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1964년 10월 10일부터 24일까지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18회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은메달 두 개, 동메달 한 개를 땄다. 이 대회에서 대한민국은 사상 최초로 은메달을 2개를 땄다.
메달 집계
종목별 참가 선수 및 메달 집계
종목
|
참가 선수
|
|
|
|
메달 합계
|
역도
|
7
|
|
|
|
0
|
육상
|
17
|
|
|
|
0
|
사격
|
10
|
|
|
|
0
|
체조
|
9
|
|
|
|
0
|
펜싱
|
5*
|
|
|
|
0
|
합계
|
154
|
0
|
2
|
1
|
3
|
메달리스트
종목별 성적
근대5종
개인 경기
농구
- 예선 (B조)
나라
|
승
|
패
|
득점
|
실점
|
득실
|
승점
|
타이
|
미국
|
7 |
0 |
569 |
333 |
+236 |
14 |
|
브라질
|
5 |
2 |
473 |
452 |
+21 |
12 |
1승−0패
|
유고슬라비아
|
5 |
2 |
529 |
453 |
+76 |
12 |
0승−1패
|
우루과이
|
4 |
3 |
472 |
482 |
−10 |
11 |
|
핀란드
|
3 |
4 |
409 |
475 |
−66 |
10 |
|
오스트레일리아
|
2 |
5 |
434 |
460 |
−26 |
9 |
1승−0패
|
페루
|
2 |
5 |
431 |
453 |
−22 |
9 |
0승−1패
|
대한민국
|
0 |
7 |
432 |
641 |
−209 |
7 |
|
- 순위결정전 (13-16위)
|
준결승 (10월 20일)
|
|
|
13위 결정전 (10월 22일)
|
|
|
|
|
|
|
|
|
|
|
A7
|
헝가리
|
99
|
|
|
B8
|
대한민국
|
83
|
|
|
|
|
|
A7
|
헝가리
|
68
|
|
|
|
A8
|
캐나다
|
65
|
|
B7
|
페루
|
81
|
|
|
|
A8
|
캐나다
|
82
|
|
|
15위 결정전 (10월 22일)
|
|
|
B7
|
대한민국
|
66
|
|
|
B8
|
페루
|
71
|
- 선수명단
- 정상윤, 정세훈, 주기선 (코치)
- 김영기, 문현장, 김영일, 정진봉, 하의건, 방열, 김무현, 김인건, 신동파, 김승규, 김종선, 이병구
다이빙
- 남자
- 여자
레슬링
- 자유형
남자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상대 /결과)
|
16강전 (상대 /결과)
|
8강전 (상대 /결과)
|
준결승 (상대 /결과)
|
패자부활전 1회전 (상대 /결과)
|
패자부활전 2회전 (상대 /결과)
|
결승 (상대 /결과)
|
최종 순위
|
사이클
배구
- 남자
날짜
|
대한민국
|
세트 스코어
|
상대 팀
|
1세트
|
2세트
|
3세트
|
4세트
|
5세트
|
총득점
|
- 여자
날짜
|
대한민국
|
세트 스코어
|
상대 팀
|
1세트
|
2세트
|
3세트
|
4세트
|
5세트
|
총득점
|
복싱
사격
남자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스코어
|
순위
|
스코어
|
최종 순위
|
역도
선수
|
세부 종목
|
추상
|
인상
|
용상
|
합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유도
남자
- 범례 : W - Waza-ari, AW - Awase-waza, WCW - Waza-ari-chikai-waza, KKG - Kusure-kami-shiho-gatame
육상
남자
트랙 / 도로 경기
남자 400m 종목에 나갈 예정이었던 장종길 선수는 선수본단의 착오로 경기 시간이 변경된 사실을 통지받지 못하면서, 400m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고 자동 탈락했다.[1]
- 필드 경기
여자
트랙 / 도로 경기
- 필드 경기
조정
8인 종목 한 경기에만 출전하였으며, 크루 8명, 콕스 2명, 후보 2명에 총 12명이 파견되었다.[2] 참가한 12인은 지덕한, 김규산, 윤영웅, 한영준, 김헌종, 박신영, 최신일, 이상우, 천성태, 안종득, 유혁근, 이은산 등이다.[3]
- 남자
팀
|
세부 종목
|
예선
|
패자부활전
|
순위결정전
|
결선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최종 순위
|
대한민국
|
에이트
|
6:46.13
|
4
|
6:36.24
|
3
|
6:31.80
|
12
|
진출 실패
|
12
|
축구
- 조별리그 (C조)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체코슬로바키아
|
3 |
3 |
0 |
0 |
12 |
2 |
+10 |
6
|
아랍 연합 공화국
|
3 |
1 |
1 |
1 |
12 |
6 |
+6 |
3
|
브라질
|
3 |
1 |
1 |
1 |
5 |
2 |
+3 |
3
|
대한민국
|
3 |
0 |
0 |
3 |
1 |
20 |
−19 |
0
|
체조
한수희, 서재규, 이광재, 김광덕, 김충태, 이덕분, 정봉순, 최영숙, 정이광, 강수일 등 총 10명의 선수와 2명의 코치가 출전하였으나[3] 모두 순위권에 이르지는 못했다. 자세한 결과는 본문 항목 참조.
펜싱
남자
선수
|
세부 종목
|
1차 예선
|
2차 예선
|
32강전
|
16강전
|
8강전
|
4강전
|
결승 / 3,4위전
|
스코어 (순위)
|
스코어 (순위)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순위
|
신두호
|
포일 개인
|
1-4 (5위) 탈락
|
진출 실패
|
김만식
|
1-4 (5위) 탈락
|
진출 실패
|
한명석
|
0-5 (6위) 탈락
|
진출 실패
|
신두호 김만식 한명석 김창환
|
포일 단체
|
0-2 (4위) 탈락
|
경기 없음
|
진출 실패
|
신두호
|
에페 개인
|
4-3 (4위) Q2
|
1-5 (7위) 탈락
|
진출 실패
|
김만식
|
1-6 (7위) 탈락
|
진출 실패
|
한명석
|
3-5 (6위) 탈락
|
진출 실패
|
- 여자
선수
|
세부 종목
|
1차 예선
|
2차 예선
|
32강전
|
16강전
|
8강전
|
4강전
|
결승 / 3,4위전
|
스코어 (순위)
|
스코어 (순위)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순위
|
신광숙
|
포일 개인
|
1-5 (7위) 탈락
|
진출 실패
|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