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은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의 아시아 지역 예선으로 아시아 축구 연맹(AFC)이 주관한다. 예선은 3단계에 걸쳐 진행되며 최종 예선에서 1, 2위를 차지한 팀은 본선에 직행한다.
참가 팀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 참가 팀의 시드는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본선 성적,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배정되었다. 상위 5개 팀은 최종 예선에 직행하며 하위 12개 팀은 1차 예선부터 치른다. 카타르는 예선이 시작되기 전에 기권했다.[1]
최종 예선에 직행하는 5개 팀
|
1차 예선부터 참가하는 12개 팀
|
|
|
1차 예선
A조
1차 예선 A조의 모든 경기는 중화 타이베이 가오슝에서 열렸다. 1차 예선 A조에서 1, 2위를 차지한 팀은 2차 예선에 진출한다.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베트남
|
10 |
4 |
3 |
1 |
0 |
9 |
2 |
+7
|
태국
|
9 |
4 |
3 |
0 |
1 |
10 |
2 |
+8
|
중화 타이베이
|
5 |
4 |
1 |
2 |
1 |
7 |
5 |
+2
|
미얀마
|
4 |
4 |
1 |
1 |
2 |
2 |
5 |
-3
|
홍콩
|
0 |
4 |
0 |
0 |
4 |
0 |
14 |
-14
|
B조
1차 예선 B조의 모든 경기는 방글라데시 다카에서 열렸다. 1차 예선 B조에서 1위를 차지한 팀은 2차 예선에 진출한다.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우즈베키스탄
|
6 |
2 |
2 |
0 |
0 |
4 |
1 |
+3
|
인도
|
3 |
2 |
1 |
0 |
1 |
4 |
1 |
+3
|
방글라데시
|
0 |
2 |
0 |
0 |
2 |
0 |
6 |
-6
|
플레이오프
우즈베키스탄과 인도는 승점, 골득실, 다득점, 상대 전적에서 모두 동률을 이루었다. 이에 따라 플레이오프를 통해 2차 예선 진출 팀을 가리게 되었다.
C조
1차 예선 C조의 모든 경기는 요르단 자르카에서 열렸다. 1차 예선 C조에서 1, 2위를 차지한 팀은 2차 예선에 진출한다.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이란
|
7 |
3 |
2 |
1 |
0 |
7 |
1 |
+6
|
요르단
|
5 |
3 |
1 |
2 |
0 |
8 |
2 |
+6
|
바레인
|
2 |
3 |
0 |
2 |
1 |
2 |
4 |
-2
|
팔레스타인
|
1 |
3 |
0 |
1 |
2 |
1 |
11 |
-10
|
2차 예선
2차 예선의 모든 경기는 요르단 암만에서 열렸다. 2차 예선에서 1위를 차지한 팀은 최종 예선에 진출한다.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태국
|
10 |
4 |
3 |
1 |
0 |
18 |
4 |
+14
|
우즈베키스탄
|
9 |
4 |
3 |
0 |
1 |
9 |
6 |
+3
|
베트남
|
7 |
4 |
2 |
1 |
1 |
8 |
5 |
+3
|
요르단
|
3 |
4 |
1 |
0 |
3 |
3 |
11 |
-8
|
이란
|
0 |
4 |
0 |
0 |
4 |
0 |
12 |
-12
|
이란 정부는 여자 축구 선수의 히잡 착용을 금지한 FIFA 규정 수용을 거부했다. 이에 따라 이란과의 모든 2차 예선 경기는 상대 팀(요르단, 베트남, 태국, 우즈베키스탄)의 3-0 몰수승으로 처리되었다.[2][3][4]
최종 예선
최종 예선의 모든 경기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난에서 열렸다. 최종 예선에서 1, 2위를 차지한 팀은 본선에 진출한다.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