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하계 패럴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대한민국은 2021년 8월 24일부터 9월 5일까지 일본 도쿄도에서 열린 제17회 하계 패럴림픽에 참가했다.[3][4] 14개 종목에 남자 58명 여자 28명 총 86명의 선수가 참가했다.[5] 금메달 2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12개로 종합순위 41위를 기록하며 대회를 마감했다.[2]
메달 집계종목별 메달 집계
메달리스트![]()
종목별 성적남자
여자
남자
여자
6명의 선수가 BC1, BC2, BC3 등급에 출전했다.[6] 혼성 페어 BC3 종목에서 최예진, 정호원, 김한수선수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1988년 하계 패럴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이후 9번째 연속 금메달이다.[7]
세계 장애인 배드민턴 랭킹에 의하여 총 7명의 선수가 배드민턴에 출전권을 획득했다.[8] 최종 결과 은메달 3개와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9] 남자
여자
남자
여자
혼성
|
선수 | 세부 종목 | 16강전 | 8강전 | 4강전 | 패자부활전 | 결승 / 3,4위전 |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순위 | ||
이정민 | 81kg급 | 부전승 | ![]() 승 (10-00) |
![]() 패 (00-10) |
![]() 승 (10-00) |
![]() | |
최광근 | +100kg급 | 부전승 | ![]() 승 (01-00) |
![]() 패 (00-10) |
![]() 승 (10-00) |
![]() |
육상
트랙 / 도로 경기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
기록 | 순위 | 기록 | 최종 순위 | ||
전민재 | 여자 100m T36 | 15.41 | 3Q | 15.51 | 8 |
여자 200m T36 | 31.37 | 3Q | 31.17 | 4 | |
유병훈 | 남자 100m T53 | 15.37 | 6 | 진출실패 | |
남자 400m T53 | 49.29 | 3Q | 50.02 | 7 | |
남자 800m T53 | 1:41.55 | 6 | 진출실패 | ||
남자 마라톤 T54 | 1:41.44 | 14 |
조정
오스트리아 오텐스하임에서 열린 2019년 조정 세계선수권대회 장애인 여자 싱글스컬에서 김세정이 파이널B에서 1위를 기록하며 패럴림픽 진출권을 획득했다.[10] 파이널B에서 1위를 기록하며 최종순위 7위를 기록했다.[11]
- 여자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패자부활전 | 결선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최종 순위 | ||
정혜정 | 싱글스컬 | 12:19.02 | 3 | 11:04.59 | 3q | 12:18.83 | 7 |
11명의 선수는 세계랭킹으로 5명의 선수는 2019 ITTF 아시아 장애인 선수권 대회에서 패럴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12] 경기 결과 대한민국은 금메달 1개 은메달 5개 동메달 6개 총 1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이중 주영대선수는 단식C1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해당 족목에서 김현욱과 남기원도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선수가 금은동을 모두 획득하여 화제가 되었다.[13]
- 남자
선수 | 종목 | 그룹/예선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순위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순위 | ||
주영대 | 단식 C1 | ![]() 승 (3-0) |
![]() 승 (3-0) |
1Q | 경기 없음 | ![]() 승 (3-2) |
![]() 승 (3-0) |
![]() 승 (3-1) |
![]() |
김현욱 | ![]() 승 (3-0) |
![]() 승 (3-0) |
1Q | 경기 없음 | ![]() 승 (3-0) |
![]() 승 (3-0) |
![]() 패 (1-3) |
![]() | |
남기원 | ![]() 패 (1-3) |
![]() 승 (3-0) |
2Q | 경기 없음 | ![]() 승 (3-0) |
![]() 패 (0-3) |
진출 실패 | ![]() | |
박진철 | 단식 C2 | ![]() 승 (3-0) |
![]() 승 (3-0) |
1Q | 부전승 | ![]() 승 (3-2) |
![]() 패 (1-3) |
진출 실패 | ![]() |
차수용 | ![]() 승 (3-0) |
![]() 승 (3-2) |
1Q | 부전승 | ![]() 승 (3-1) |
![]() 패 (1-3) |
진출 실패 | ![]() | |
백영복 | 단식 C3 | ![]() 패 (0-3) |
![]() 패 (2-3) |
3 | 진출 실패 | ||||
김영건 | 단식 C4 | ![]() 승 (3-1) |
![]() 승 (3-2) |
1Q | 부전승 | ![]() 승 (3-0) |
![]() 승 (3-1) |
![]() 패 (1-3) |
![]() |
김정길 | ![]() 패 (1-3) |
![]() 승 (3-1) |
2Q | ![]() 패 (3-1) |
진출 실패 | ||||
박홍규 | 단식 C6 | ![]() 승 (3-0) |
![]() 승 (3-1) |
1Q | 부전승 | ![]() 패 (2-3) |
진출 실패 | ||
김기태 | 단식 C11 | ![]() 패 (1-3) |
![]() 승 (3-1) |
2Q | 경기 없음 | ![]() 패 (1-3) |
진출 실패 | ||
차수용 박진철 김현욱 |
단체 C1-2 | 경기 없음 | ![]() 승 (2-0) |
![]() 승 (2-1) |
![]() 패 (0-2) |
![]() | |||
남기원 주영대 |
단체 C3 | 경기 없음 | ![]() 패 (0-2) |
진출 실패 | |||||
김영건 김정길 백영복 |
단체 C4-5 | 경기 없음 | ![]() 승 (2-1) |
![]() 승 (2-0) |
![]() 패 (0-2) |
![]() |
- 여자
선수 | 종목 | 그룹/예선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순위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순위 | ||
서수연 | 단식 C1-2 | ![]() 승 (3-2) |
![]() 승 (3-0) |
경기 없음 | 1Q | 경기 없음 | ![]() 승 (3-0) |
![]() 승 (3-1) |
![]() 패 (1-3) |
![]() |
윤지유 | 단식 C3 | ![]() 승 (3-0) |
![]() 승 (3-0) |
경기 없음 | 1Q | 부전승 | ![]() 승 (3-1) |
![]() 패 (2-3) |
진출 실패 | ![]() |
이미규 | ![]() 승 (3-0) |
![]() 승 (3-1) |
경기 없음 | 1Q | 부전승 | ![]() 승 (3-0) |
![]() 패 (1-3) |
진출 실패 | ![]() | |
정영아 | 단식 C5 | ![]() 승 (3-2) |
![]() 승 (3-0) |
경기 없음 | 1Q | 경기 없음 | ![]() 승 (3-1) |
![]() 패 (0-3) |
진출 실패 | ![]() |
이근우 | 단식 C6 | ![]() 패 (1-3) |
![]() 승 (3-1) |
경기 없음 | 2Q | 경기 없음 | ![]() 패 (2-3) |
진출 실패 | ||
문성금 | ![]() 패 (1-3) |
![]() 패 (0-3) |
경기 없음 | 3 | 경기 없음 | 진출 실패 | ||||
김성옥 | 단식 C7 | ![]() 패 (0-3) |
![]() 승 (3-0) |
경기 없음 | 2Q | 경기 없음 | ![]() 패 (1-3) |
진출 실패 | ||
김군해 | 단식 C9 | ![]() 패 (1-3) |
![]() 패 (1-3) |
![]() 승 (3-1) |
3 | 경기 없음 | 경기 없음 | 진출 실패 | ||
서수연 윤지유 이미규 |
단체 C1-3 | 경기 없음 | ![]() 승 (2-1) |
![]() 승 (2-0) |
![]() 패 (0-2) |
![]() | ||||
김성옥 문성금 이근우 |
단체 C1-3 | 경기 없음 | ![]() 패 (0-2) |
진출 실패 |
태권도
주정훈선수가 아시아 최종예선에서 우승하며 대한민국 선수로서 유일하게 올림픽 진출권을 획득했다.[14] 75kg급(K44) 종목에 출전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15]
남자
선수 | 세부 종목 | 16강전 | 8강전 | 4강전 | 패자부활전1 | 패자부활전2 | 결승 / 3,4위전 |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순위 | ||
주정훈 | 75kg급 | ![]() 패 (31-35) |
진출 실패 | ![]() 승 (40-31) |
![]() 승 (46-32) |
![]() 승 (24-14) |
![]() |
휠체어 농구
2019년 국제휠체어농구협회(IWBF) 아시아·오세아니아 챔피언십대회에서 준우승을 하며 상위 4팀까지 주어지는 패럴림픽 진출권을 획득했다. 이는 2000년 하계 패럴림픽 이후 21년 만이다.[16] 조별리그에서 5위를 기록했고 9-10위 결정전에서 이란에게 패배하며 최종순위 10위를 기록했다.[17]
조별 리그 : A조
팀 | 경기 | 승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 |
5 | 5 | 0 | 375 | 272 | +103 | 10 | 8강 진출 |
![]() |
5 | 4 | 1 | 312 | 298 | +14 | 9 | |
![]() |
5 | 3 | 2 | 353 | 327 | +26 | 8 | |
![]() |
5 | 2 | 3 | 307 | 333 | -26 | 7 | |
![]() |
5 | 1 | 4 | 305 | 332 | -27 | 6 | 9-10위 결정전 |
![]() |
5 | 0 | 5 | 256 | 346 | -90 | 5 | 11-12위 결정전 |
- 8월 25일
스페인 65 : 53
대한민국
- 8월 26일
대한민국 70 : 80
튀르키예
- 8월 27일
일본 59 : 52
일본
- 8월 28일
대한민국 66 : 54
콜롬비아
- 8월 29일
캐나다 74 : 64
대한민국
9-10위 결정전
같이 보기
외부 링크
- 2020년 하계 패럴림픽 보관됨 2021-09-03 - 웨이백 머신 - 대한장애인체육회 공식 홈페이지
각주
- ↑ 이새롬 (2021년 8월 24일). “2020 도쿄패럴림픽, '고운 한복' 자태 뽐내며 등장한 대한민국 [TF사진관]”. 《THEFACT스포츠》. 2021년 9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장보인 (2021년 9월 5일). “연대와 희망 외친 도쿄 패럴림픽 13일 열전 마치고 폐막”. 《연합뉴스》. 2021년 9월 5일에 확인함.
- ↑ “Paralympic Competition Schedule”. 《tokyo2020.org》. 2019년 6월 16일.
- ↑ “Tokyo Olympics and Paralympics: New dates confirmed for 2021”. 《BBC Sport》. 2020년 3월 30일. 2020년 3월 30일에 확인함.
- ↑ “보관된 사본”. 2021년 8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9월 3일에 확인함.
- ↑ “Tokyo 2020 Paralympic Games Qualification Guide” (PDF).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2020년 11월 17일. 2021년 8월 1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6월 12일에 확인함.
- ↑ 서유리 (2021년 9월 4일). “[속보] 패럴림픽서 한국 두번째 金, 보치아 9회 연속 금메달”. 《부산일보》. 2021년 9월 4일에 확인함.
- ↑ “Paralympics Badminton Ranking” (PDF). Para Badminton World Federation. 2019년 6월 26일.
- ↑ 구경하 (2021년 9월 5일). “[영상] “끝까지 잘 싸웠다” 배드민턴 남자복식 은메달 추가”. 《KBS》. 2021년 9월 5일에 확인함.
- ↑ “2019 World Rowing Championships”. 《www.worldrowing.com》. 2018년 10월 15일. 2021년 8월 9일에 확인함.
- ↑ 장보인 (2021년 8월 29일). “-패럴림픽- 한국, 동메달 1개 추가…유도 최광근 '3회 연속 메달'”. 《연합뉴스》. 2021년 9월 5일에 확인함.
- ↑ “2019 Para Table Tennis Calendar”. 《International Table Tennis Federation》. 2019년 3월 16일.
- ↑ “[패럴림픽] 도쿄에 띄운 태극기 3개…주영대 "애국가 부르는데 울컥하더라"”. 《뉴스1》. 2021년 8월 30일. 2021년 9월 4일에 확인함.
- ↑ 배진남 (2021년 5월 24일). “주정훈, 한국 선수 최초 패럴림픽 태권도 출전권 획득”. 《연합뉴스》. 2021년 9월 2일에 확인함.
- ↑ 전연지 (2021년 9월 3일). “[도쿄패럴림픽]"엄마,할머니 이젠 자책 말고 자랑하세요!" '투혼의 태권청년'주정훈이 빚어낸 기적의 銅”. 《스포츠조선》. 2021년 9월 3일에 확인함.
- ↑ 김희준 (2019년 12월 13일). “남자 휠체어농구 대표팀, 20년만에 패럴림픽 출전권 획득”. 《뉴시스》. 2021년 9월 5일에 확인함.
- ↑ 박지혁 (2021년 9월 2일). “[패럴림픽]韓휠체어농구, 10위로 21년만의 패럴림픽 마쳐”. 《뉴시스》. 2021년 9월 5일에 확인함.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