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에서는 2025년에 발생한 허리케인들의 활동에 대해 기록하였다.
통계
월별 허리케인 발생 개수
타임라인
SSHS
허리케인 이름
- 제1호 허리케인 안드레아 (2501)
- 제2호 허리케인 배리 (2502)
- 제3호 허리케인 샹탈 (2503)
- 제4호 허리케인 덱스터 (2504)
- 제5호 허리케인 에린 (사용안함)
|
- 제6호 허리케인 페르난도 (사용안함)
- 제7호 허리케인 안드레아 (사용안함)
- 제8호 허리케인 개브리엘 (사용안함)
- 제9호 허리케인 움베르토 (사용안함)
- 제10호 허리케인 이멜다 (사용안함)
|
- 제11호 허리케인 제리 (사용안함)
- 제12호 허리케인 카렌 (사용안함)
- 제13호 허리케인 로렌초 (사용안함)
- 제14호 허리케인 멀리사 (사용안함)
- 제15호 허리케인 네스토르 (사용안함)
|
- 제16호 허리케인 올가 (사용안함)
- 제17호 허리케인 파블로 (사용안함)
- 제18호 허리케인 레베카 (사용안함)
- 제19호 허리케인 세바스티안 (사용안함)
- 제20호 허리케인 타냐 (사용안함)
|
특징
활동중인 허리케인
제4호 열대폭풍 덱스터
열대폭풍 (SSHS)
|
|
활동 기간
|
8월 4일 ~
|
최저 기압
|
999hPa
|
최대 풍속 (1분 평균)
|
23m/s (45kt; 85km/h)
|
태풍 피해
|
-
|
활동한 허리케인
제1호 열대폭풍 안드레아
열대폭풍 (SSHS)
|
|
활동 기간
|
6월 24일 ~ 6월 25일
|
최저 기압
|
1014hPa
|
최대 풍속 (1분 평균)
|
18m/s (35kt; 65km/h)
|
태풍 피해
|
-
|
2025년 제1호 허리케인 안드레아 (ANDREA)는 6월 24일 21시에 중심기압 1014hPa, 최대 풍속 18m/s의 열대폭풍으로 캐나다 세인트존스 남동남쪽 약 1,31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이후 추가 발달 없이 북동북진하며 이동하였고, 이후 계속 건조 공기 유입과 낮은 수온, 온대저기압화, 매우 낮았던 기압 등, 복합적인 이유로 인해 급속도로 약화가 진행되었으며 발달한 지 몇시간이 채 되지않았음에도 6월 25일 9시에 그린란드 누크 남동남쪽 약 2,91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15hPa, 최대 풍속 15m/s의 온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제2호 열대폭풍 배리
열대폭풍 (SSHS)
|
|
활동 기간
|
6월 28일 ~ 6월 30일
|
최저 기압
|
1006hPa
|
최대 풍속 (1분 평균)
|
20m/s (40kt; 75km/h)
|
태풍 피해
|
57명 사망 피해총액 370만 달러
|
이 허리케인은 6월 29일 아침 베라크루스 주 턱스판에서 남동쪽으로 약 140km 떨어진 곳에서 열대성 폭풍 배리로 발달하였고, 멕시코만 중부의 중저준위 능선을 타고 북서쪽으로 이동했다. 배리는 같은 날 저녁, 배리는 타마울리파스주 탐피코 남쪽에 상륙하여 열대 저기압으로 약화되었으나, 그 잔해가 미국 텍사스에 상륙해 52명이 숨졌다.
제3호 열대폭풍 샹탈
열대폭풍 (SSHS)
|
|
활동 기간
|
7월 4일 ~ 7월 8일
|
최저 기압
|
1002hPa
|
최대 풍속 (1분 평균)
|
25m/s (50kt; 95km/h)
|
태풍 피해
|
6명 사망 피해총액 5,600만 달러
|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