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비샤카파트남 가스 누출 사고
2020년 5월 7일 인도 안드라프라데시주 비샤카파트남에 있는 LG 폴리머스 공장에서 가스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가스는 약 3킬로미터 (1.9 마일)의 반경에 걸쳐 확산되었으며, 5월 8일 오후 5시 (UTC) 기준 사망자 수는 13명이며 1,000 명 이상이 영향을 받았다.[1][2][3] 인도 경찰은 폴리스티렌 수지를 생산하는 LG폴리머스 공장 내의 5,000t 용량의 탱크 두 곳으로부터 합성수지 원료로 쓰이는 스타이렌 가스가 샜다고 설명했다.[4][5] 사고 경위에 대해서, 인도 경찰은 LG화학 측이 40여 일 만에 공장 원료 탱크를 재가동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겨 독성 물질이 누출된 것이라 보고 있다. 주 정부 조사 위원들은 냉방 시스템이 막히게 된 것이 공장의 가스 유출을 야기한 저장 탱크 온도 급상승의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다.[6] YS 자간모한 레디 인도 안드라프라데시 주총리가 LG화학에 스타이렌 재고 전량(1만3000t)을 한국으로 반송하라고 명령했다. LG화학은 인도 공장의 스타이렌 재고를 전남 LG화학 여수 공장으로 옮긴다고 5월 12일 밝혔다.[5] 조사7월 6일 안드라프라데시 주 정부는 조사 위원회의 조사 결과에 대한 성명서를 발표했다. 성명에 따르면, 사고를 방지할 적절한 예방 체계가 없었고, 경보 사이렌 체계가 작동하지 않았다. 또한 안전 절차 준수 및 위급사항 적시 대응 절차가 미흡했다. 주 정부는 성명서에서 위원회 보고서는 경보 체계가 어떻게 작동하지 않았는지, 사이렌 소리는 왜 나지 않았는지에 대해 36차례나 언급했음을 강조했다.[6][7] 7월 8일 비샤카파트남 시 경찰청장이 밝힌 바에 따르면, LG폴리머스 정선기 인도 법인장 및 김 모 기술고문 2 명의 한국인을 비롯한 12명의 LG폴리머스 임직원이 과실치사 등 혐의로 체포되었다.[8][9] 이후 현지 법적 절차에 따라 구속되어, 구치소에 수감됐다. 경찰은 조사를 벌인 뒤 60일 이내에 기소 여부를 결정할 계획으로 알려졌다.[10] 쟁점인도 환경부는 5월 8일 LG폴리머스 측이 설비 확장 허가 승인을 받기 전에 규정을 위반해 가동했다는 잠정 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이에 대해 LG폴리머스 측은 2006년 이전부터 설치 허가(CFE), 운영 허가(CFO) 등 환경 관련 인허가를 받은 상태라는 입장을 표했다. 또한 인도 정부가 2006년 환경 허가(EC)라는 새 규정을 도입했는데, LG폴리머스는 EC 취득 대상이 아니라는 점,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 중앙정부로부터 확실한 판단을 받기 위해 자진 신고 신청을 진행하고 있었다는 점을 밝혔다.[5] 같이 보기각주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