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일본 시리즈 (일본어 : 2011年の日本シリーズ , 영어 : 2011 Japan Series )는 2011년 11월 12일 부터 11월 20일 까지 열린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팀 주니치 드래건스 와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에 의한 제62회 일본 프로 야구 일본 시리즈 경기이다. 또한 2011년 대회부터는 게임 소프트웨어 회사이자 일본 야구 기구 의 파트너(공식 스폰서)인 코나미 [ 1] 가 대회 특별 협찬 스폰서로 참여했고 대회명도 ‘코나미 일본 시리즈 2011 ’(コナミ日本シリーズ2011 )라는 이름으로 개최됐다.
총 7차례의 접전을 펼친 끝에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가 주니치 드래건스를 누르고 4승 3패의 성적을 기록, 2003년 이후 8년 만에 5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개요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 팀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퍼시픽 리그 우승)와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팀 주니치 드래건스 (센트럴 리그 우승)와의 맞대결이 성사됐다. 이는 양팀의 일본 시리즈 맞대결은 소프트뱅크의 전신이자 모기업인 다이에 시절이던 1999년 이후 두 번째이다. 나고야와 후쿠오카 연고지를 두고 있는 구단의 일본 시리즈 맞대결은 주니치와 니시테쓰 가 맞붙었던 1954년 을 포함하면 세 번째다. 단, 2004년 일본 시리즈 에서도 맞대결할 가능성이 있었지만 그해에 도입된 일본 시리즈 출전권을 내건 플레이오프 제도 에 의해 정규 시즌 1위 팀 호크스는 시즌 2위 팀 세이부 라이온스에게 패한 바람에 그 대결은 2011년까지 이뤄지지 못했다.
금년도 일본 시리즈 우승 감독이 된 아키야마 고지 는 선수 시절에 일본 시리즈 MVP를 두 차례 획득, 일본 시리즈 MVP와 우승 감독을 양쪽 모두 석권한 것은 가와카미 데쓰하루 , 모리 마사아키 , 나가시마 시게오 에 이은 역대 4번째가 됐다(그 후 구도 기미야스 도 기록).
소프트뱅크는 11월 25일부터 대만 에서 개최되는 2011년 아시아 시리즈 의 일본 대표로 출전하게 됐다.
금년도 일본 시리즈의 입장료 수입은 역대 최다 액수가 되는 15억 6,701만 3,100엔이다. 선수와 감독 등에 대한 분배금은 우승 팀 소프트뱅크가 역대 최고인 1억 2,462만 5,839엔, 주니치는 8,308만 3,892엔이다. 구단으로의 분배금은 양 구단 모두 3억 5,411만 1,829엔이었다.[ 2]
동일본 대지진 의 영향으로 시즌 개막 자체가 지연되면서 일본 시리즈 역사상 1950년 에 이어 두 번째로 가장 늦게 개최하거나 종료됐다.[ 3] 그해 일본 시리즈는 6차전까지 모두 원정팀이 승리했고 7차전에 홈팀인 소프트뱅크가 승리하는 진기록을 세웠다.
감독
개최 구장
☆·★=클라이맥스 시리즈·파이널의 어드밴티지 1승 1패분
경기 일정
동일본 대지진 의 영향으로 정규 시즌 개막이 늦었기 때문에 당초 예정보다 개최 날짜가 변경됐다.[ 4]
어느 쪽이 먼저 4승을 한 시점에서 본 시리즈는 종료한다.
후쿠오카 Yahoo! JAPAN 돔에서 개최되는 1·2·6·7차전은 지명 타자 제가 채택됐다.
연장전은 15회까지, 2011년도 정규 시즌에 채택된 시간 제한에 관한 특례 조치(소위 ‘3시간 30분 룰’)가 이 대회에서는 채택되지 않았다.
1차전은 낮 경기로 개최됐지만 이것은 1994년 6차전 이후 17년 만의 일이다.
경기 기록
코나미 일본 시리즈 2011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경기 시간
관중수
11월 12일(토)
1차전
주니치 드래건스
2 - 1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후쿠오카 Yahoo! JAPAN 돔
13시 00분
3시간 31분
34,457명
11월 13일(일)
2차전
주니치 드래건스
2 - 1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8시 16분
3시간 44분
34,758명
11월 14일(월)
이동일
11월 15일(화)
3차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4 - 2
주니치 드래건스
나고야 돔
18시 11분
3시간 22분
38,041명
11월 16일(수)
4차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 - 1
주니치 드래건스
18시 35분
3시간 40분
38,041명
11월 17일(목)
5차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5 - 0
주니치 드래건스
18시 15분
3시간 49분
38,051명
11월 18일(금)
이동일
11월 19일(토)
6차전
주니치 드래건스
2 - 1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후쿠오카 Yahoo! JAPAN 돔
18시 17분
3시간 7분
34,927명
11월 20일(일)
7차전
주니치 드래건스
0 - 3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8시 33분
3시간 30분
34,737명
우승: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8년 만에 5번째)
일본 시리즈 경기 결과
1차전
팀
1
2
3
4
5
6
7
8
9
10
R
H
E
주니치
0
0
0
0
0
0
1
0
0
1
2
4
1
소프트뱅크
0
0
0
1
0
0
0
0
0
0
1
4
1
승리 투수 : 아사오 다쿠야 (1-0) 패전 투수 : 마하라 다카히로 (0-1) 세이브 : 이와세 히토키 (1S)홈런 : 주니치 – 와다 가즈히로 (7회 1점), 고이케 마사아키 (10회 1점)
2차전
11월 13일 - 후쿠오카 Yahoo! JAPAN 돔(연장 10회)
팀
1
2
3
4
5
6
7
8
9
10
R
H
E
주니치
0
0
0
0
0
0
1
0
0
1
2
7
0
소프트뱅크
0
0
0
0
0
0
1
0
0
0
1
8
0
승리 투수 : 히라이 마사후미 (1-0) 패전 투수 : 마하라 다카히로(0-2) 세이브 : 이와세 히토키(2S)
3차전
팀
1
2
3
4
5
6
7
8
9
R
H
E
소프트뱅크
1
0
0
2
0
0
0
1
0
4
12
1
주니치
0
0
0
0
0
1
0
1
0
2
4
1
승리 투수 : 셋쓰 다다시 (1-0) 패전 투수 : 멕시모 넬슨 (0-1) 세이브 : 브라이언 폴켄버그 (1S)홈런 : 소프트뱅크 – 다무라 히토시 (4회 2점), 호소카와 도루 (8회 1점)
4차전
팀
1
2
3
4
5
6
7
8
9
R
H
E
소프트뱅크
2
0
0
0
0
0
0
0
0
2
8
0
주니치
0
0
0
0
1
0
0
0
0
1
5
1
승리 투수 : D.J. 홀튼 (1-0) 패전 투수 : 가와이 유다이 (0-1) 세이브 : 브라이언 폴켄버그(2S)
5차전
팀
1
2
3
4
5
6
7
8
9
R
H
E
소프트뱅크
1
0
0
0
0
0
1
3
0
5
10
0
주니치
0
0
0
0
0
0
0
0
0
0
5
0
승리 투수 : 야마다 히로키 (1-0) 패전 투수 : 천웨이인 (0-1)
6차전
팀
1
2
3
4
5
6
7
8
9
R
H
E
주니치
2
0
0
0
0
0
0
0
0
2
5
0
소프트뱅크
0
0
0
1
0
0
0
0
0
1
5
0
승리 투수 : 요시미 가즈키 (1-0) 패전 투수 : 와다 쓰요시 (0-1) 세이브 : 아사오 다쿠야(1S)
7차전
팀
1
2
3
4
5
6
7
8
9
R
H
E
주니치
0
0
0
0
0
0
0
0
0
0
4
0
소프트뱅크
0
0
1
1
0
0
1
0
X
3
8
0
승리 투수 : 스기우치 도시야 (1-0) 패전 투수 : 야마이 다이스케 (0-1) 세이브 : 셋쓰 다다시(1S)
수상 선수
MVP
타율 0.320(22타수 8안타), 2타점을 기록, 2차전부터 6차전까지 5경기 연속 안타를 기록했다. 4차전과 5차전에서는 모두 첫 회에 결승타가 되는 선제 적시타를 때려냈다.[ 5]
감투상
2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1승 무패, 평균자책점 1.29(14이닝, 2자책점)을 기록했는데 특히 6차전에서 7과 2/3이닝, 1실점을 호투하면서 승리 투수가 됐고 주니치에서 가장 유일한 선발 승리 투수였다.
우수 선수상
2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7차전에서는 7이닝 동안 피안타 3개와 무실점으로 호투해 팀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합계로는 1승 무패, 평균자책점 1.59(14와 2/3이닝, 1자책점).
5차전과 6차전을 제외한 모든 경기에 등판, 일본 시리즈를 통해서 볼넷 1개와 무안타 무실점으로 호투했고 3차전과 4차전에서는 2세이브를 기록하면서 팀 승리수를 타이 기록으로 세운 것에 기여했다.
1차전에서는 와다 쓰요시 로부터 동점 홈런, 6차전에서도 역시 와다로부터 선제 적시 3루타를 때려내는 등 타율 2할 1푼 7리(23타수 5안타)를 기록하면서 합계 3타점을 기록했다. 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주니치 타선 가운데에서도 기염을 토해냈다.
2011년 대회에서는 MVP와 감투 선수상, 우수 선수상에 이어 일본 야구 기구의 스폰서인 코나미에서 아래의 상이 추가됐다.
타율 0.233(30타수 7안타)와 2타점을 기록했는데 4차전에서 4경기 연속 안타(이 기간에서의 타율은 0.375(16타수 6안타)), 6차전에서 요시미 가즈키, 7차전에서는 아사오 다쿠야로부터 적시타를 때려내는 등의 활약으로 팀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위의 3개 상은 대회 기간 중 ‘코나미 일본 시리즈 2011 스페셜 사이트’, KONAMI의 소셜 게임 ‘프로야구 드림 나인’ 등 팬 투표에 의해 결정됐다.
각주
↑ 일본 야구 기구의 파트너가 되고 있는 것은 사업 회사의 주식회사 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이지만 본 대회의 스폰서는 동 회사가 아닌 지주 회사의 코나미 본사이다.
↑ “過去最高の15億円=日本シリーズ入場料収入-プロ野球” . 《지지 닷컴》 (일본어). 2011년 12월 7일.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7일에 확인함 .
↑ 이후 2020년 일본 시리즈 가 11월 21일에 개최, 이듬해 2021년 일본 시리즈 가 11월 20일에 개최됐기 때문에 2021년 시점에서 역대 네 번째로 가장 늦은 일본 시리즈였다.
↑ 당초 예정은 10월 29일부터 11월 6일에 걸쳐 개최될 예정이었다.
↑ 참고로 40세 나이에 MVP로 선정된 것은 일본 시리즈 역대 최고령 기록이다(지금까지의 최고령 기록은 아키야마 고지가 1999년 에 기록한 37세였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