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와일드 리프트 리그 아시아 시즌 2
리그 기간
|
2023년 11월 1일~2024년 2월 3일
|
개막전
|
TT vs JDG
|
주최
|
텐센트, 티제이 스포츠, VNG 게임즈
|
주관
|
텐센트, 티제이 스포츠, VNG 게임즈
|
후원사
|
원플러스, 푸마, KIA
|
리그 우승
|
킵베스트 게이밍
|
최우수 선수
|
KBG DaT (가오지안린)
|
총 상금
|
¥ 700만 (CNY)
|
→
|
2023 와일드 리프트 리그 아시아 시즌 2(영어: 2023 Wild Rift League Asia season 2)은 WRL-A의 4번째 대회이다.
개요
- 주최: 텐센트, 티제이 스포츠, VNG 게임즈
- 주관: 텐센트, 티제이 스포츠, VNG 게임즈
- 후원: 원플러스, 푸마, KIA
일정
경기장
- 중국 컨퍼런스: ?
- APAC 컨퍼런스: (온라인)
- 결선 플레이오프: (온라인)
진행 방식
상금
상금은 런민비 기준이다.
결선 PO 부문
|
금액
|
우승
|
100만
|
준우승
|
40만
|
3~4위
|
각 30만
|
권역 PO 부문
|
금액
|
1위
|
각 70만
|
2위
|
각 50만
|
3위
|
각 40만
|
4위
|
각 35만
|
5위
|
각 30만
|
6위
|
각 25만
|
참가 팀
정규 시즌
중국 컨퍼런스
순위
|
팀명
|
승
|
패
|
득실차
|
결과
|
비고
|
1
|
썬더 토크 게이밍
|
11
|
3
|
17
|
승자조 권역 PO
|
|
2
|
에드워드 게이밍
|
10
|
4
|
12
|
|
3
|
트레이스 e스포츠
|
10
|
4
|
10
|
|
4
|
킵베스트 게이밍
|
9
|
5
|
8
|
승자승 우세
|
5
|
노바 e스포츠
|
9
|
5
|
8
|
패자조 권역 PO
|
승자승 열세
|
6
|
펀플러스 피닉스
|
8
|
6
|
5
|
|
7
|
웨이보 게이밍
|
8
|
5
|
3
|
|
8
|
우후 게이밍
|
7
|
7
|
1
|
승자승 우세
|
9
|
JD 게이밍
|
7
|
7
|
1
|
탈락
|
승자승 열세
|
10
|
J팀
|
7
|
7
|
0
|
|
11
|
오 마이 갓
|
5
|
9
|
―8
|
|
APAC 컨퍼런스
직전 시즌 1~4위를 기록한 G2 블랙리스트, KT 롤스터 Y, 부리람 유나이티드 e스포츠, 나오스 e스포츠는 총 13경기를 치르고 그 이외 4개 팀은 총 12경기를 치른다.
순위
|
팀명
|
승
|
패
|
득실차
|
결과
|
비고
|
1
|
나오스 e스포츠
|
7
|
6
|
2
|
권역 플레이오프
|
|
2
|
케르베로스 e스포츠
|
7
|
6
|
1
|
승자승 우세
|
3
|
G2 블랙리스트
|
7
|
5
|
1
|
승자승 열세
|
4
|
KT 롤스터 Y
|
7
|
6
|
―1
|
|
5
|
펜넬
|
3
|
9
|
―8
|
탈락
|
|
6
|
부리람 유나이티드 e스포츠
|
3
|
10
|
―11
|
|
7
|
팀 플래시
|
2
|
10
|
―17
|
|
8
|
인베이트 e스포츠
|
0
|
12
|
―24
|
|
권역 플레이오프
중국 컨퍼런스
|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APAC 컨퍼런스
| 승자조 준결승전
| | | 승자조 결승전
| |
| | | | | | | | | |
| 1
| 나오스 e스포츠
| 2
| | |
|
| 4
| KT 롤스터 Y
| 4
| |
| | 4
| KT 롤스터 Y
| 4
| |
|
| |
| | | 3
| G2 블랙리스트
| 2
| |
| 2
| 케르베로스 e스포츠
| 1
| |
| |
| 3
| G2 블랙리스트
| 4
| |
| 패자조 준결승전
| | | 패자조 결승전
| |
| | | | | | | | | |
| 1
| 나오스 e스포츠
| 4
| | |
| 2
| 케르베로스 e스포츠
| 0
| | | 3
| G2 블랙리스트
| 4
| |
| | | | 1
| 나오스 e스포츠
| 2
| |
결선 플레이오프
진출 팀
중국 컨퍼런스 상위
|
킵베스트 게이밍
|
에드워드 게이밍
|
APAC 컨퍼런스 상위
|
KT 롤스터 Y
|
G2 블랙리스트
|
라운드 로빈
순위
|
팀명
|
승
|
패
|
승점
|
결과
|
비고
|
1
|
킵베스트 게이밍
|
3
|
0
|
9
|
파이널
|
|
2
|
에드워드 게이밍
|
2
|
1
|
6
|
플레이오프
|
|
3
|
KT 롤스터 Y
|
1
|
2
|
3
|
준플레이오프
|
|
4
|
G2 블랙리스트
|
0
|
3
|
0
|
|
토너먼트
|
준플레이오프
|
|
|
플레이오프
|
|
|
파이널
|
|
|
|
|
|
|
|
|
|
|
|
|
|
|
|
|
|
1
|
|
0
|
|
|
|
2
|
|
0
|
|
|
?
|
|
|
|
3
|
|
0
|
|
|
?
|
|
|
|
|
4
|
|
0
|
최종 순위
순위
|
권역
|
팀명
|
비고
|
1
|
CN
|
킵베스트 게이밍
|
|
2
|
APAC
|
G2 블랙리스트
|
|
3
|
CN
|
에드워드 게이밍
|
|
4
|
APAC
|
KT 롤스터 Y
|
|
권역
|
중국 (CN)
|
APAC
|
순위
|
팀명
|
결과
|
팀명
|
결과
|
3
|
펀플러스 피닉스
|
권역 PO
|
나오스 e스포츠
|
권역 PO
|
4
|
썬더 토크 게이밍
|
케르베로스 e스포츠
|
5
|
노바 e스포츠
|
펜넬
|
정규 시즌
|
6
|
트레이스 e스포츠
|
부리람 유나이티드 e스포츠
|
7
|
우후 게이밍
|
팀 플래시
|
8
|
웨이보 게이밍
|
인베이트 e스포츠
|
9
|
JD 게이밍
|
정규 시즌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10
|
J팀
|
11
|
오 마이 갓
|
각주
- ↑ 직전 시즌 APAC 컨퍼런스 1위, 니그마 갤럭시는 대회 시작 전 해체됐다. G2 블랙리스트가 니그마 갤럭시 몫의 시드를 승계받았다.
- ↑ 직전 시즌 중국 컨퍼런스 12위, 레어 아톰은 대회 시작 전 해체됐다. 레어 아톰 몫의 시드는 승계 없이 비워둔 채로 대회가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