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가리 는 2012년 7월 27일에서 8월 12일까지 영국 런던 에서 열린 제30회 하계 올림픽 에 참가했다. 헝가리는 안트베르펜 에서 열린 1920년 하계 올림픽 과 소련등의 공산국가 보이콧이 있었던 로스앤젤레스 의 1984년 하계 올림픽 을 제외한 모든 근대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였다. 헝가리 올림픽 위원회 (헝가리어 : Magyar Olimpiai Bizottság , MOB)는 1956년 하계 올림픽 이래 가장 적은 대표를 출전시켰다. 총 159명으로, 남자 97명, 여자 62명으로 구성된 헝가리 대표는 18종목에 참가하였다.
헝가리는 이 대회에서 금메달 8개, 은메달 4개, 동메달 5개를 획득하며 종합 9위에 랭크되었고, 1992년 하계 올림픽 이래 처음으로 톱10에 랭크되었다. 이들 중 3분의 1가량은 스프린트 카누에서 나왔고, 수영에서 3개의 메달이, 유도와 레슬링에서 각각 2개의 메달이 나왔다. 세명의 헝가리 선수는 런던에서 멀티메달을 획득하였는데, 이들 모두 스프린트 카누 선수였다. 1996년 이후 처음으로 헝가리는 수구에서 메달 획득에 실패하였다.
메달리스트 중에는 남자 안마 에서 24년 만에 헝가리의 4번째 세부종목 금메달을 획득한 체조 선수 배르키 크리시티안 , 베이징에서 안타깝게 노메달에 머물렀던 남자 해머던지기 금메달리스트 퍼시 크리시티안 이 있었다. 코바치 커털린 은 이 대회에서 금메달과 은메달을 한개씩 따내며 올림픽 통산 8개의 메달을 걸게 되었고, 헝가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카누 선수가 되었다. 수차례 유럽선수권 우승을 거두었던 수영 선수 체 라실로 는 동메달을 획득하며 통산 5번째 올림픽 메달을 획득, 헝가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수영 선수가 되었다. 한편, 전 대회 은메달리스트 주르터 다니앨 은 남자 평영에서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이 대회를 끝으로 은퇴하는 수영선수 리시토브 에버 는 2개의 세부종목에 참가하였는데, 이중 여자 10 km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2012년 11월 7일, 국제 올림픽 연맹 은 우즈베키스탄의 레슬링 선수 소슬란 티기에프 로부터 금지약물인 메틸헥사네아민 이 검출되어 동메달을 박탈하였다. 그에 따라 티기예프와의 동메달 결정전에서 졌던 허토시 가보르 는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1]
메달리스트
종목별 메달 집계
종목
합계
카누
3
2
1
6
수영
2
0
1
3
육상
1
0
0
1
펜싱
1
0
0
1
체조
1
0
0
1
유도
0
1
1
2
레슬링
0
1
2
3
근대5종
0
0
1
1
합계
8
4
6
18
대표
헝가리 올림픽 위원회 (헝가리어 : Magyar Olimpiai Bizottság , MOB)는 남자 97명, 여자 62명으로 구성된 18종목의 선수단을 런던에 파견하였다. 이는 1956년 하계 올림픽 이래 올림픽에 참가한 헝가리의 최소 규모의 선수단이다. 수구 와 남자 핸드볼 만이 이번 올림픽에 헝가리 대표로 단체종목에 참가한 팀들이다. 도로 사이클, 트라이애슬론, 그리고 역도에는 각 1명씩만 참가하였다. 수영에는 31명의 선수가 헝가리 대표로 참가하였는데, 이는 이번 대회 헝가리 선수단 내 최대 규모이다.
헝가리는 몇명의 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도 몇명 참가하였다. 이는 모두 셋으로, 그들은 스프린트 카약 선수들인 코바시 커털린 과 두섀프-여니치 너터셔 , 그리고 남자 수구 국가대표팀이었다. 두섀프-여니치는 헝가리 대표로 금메달을 3개 획득하였고, 이전에는 2000년에 구 유고연방 대표로 참가한 경력이 있다. 6명의 헝가리 선수들은 2012년 하계 올림픽이 그들의 5번째 올림픽이다: 그들은 여러 차례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던 스프린트 카누 선수 커매래르 졸탄 , 남자 수구 선수 카사스 터마시 , 탁구 선수 토트 크리시티너 , 펜싱 남자 에페 선수인 임레 게저 , 같은 종목의 여자 플뢰레 선수인 모허메드 어이더 , 그리고 요트 선수 가도르펄비 아론 이다. 더블트랩 사격 선수인 보그나르 리차드 선수는 45세로 팀내 최고령 선수이며, 수영 접영선수인 실라지 릴리아너 는 15살로 팀내 최연소 선수였다. 비로시 페터 는 3대회 연속으로 남자 수구 국가대표팀의 금메달을 이끈 공로로, 이 대회의 개막식의 헝가리 기수가 되었다.
이번 대회에 가장 주목받은 헝가리 선수로는 세차례 올림픽 은메달을 받은 수영 선수 체 라실로 , 체조 안마 선수이자 두차례 세계선수권 우승자인 배르키 크리시티안 , 해머던지기 선수이자 여러 차례 월드 챌린지에서 우승을 거둔 퍼시 크리시티안 , 그리고 펜싱 사브르 선수인 실라지 아론 이다.
다음은 헝가리 선수단으로 참가한 선수단 인원을 표로 정리한 것이다:
일별 메달
일차
날짜
합계
1일차
7월 28일
0
0
1
1
2일차
7월 29일
1
1
0
2
3일차
7월 30일
0
0
0
0
4일차
7월 31일
0
0
0
0
5일차
8월 1일
1
0
0
1
6일차
8월 2일
0
0
1
1
7일차
8월 3일
0
0
0
0
8일차
8월 4일
0
0
0
0
9일차
8월 5일
2
0
1
3
10일차
8월 6일
0
0
0
0
11일차
8월 7일
0
1
0
1
12일차
8월 8일
2
0
0
2
13일차
8월 9일
2
2
0
4
14일차
8월 10일
0
0
0
0
15일차
8월 11일
0
0
2
2
16일차
8월 12일
0
0
0
0
–
11월 7일[ 1]
0
0
1
1
합계
8
4
6
18
근대5종
남자, 여자 각각 2명의 근대5종 선수가 헝가리 대표로 올림픽 본선에 출전하였다.
선수
종목
펜싱(에페 1투셰)
수영(자유형 200m)
승마(종합마술 장애물)
사격/육상(10m 공기 권총)/(3000 m)
합계 점수
최종 순위
결과
순위
점수
시간
순위
점수
완주 기록
순위
점수
시간
순위
점수
커서 로배르트
남자부
20–15
=6
880
2:01.59
7
1344
0
1
1200
11:27.85
32
2252
5676
12
아담 마로시
20–15
=6
880
2:02.08
8
1336
0
2
1200
10:45.72
12
2420
5836
코바시 서롤터
여자부
11–24
=32
664
2:08.11
1
1264
680*
34
520
12:43.69
26
1948
4396
33
토트 어드리앤
24–11
2
976
2:17.32
12
1156
100
24
1100
13:07.33
31
1852
5084
24
* 완주하지 못함
다이빙
여자
레슬링
다음의 레슬링 선수들은 헝가리 대표로 올림픽 본선에 출전하였다.
범례 :
VT - 상대 장외에 따른 승리
VB - 부상 기권
PP - 양쪽이 기술 득점을 하고 승부가 남
PO - 한쪽이 영패
남자 자유형
남자 그레코로만형
여자 자유형
선수
종목
32강전
16강전
8강전
준결승전
패자부활전 1
패자부활전 2
결승전 / 3,4위전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상대선수 결과
순위
마리안나 사스틴
−63 kg
멩동카 (GBS ) W 3–0 (PO)
오스탑추크 (UKR ) L 0–3 (PO)
진출 실패
11[ 5]
복싱
사격
남자
여자
사이클
도로 경기
산악 자전거
수구
헝가리의 남자 수구 대표팀과 여자 수구 대표팀은 올림픽 본선 진출권을 획득하였다. 각 팀은 13명의 선수로 구성되어 있다.
남자부
명단
다음은 올림픽 본선에 출전한 헝가리 남자 수구 국가대표팀의 명단이다.[ 6]
감독: 캐메니 데내스
조별리그 B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세르비아
5
4
1
0
69
38
+31
9
몬테네그로
5
3
1
1
54
41
+13
7
헝가리
5
3
0
2
65
52
+13
6
미국
5
3
0
2
43
44
-1
6
루마니아
5
1
0
4
48
55
−7
2
영국
5
0
0
5
28
77
−49
0
7월 29일 15:30, 헝가리 10 : 14 (2 : 2, 1 : 3, 3 : 5, 4 : 4) 세르비아
7월 31일 10:00, 헝가리 10 : 11 (2 : 2, 3 : 4, 3 : 3, 2 : 2) 몬테네그로
8월 2일 15:30, 루마니아 15 : 17 (4 : 5, 5 : 4, 2 : 5, 4 : 3) 헝가리
8월 4일 18:20, 헝가리 17 : 6 (6 : 1, 5 : 4, 4 : 0, 2 : 1) 영국
8월 6일 15:30, 헝가리 11 : 6 ( 1 : 0, 5 : 2, 4 : 1, 1 : 3) 미국
8강
5-8위 결정전
5위 결정전
여자부
명단
다음은 올림픽 본선에 출전한 헝가리 여자 수구 국가대표팀의 명단이다.[ 7]
감독: 매레시 언드라스
조별리그 A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스페인
3
2
1
0
33
26
+7
5
미국
3
2
1
0
30
28
+2
5
헝가리
3
1
0
2
35
37
-2
2
중화인민공화국
3
0
0
3
22
29
−7
0
7월 30일 19:40, 헝가리 13 : 14 (3 : 4, 4 : 4, 2 : 3, 4 : 3) 미국
8월 1일 14:10, 헝가리 11 : 10 (1 : 3, 4 : 4, 4 : 3, 2 : 0) 중화인민공화국
8월 3일 14:10, 스페인 13 : 11 (4 : 3, 3 : 2, 3 : 2, 3 : 4) 헝가리
8강
8월 5일 14:50, 헝가리 11 : 10 (3 : 3, 4 : 2, 1 : 3, 3 : 2) 러시아
준결승
8월 7일 19:40, 헝가리 9 : 10 (1 : 2, 4 : 5, 2 : 2, 2 : 1) 스페인
동메달 결정전
수영
다음의 수영 선수들이 헝가리 대표로 올림픽 본선에 출전하였다. (선수들은 세부종목당 최대 2명의 선수들이 올림픽 본선진출 시간 (OQT) 안에 완주하면 본선 진출 자격을 획득하며, 추가적인 1명의 선수가 올림픽 선발 시간 (OST) 안에 완주하면 예비 선수 권한이 주어진다.):[ 8] [ 9]
남자
여자
피넌섀크 가보르 [ 10] 는 본래 남자 혼계영 400m 에, 톰퍼 오르솔려 [ 11] 와 그래쿠스 브리기터 [ 12] 는 여자 혼계영 400m 에, 조 사러 [ 13] 와 카더스 비비앤 [ 14] 은 여자 계영 800m 에 참가하기로 되었으나, 참가하지 못하였다. 이들은 모두 헝가리 선수단에 공식적으로 이름을 올렸으나 한경기도 참가하지 못하였다.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2명의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선수가 헝가리 대표로 올림픽 본선에 진출하였다.
선수
종목
테크니컬 루틴
프리 루틴 (예선)
프리 루틴 (결선)
점수
순위
점수
합계 (테크니컬 + 프리)
순위
점수
합계 (테크니컬 + 프리)
순위
체쿠스 애시터 키스 소피
듀엣
79.400
21
79.080
158.480
21
진출 실패
21
역도
다음의 역도 선수는 헝가리 대표로 올림픽 본선에 출전하였다.
남자
선수
종목
인상
용상
합계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너지 페터
+105 kg
191
9
225
11
416
11
요트
다음 세부종목별로 각 1명의 요트 선수가 헝가리 대표로 올림픽 본선에 출전하였다.
남자
선수
종목
레이스
득점
순위
1
2
3
4
5
6
7
8
9
10
M*
가도르펄비 아론
RS:X급
34
33
DNF
22
7
21
18
24
3
25
EL
187
25
배래시 솜보르
레이저급
30
34
11
12
34
3
22
14
4
31
EL
159
21
여자
선수
종목
레이스
득점
순위
1
2
3
4
5
6
7
8
9
10
M*
대트래 디아너
RS:X급
17
16
13
19
16
14
17
18
21
20
EL
150
18
범례: M* =메달 결정전 진출여부; M =메달 결정전 진출; DNF =완주 못함; EL = 탈락 – 다음 라운드 진출 실패;
유도
남자
여자
육상
다음의 육상 선수들이 헝가리 대표로 올림픽 본선에 출전하였다, (각 종목당 최대 3명이 A급 표준, 1명이 B급 표준):[ 18] [ 19]
범례
참고 –트랙 종목 예선에서의 순위는 해당 예선 그룹에만 해당된다
Q = 다음 라운드 진출
q = 다음 라운드에 와일드카드로 진출 혹은 , 필드 이벤트에서 다음라운드로 진출조건을 만족시키지 않고 통과
NR = 국가 기록
=PB = 개인 기록 동률
SB = 시즌 기록
N/A = 해당 종목에 치루어지지 않은 라운드
Bye = 부전승
남자
트랙 & 도로 경기
필드 경기
혼성 경기 – 10종경기
선수
종목
100 m
멀리뛰기
투포환던지기
높이뛰기
400 m
110 m 허들
원반던지기
장대높이뛰기
창던지기
1500 m
기록
순위
서보 어틸러
기록
11.15
6.96
13.93
1.90
50.83
14.92
45.14
4.60 =PB
58.84
4:53.81
7581
24
득점
827
804
724
714
777
859
770
790
720
596
여자
트랙 & 도로 경기
필드 경기
혼성 경기 – 7종경기
선수
종목
100 m 허들
높이뛰기
포환던지기
200 m
멀리뛰기
창던지기
800 m
기록
순위
퍼르커스 죄르지
기록
14.33
1.80
13.55
25.72
6.07
46.52
2:17.83
6013
22
득점
932
978
764
822
871
793
853
조정
다음의 조정 선수들은 헝가리 대표로 올림픽 본선에 출전하였다.
남자
범례: FA =결승 진출; FB =순위결정전 B 진출; FC =순위결정전 C 진출; FD =순위결정전 D 진출; FE =순위결정전 E 진출; FF =순위결정전 F 진출; SA/B =준결승 진출; SC/D =순위결정전 C/D 진출; SE/F =순위결정전 E/F 진출; QF =8강 진출; R =패자부활전으로 이동
체조
기계체조
3명의 체조 선수가 헝가리 대표로 올림픽 본선에 출전하였다.
남자
선수
종목
예선
결선
결과
합계
순위
결과
합계
순위
마루
안마
링
도마
평행봉
철봉
마루
안마
링
도마
평행봉
철봉
배르키 크리시티안
안마
경기 없음
15.033
경기 없음
15.033
5 Q
경기 없음
16.066
경기 없음
16.066
히드베기 비드
경기 없음
15.100
경기 없음
15.100
3 Q
경기 없음
14.300
경기 없음
14.300
8
여자
선수
종목
예선
결선
결과
합계
순위
결과
합계
순위
도마
마루
이단평행봉
평균대
도마
마루
이단평행봉
평균대
뵈쇠괴 도리너
종합
13.200
11.600
13.166
12.633
50.599
49
진출 실패
카누
스프린트 카누
다음의 카누 선수들은 헝가리 대표로 올림픽 본선에 출전하였다.
남자
여자
범례: FA = 결선 진출; FB = 순위결정전 진출; OB = 올림픽 기록
탁구
2명의 탁구 선수가 헝가리 대표로 올림픽 본선에 출전하였다. 2011년 5월 16일의 세계랭킹 기준으로 토트 크리시티너 와 포터 개오르기너 가 여자 단식 본선 진출권을 획득하였다.[ 20]
테니스
트라이애슬론
다음의 트라이애슬론 선수가 헝가리 대표로 올림픽 본선에 출전하였다.
선수
종목
수영 (1.5 km)
첫 종목전환
사이클 (40 km)
두 번째 종목전환
마라톤 (10 km)
기록
순위
코바시 소피어
여자부
19:51
0:44
1:10:40
0:34
38:50
2:10:39
51
펜싱
4명의 펜싱 선수가 헝가리 대표로 올림픽 본선에 출전하였다.
남자
선수 (시드)
종목
64강전
32강전
16강전
8강전
준결승
결승 / 3,4위전
상대 선수 (시드) 스코어
상대 선수 (시드) 스코어
상대 선수 (시드) 스코어
상대 선수 (시드) 스코어
상대 선수 (시드) 스코어
상대 선수 (시드) 스코어
순위
임레 게저 (7)
에페 개인전
경기 없음
엘 하우아리 (26) (MAR ) W 15–8
피아세츠키 (23) (NOR ) L 7–15
진출 실패
실라지 아론 (5)
사브르 개인전
부전승
유 (37) (MAS ) W 15–1
중 (21) (CHN ) W 15–10
하어퉁 (20) (GER ) W 15–13
코발례프 (9) (RUS ) W 15–7
오키우치 (14) (ITA ) W 15–8
여자
선수 (시드)
세부 종목
32강전
16강전
8강전
4강전
결승 / 3,4위전
상대 선수 (시드) 스코어
상대 선수 (시드) 스코어
상대 선수 (시드) 스코어
상대 선수 (시드) 스코어
상대 선수 (시드) 스코어
순위
사스 에메셰 (23)
에페 개인전
부전승
최인정 (10) (KOR ) L 12-15
진출 실패
모허메드 어이더 (16)
플뢰레 개인전
부전승
프레스콧 (17) (USA ) W 15-10
남현희 (1) (KOR ) L 7-8
진출 실패
핸드볼
남자
다음은 올림픽 본선에 출전한 헝가리 국가대표팀의 명단이다.[ 21]
감독: 모서이 러요스
조별리그 B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크로아티아
5
5
0
0
150
109
+41
10
덴마크
5
4
0
1
124
129
−5
8
스페인
5
3
0
2
140
126
+14
6
헝가리
5
2
0
3
114
128
−14
4
세르비아
5
1
0
4
120
131
−11
2
대한민국
5
0
0
5
115
140
−25
0
7월 29일 21:15, 헝가리 25 : 27 (10 : 13) 덴마크
7월 31일 11:15, 대한민국 19 : 22 (9 : 7) 헝가리
리포트
최다득점: 정익영 , 정한 (4), 레커이 마테 (5)
2분퇴장: 대한민국 (3), 헝가리 (4)
옐로우카드: 대한민국 (4), 헝가리 (4)
경기장: 코퍼 박스 , 런던
관중: 4,262[ 23]
주심: 나체프스키, 니콜로프 (마케도니아)
8월 2일 14:30, 크로아티아 26 : 19 (11 : 9) 헝가리
8월 4일 21:15, 헝가리 22 : 33 (13 : 16) 스페인
8월 6일 09:30, 헝가리 26 : 23 (9 : 11) 세르비아
8강
준결승
동메달 결정전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