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하계 올림픽 남자 농구
|
 Basketball at the Beijing 2008 Men
|
개최국
|
중화인민공화국
|
개최 도시
|
베이징 (Beijing)
|
개최 기간
|
8월 10일 ~ 24일
|
경기장
|
우커송 실내 체육관
|
참가국
|
12개국
|
메달리스트 |
|
2008년 하계 올림픽의 농구 남자 종목은 8월 10일부터 8월 24일까지 중화인민공화국의 베이징 우커송 실내 체육관에서 열렸으며 미국이 우승하였다.
경기장
2008년 하계 올림픽 농구 경기는 개최 도시인 베이징에 있는 우커송 실내 체육관에서 경기가 열렸다.
경기 일정
8월 |
9일 토 |
10일 일 |
11일 월 |
12일 화 |
13일 수 |
14일 목 |
15일 금 |
16일 토 |
17일 일 |
18일 월 |
19일 화 |
20일 수 |
21일 목 |
22일 금 |
23일 토 |
24일 일
|
남자
|
|
|
|
|
|
|
|
|
|
|
|
|
|
|
|
|
참가국
국가 |
예선 통과 |
진출 확정일 |
올림픽 출전 횟수 |
FIBA 세계 랭킹
|
중화인민공화국 |
올림픽 개최국 |
2001년 7월 13일
|
6회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
11위
|
스페인 |
세계 대회 우승국 |
2006년 9월 3일
|
9회 (1960, 1964, 1968, 1972, 1980, 1984, 1988, 1992, 2000, 2004) |
3위
|
이란 |
아시아 대회 우승국 |
2007년 8월 5일
|
1회 (1948) |
45위
|
오스트레일리아 |
오세아니아 대회 우승국 |
2007년 8월 22일
|
11회 (1956, 1964,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
9위
|
앙골라 |
아프리카 대회 우승국 |
2007년 8월 25일
|
4회 (1992, 1996, 2000, 2004) |
14위
|
아르헨티나 |
아메리카 대회 준우승국 |
2007년 9월 1일
|
4회 (1948, 1952, 1996, 2004) |
1위
|
미국 |
아메리카 대회 우승국 |
2007년 9월 1일
|
15회 (1936,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
2위
|
러시아 |
유럽 대회 우승국 |
2007년 9월 15일
|
11회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8, 1992, 2000) |
16위
|
리투아니아 |
유럽 대회 3위[1] |
2007년 9월 16일
|
4회 (1992, 1996, 2000, 2004) |
5위
|
크로아티아 |
최종 예선 |
2008년 7월 19일 |
2회 (1992, 1996) |
20위
|
그리스 |
최종 예선 |
2008년 7월 19일 |
3회 (1952, 1996, 2004) |
6위
|
독일 |
최종 예선 |
2008년 7월 20일 |
4회 (1936, 1972, 1984, 1992) |
9위
|
2008년 하계 올림픽 남자 농구 참가국
대회 규정
- 12개의 팀은 6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예선전을 치른다.
- 각 조 4위까지의 팀이 8강 토너먼트전에 진출한다.
- 조 5위를 차지한 두 팀은 예선 기록에 따라 9위와 10위를 차지한다.
- 조 6위를 차지한 두 팀은 예선 기록에 따라 11위와 12위를 차지한다.
- 8강 대진은 다음과 같이 짠다. - A조 1위 vs B조 4위 / A조 2위 vs B조 3위 / A조 3위 vs B조 2위 / A조 4위 vs B조 1위
- 8강에서 탈락한 네 팀도 예선 기록에 따라 5~8위를 차지하게 된다.
- 8강에서 승리한 팀들은 다음과 같은 대진에 따라 4강전을 치른다. - A1 vs B2 승자 : A3 vs B2 승자 // A2 vs B3 승자 : A4 vs B1 승자
- 4강에서 승리한 팀들은 결승에서 금메달을 두고 대결하며 패배한 팀들은 3-4위전에서 동메달을 두고 대결한다.
- 승패 동률 시 판단 기준
- 승자승
- 동률 팀간의 경기에서의 득점 평균
- 모든 조별 예선 경기에서의 득점 평균
경기 결과
모든 시간은 중국 표준시 기준이다. (UTC+8)
조별 리그
A조
팀
|
승
|
패
|
총득점
|
총실점
|
득실차
|
승점[2]
|
리투아니아[3]
|
4 |
1 |
425 |
400 |
+25 |
9
|
아르헨티나
|
4 |
1 |
425 |
361 |
+64 |
9
|
크로아티아
|
3 |
2 |
399 |
380 |
+19 |
8
|
오스트레일리아
|
3 |
2 |
457 |
405 |
+52 |
8
|
러시아
|
1 |
4 |
387 |
406 |
-19 |
6
|
이란
|
0 |
5 |
323 |
464 |
-141 |
5
|
B조
팀
|
승
|
패
|
총득점
|
총실점
|
득실차
|
승점
|
미국
|
5 |
0 |
515 |
354 |
+161 |
10
|
스페인
|
4 |
1 |
418 |
369 |
+49 |
9
|
그리스
|
3 |
2 |
415 |
375 |
+40 |
8
|
중화인민공화국
|
2 |
3 |
366 |
400 |
-34 |
7
|
독일
|
1 |
4 |
330 |
390 |
-60 |
6
|
앙골라
|
0 |
5 |
321 |
477 |
-156 |
5
|
토너먼트
8강
4강
3·4위전
결승전
통계
득점
리바운드
어시스트
스틸
블로킹
부분별 통계
최종 순위
순위 |
국가 |
경기 |
승 |
패 |
PF |
PA |
PD |
스탠딩 |
GAvg |
New rank
|
결승전
|
 |
미국 |
8 |
8 |
0 |
850 |
627 |
+223 |
|
|
2
|
 |
스페인 |
8 |
6 |
2 |
688 |
632 |
+56 |
|
|
3
|
4강
|
 |
아르헨티나 |
8 |
6 |
2 |
673 |
615 |
+58 |
|
|
1
|
4 |
리투아니아 |
8 |
5 |
3 |
680 |
646 |
+34 |
|
|
6
|
8강
|
5 |
그리스 |
6 |
3 |
3 |
493 |
455 |
+38 |
B-3rd |
1.117 |
4
|
6 |
크로아티아 |
6 |
3 |
3 |
458 |
452 |
+6 |
A-3rd |
1.050 |
18
|
7 |
오스트레일리아 |
6 |
3 |
3 |
542 |
521 |
+21 |
A-4th |
|
9
|
8 |
중화인민공화국 |
6 |
2 |
4 |
434 |
494 |
-60 |
|
|
10
|
조별리그 5위
|
9 |
러시아 |
5 |
1 |
4 |
387 |
406 |
-19 |
-- |
0.953 |
15
|
10 |
독일 |
5 |
1 |
4 |
330 |
390 |
-60 |
-- |
0.846 |
7
|
조별리그 6위
|
11 |
이란 |
5 |
0 |
5 |
323 |
464 |
-141 |
-- |
0.696 |
23
|
12 |
앙골라 |
5 |
0 |
5 |
321 |
477 |
-156 |
-- |
0.673 |
12
|
메달리스트
같이 보기
각주
- ↑ 원래는 2007년 유로바스켓 2위에게 올림픽 진출권이 주어지지만, 2위였던 스페인이 이미 세계 대회 우승국 자격으로 진출이 확정됨에 따라, 3위에게 진출권이 주어졌다.
- ↑ 승점은 이겼을 때 2점, 졌을 때 1점으로 계산한다.
- ↑ 연녹색 팀은 8강 진출팀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