게 하는 등[2] 사건이 있었다. 온갖 전횡을 일삼던[1] 박철웅 총장과 그 일가에 항거하였다.[3] 제5공화국 막바지인 1987년 반독재투쟁과 맞물려 전개된 '박철웅 총장 퇴진 및 민립대학 환원' 투쟁(학생, 교수, 동문들이 중심) 으로서 113일간의 장기농성[4] (학부모 또한 가세) 이 있었다. 1988년 1월 8일 새벽 4시 학내에 공권력 투입으로 막을 내렸다.[5][6][7][8] ![]() 항쟁 기간 동안 투입된 경찰력이 1,500여명에 이르며 강제진압과정에서 2명이 중화상을 입었으며, 1명이 투신하였고 45명이 구속되었다.[9][10] 1.8 항쟁을 계기로 교육부가 박철웅 총장과 기존의 이사진을 전원 해임하였고[11][12] 2월에는 학생, 교수, 동문, 학부모가 동참하는 '대학자치운영협의회'가 출범했으며 4월 해직 교수 24명이 복직한 데 이어 9월 29일 이돈명 총장이 취임하면서[13] 학원민주화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1·8 항쟁은 조선대 역사에서 하나의 분수령을 이루는 사건으로 민립대학의 정통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한 대학민주화 운동의 대표적 사례로 평가받고 있고[14] 2007년 1월 7일 학교 공식기념일로 제정되었으며[14] 2012년 24주년을 맞이하였다.[15] 각주
같이 보기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