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 전국교육대학생 총동맹휴업1999년 전국교육대학생 총동맹휴업은 1999년 전국의 교육대학생들이 보수교육을 통해 중등교원 자격소지자를 초등교원으로 임용하는 중초임용에 반대해 전국교육대학생대표자협의회의 주도로 학사일정을 거부하고 약 4주간 동맹휴업에 들어간 사건이다. 배경국민의 정부 초대 교육부 장관인 이해찬은 취임 후 여러 가지 교육 개혁 정책을 펼쳤다. 그 중 대표적인 것 하나가 1999년 실시된 교원정년을 65세에서 62세로 조정하는 내용의 교원정년 단축이다. 또 이로 인한 연금법 개정 파동[1]과 함께 정년 퇴직자와 명예 퇴직자가 급증하면서 초등교원의 급격한 부족 사태가 발생했다.[2]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년 퇴직, 명예 퇴직한 교사를 다시 기간제 교사로 채용하고 교과전담 교사라는 이름으로 중등교원 자격소지자를 보수교육을 통해 기간제 교사로 채용하기로 했는데, 추가로 중등교원 자격 소지자를 단시간의 보수교육[3]을 통해 초등 교원 자격을 발급하는 방식으로 해결하고자 하였다.[4] 전국교육대학생대표자협의회는 보수교육을 통한 중초임용이 교원의 전문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초등 예비교사의 생존권을 위협한다고 판단해 전국 교육대학생들의 총동맹휴업을 통해 저항했다. 동맹휴업 진행
교대 교수들과 연대11월 11일 오후 전국교육대학교교수협의회연합회의 주도로 전국 교대 교수 260여명이 서울 세종문화회관 분수대 광장과 정부중앙청사 앞에서 보수교육 반대 집회를 진행했다.[6] 결과더 이상 이와같은 보수교육을 실시 하지 않는다는 것을 교육부의 공문을 통해 회신받았고 언론공개를 통해서도 확인 받았다. (하지만 이 약속은 지켜지지 않아 2001년 전국교육대학생 총동맹휴업의 근거가 되었다.) 의의와 한계정세에 대한 판단이 부족해 제대로 준비되지 못한 상황에서 사안에 맞춰 급하게 돌입한 총동맹휴업이었다. 실제 보수교육이 이루어질 것에 대한 정보 획득과 대응 전략이 사전에 이루어지지 못했고 이미 교육대학교에서 보수교육생들이 교육을 받고 있는 것을 보고 난 뒤에 상황 판단이 이루어졌다. 보수교육이 교직개방의 큰 흐름의 일부라는점을 정확히 정리하지 못하고 사안 자체에만 집중해 이부분에만 매몰되었다. 보수교육으로는 교원의 전문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사실을 사회적으로 확인받았다. 학생들의 교육투쟁 사상 처음으로 교육부 장관 면담이 이루어졌다. 참조
같이 보기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