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로마자 표기법(21世紀로마字表記法)은 유네스코 사무국의 직원이었던 홍승목이 제안한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이다. 유네스코 포럼 12호에서 공식 발표 되었으며, 최종안은 나오지 않았다.
영어권에 살지 않거나 표기의 규칙을 모르는 사람도 쉽게, 로마자로 표기 된 것을 한국어에 가깝게 읽을 수 있고, 로마자를 다시 한국어로 쉽게 복원할 수 있도록 고려된 표기법이다.
표기 원칙
표기가 발음에 크게 괴리되지 않는 한, 글자대로 적는 전자법을 원칙으로 한다.
표기 방법
모음 표기법
한글 |
ㅏ |
ㅓ |
ㅗ |
ㅜ |
ㅡ |
ㅣ |
ㅐ |
ㅔ
|
단음 |
a |
o |
u |
i |
ae |
é
|
장음 |
ah |
ur |
oh |
oo |
uh |
ee |
aeh |
eh
|
한글 |
ㅑ |
ㅒ |
ㅕ |
ㅖ |
ㅛ |
ㅠ |
ㅘ |
ㅙ |
ㅚ |
ㅝ |
ㅞ |
ㅟ |
ㅢ
|
변환 |
ea |
ㅔ1 |
eo |
ㅔ1 |
eo |
eu |
ua |
ué |
uo |
ué |
ui |
oi, ㅣ2
|
1. 'ㅔ'와 같은 것으로 보고 'ㅔ'의 표기법에 따른다.
2. 'ㅢ'가 [ㅣ]로 소리날 때에는 'ㅣ' 표기법에 따른다.
초성이 'ㅇ'일 때
- 초성이 'ㅇ'일 때 표기에 예외적인 것만 표로 정리하였다. 나머지는 본래 표기와 일치하다.
한글 |
ㅜ |
ㅣ |
ㅑ |
ㅒ |
ㅕ |
ㅖ |
ㅛ |
ㅠ |
ㅘ |
ㅙ |
ㅚ |
ㅝ |
ㅞ |
ㅟ
|
단음 |
u, wu1 |
i, yi1 |
ya |
yae |
yo |
ye |
yo |
yu |
wa |
wae |
wo |
wé |
wi
|
장음 |
oo, woo1 |
ee, yee1 |
yah |
yaeh |
yer |
yeh |
yoh |
yuh |
×
|
1. 초성이 'ㅇ'일 때에 한해서 'ㅜ', 'ㅣ'를 표기할 때에 앞에 'w'나 'y'를 붙일 수 있다.
자음 표기법
한글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받침) |
ㅈ |
ㅊ |
ㅋ |
ㅌ |
ㅍ |
ㅎ
|
변환 |
g1 |
n |
d |
l2, 3 |
m |
b |
s4 |
ng |
j |
ch |
k |
t |
p |
h
|
한글 |
ㄲ |
ㄸ |
ㅃ |
ㅆ |
ㅉ
|
변환 |
k |
t |
p |
s |
ch
|
1. 'g' 뒤에 곧바로 'e'나 'i'가 올 때에는 'g'를 'gh'로 표기한다. 단, '金(김)'이 인명이나 지명에 쓰일 경우에는 'Kim'으로 표기한다.
- 김치 → ghimchi (×gimchi)
- 수기 → sughi (×sugi)
- 꽃게 → kotghé (×kotgé)
- 金포(김포) → Kimpo (×Ghimpo, ×Gimpo)
- 金민수(김민수) → Kim Minsu (×Ghim Minsu, ×Gim Minsu)
2. 'ㄹ'이 모음 사이에 놓이거나 초성 'ㅇ', 'ㅎ' 앞에 놓일 때에는 'r'로 표기한다.
- 월요일 → Wor-yoil (×Wol-yoil)
- 실학 → Shirhag (×Shilhag)
3. 'ㄹㄹ'은 하나의 'l'로 표기하되, 어절이 연결선(-)으로 나뉘거나 유음화로 인하여 'ㄹㄹ'로 발음될 때에 한해 'll'로 표기한다.
- 진달래 → jindalae (×jindallae)
- 울릉도 → Ulung-do (×Ullung-do)
- 통일로 → Tong'il-lo (×Tong'il-o, ×Tong'i-lo)
- 신라 → Shilla (×Shila, ×Shinla)
- 한라산 → Halla-san (×Hala-san, ×Hanla-san)
- 진리 → jilli (×jili, ×jinli)
- 찰나 → challa (×chala, ×chalna)
4. '시', '세', '샤', '셔', '쇼', '슈', '쉬'는 's' 대신 'sh'로 표기한다.
- 시작 → shijag (×sijag)
- 세수 → shésu (×sésu)
- 쉬다 → shuida (×suida)
전자법을 따르지 않는 예외적 표기
- 아래는 표기가 발음에 크게 괴리되어 전자법을 따르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표기 규칙이다.
1.받침 표기; 받침 뒤에 곧바로 모음이 이어지지 않을 때에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 따라 받침을 'g(ㄱ)', 'n(ㄴ)', 'd(ㄷ)', 'l(ㄹ)', 'm(ㅁ)', 'b(ㅂ)', 'ng(ㅇ)'으로만 표기한다.
- 단, 받침 'ㅋ(ㄲ)', 'ㅌ', 'ㅍ'는 예외로 'k', 't', 'p'로 표기한다.
- 단, 모음이 이어지지 않는 대신 자음과 바로 이어질 때에는 'g', 'd', 'b'로 표기한 것을 'k', 't', 'p'로 표기한다.
- 넋(넉) → nog (×nogs)
- 낮(낟) → nad (×naj)
- 섧다(설따) → solta (×solbta)
- 옷 안에(옫 아네) → od ané (×os ané)
- 부엌(부억) → bu'ok (×bu'og)
- 숲(숩) → sup (×sub)
- 낙동강(낙똥강) → Nakdong-gang (×Nagtong-gang)
- 독도(독또) → Dok-do (×Dog-to)
- 성북구(성북꾸) → Songbuk-gu (×Songbug-ku)
- 합전(합쩐) → Hapjon (×Habchon)
- 합천(합천) → Hapchon (×Habchon)
2.된소리되기의 일부 표기 반영; 'ㄱ', 'ㄷ', 'ㅂ', 'ㅈ'에 된소리되기(ㄲ, ㄸ, ㅃ, ㅉ) 현상이 일어날 때에는 그것들을 'k', 't', 'p', 'ch'로 표기한다. 단, 'ㄱ', 'ㄷ', 'ㅂ' 뒤에 이어져서 된소리되기 현상이 일어난 경우는 제외한다.
- 달골(달꼴) → Dalkol (×Dalgol)
- 태권도(태꿘도) → Taekuondo (×Taeguondo)
- 울진(울찐) → Ulchin (×Uljin)
- 문자(문짜) → muncha (×munja)
3. 사이시옷 표기; 사이시옷은 t'로 표기하되, ㄴ으로 덧나는 경우에는 n', ㄴㄴ으로 덧나는 경우에는 n'n으로 표기한다.
- 갓길(가낄) → gat'ghil
- 깃대(기때) → ghit'dae
- 핫바지(하빠지) → hat'baji
- 헛소리(허쏘리) → hot'sori
- 뒷전(뒤쩐) → duit'jon
- 옷나무(온나무) → on'namu
- 옷맵시(온맵씨) → on'maepsi
- 헛일(헌닐) → hon'nil
4.구개음화와 자음동화의 표기 반영; 구개음화나 자음동화가 일어날 때에는 이를 소리나는대로 표기한다. 단, [ㄹ]은 [ㄴ]으로 바뀌어 소리나더라도 'l'을 'n'으로 바꾸어 표기하지 않는다.
- 같이(가티→가치) → gachi (×gati)
- 굳이(구디→구지) → guji (×gudi)
- 막내(망내) → mangnae (×maknae)
- 국물(궁물) → gungmul (×gukmul)
- 협력(혐녁) → heomleog (×heomneog, ×heopleog)
- 독립문(동님문) → Donglim-mun (×Dongnim-mun, ×Donglip-mun)
- 극락전(긍낙쩐) → Gunglak-jon (×Gungnak-jon, ×Guklak-jon)
- 십리(심니) → Shimli (×Shimni)
어깻점(’)
음절 분리를 보여야 할 때 쓰인다. 어깻점을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다.
1. ㄴㄱ(ng)과 받침 ㅇ(ng)을 구별할 때
- 안강 → An'gang
- 중앙 → Jung'ang
- 동아 → Dong'a
2. 모음이 이어질 때
- 해인사 → Hae'insa
- 노을 → no'ul
3. h의 소리내기 여부가 확실하지 않을 때
- 무화과 → mu'huagua
- 강화 → gang'hua
지명과 인명의 로마자 표기
지명 표기
1. 고유 명사와 일반 명사가 결합되었을 때 그 사이에 붙임표(-)를 넣는다.
- 금강 → The Gum-gang / Gum-gang River
- 남산 → The Nam-san / Nam-san Mountain
- 갑사 → Gap-sa / Gap-sa Temple
- 서대문 → So-daemun / So-daemun Gate
- 종로 → Jong-lo / Jong-lo Street
2. 붙임표(-)를 여러 개 사용하는 것은 최소화한다.
- Acha-san-song → Acha-sansong
- The Nam-han-gang → The Nam[South] Han-gang
- The Buk-han-gang → The Buk[North] Han-gang
3. 지명에서 액센트가 앞에 있지 않을 때에는 액센트(’)도 같이 표기한다.
- 용산 : Yongsan → Yongsán
- 부산 : Busan → Busán
- 대전 : Daejon → Daejón
- 춘천 : Chunchon → Chunchón
- 전주 : Jonju → Jonjú
- 강릉 : Ganglung → Ganglúng
4. 의미대로 풀어서 붙인 긴 이름은 띄어 표기한다.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Gumdong Miruk-bosal Ban'ga Sayu-sang (× Gumdong-miruk-bosal-ban'ga-sayu-sang)
인명 표기
1. 이름을 표기할 때에는 아래와 같은 형식[1]으로 적는다.
- 김민수 : Kim Minsu (×Kim Min Su, ×Kim Min-Su)
- 두날개 : Doo Nalgae (×Doo Nal Gae, ×Doo Nal-Gae)
- 묵하람 : Mook Haram (×Mook Ha Ram, ×Mook Ha-Ram)
- 채아무 : Chae Amu (×Chae A Mu, ×Chae A-Mu)
- 영익현 : Young Yikheon (×Young Yik Heon, ×Young Yik-Heon)
2. 이름은 본래 표기법을 원칙으로 하되, 상황에 따라 본인에 맞게 고쳐 표기할 수 있다. 단, 성씨는 제외한다.
- 채아무 : Chae Amu, Chae Ahmu, Chae Ahmoo
- 이우영 : Lee Wuyong, Lee Wooyoung, Lee Uyong
3. 음절을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대문자로 분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이름을 모두 대문자로 써야 할 때에는 어깻점(')으로 분리할 수 있다.
- 이영희 : Lee YoungHee, LEE YOUNG'HEE
성씨 표기
초성(자음) 표기
1. 본래 표기를 따르되, ㄹ은 무조건 l로 표기한다.
중성(모음) 표기
1. 성씨를 표기할 때에는 모음 표기를 장음 표기로 할 것을 원칙으로 한다.
- 단, 성씨가 두 음절 이상일 때에는 단음 표기를 사용한다. (독고, 남궁, 황보 씨 등)
- 단, 이중모음은 장음 표기를 하지 않는다. (곽, 권 씨 등)
- 단, 받침이 ㅇ(ng)일 때에는 장음 표기를 하지 않는다.
- 단, 해당 성씨가 단음 표기를 하는 것이 확립된 관행일 때에는 그 관행을 따른다. (받침이 있는 ㅣ의 경우에는 ee가 아니라 i를 쓴다.)
2. 본래 표기와 다른 항목은 다음과 같다.
- ㅏ에서 받침이 ㅇ인 성씨는 a로 표기하고(장→Jang), 받침이 ㄱ인 성씨는 ark로 표기한다(탁→Tark).
- ㅓ에서 받침이 ㄴ·ㄹ·ㅁ·ㅇ인 성씨는 o로 표기한다(천→Chon).
- ㅗ에서 받침이 ㅇ인 성씨는 o로 표기하고(공→Gong), 받침이 ㄱ인 성씨는 ork로 표기한다(옥→Ork).
- ㅡ에서 받침이 ㅇ인 성씨는 u로 표기한다(승→Sung).
- ㅣ에서 받침이 있는 성씨는 i로 표기한다(민→Min, 김→Kim).
- 초성이 ㅇ인 이중모음은 받침이 있을 때만 단음 표기를 한다.
종성(받침) 표기
- 받침 ㅇ 앞에서 h, r을 이용한 장음 표기를 하지 않는다.
- 받침 ㄱ, ㅂ 앞의 모음이 발음상의 이중모음이나 복합모음이 아니면 ㄱ, ㅂ은 ~rk, ~rp로 표기한다.
예외 성씨
- 강(姜/康/江/綱/強(强)) → Ghang (×Gang) [단어 의미(‘패거리’) 회피]
- 김(金) → Kim (×Ghim) [인명․지명의 ‘金’은 Kim으로 통일 표기]
- 박(朴) → Park (×Bark) [단어 의미에 따른 선택(‘짖다’→‘공원’)]
- 부(夫) → Bou (×Boo) [단어 의미(‘야유하다’) 회피]
- 선(宣/先) → Sun (×Son) [단어 의미에 따른 선택(‘아들’→‘태양’)]
- 성(成) → Sung (×Song) [송(宋)씨와 구별. 승(承/昇)씨와의 중복은 불가피]
- 영(永) → Young (×Yong) [용(龍)씨와 구별, 단어 의미(‘젊은’)에 따른 선택]
- 정(鄭/丁/程) → Jeong (×Jong) [종(宗/種)씨와 구별]
- 피(皮) → Pea (×Pee) [단어 의미에 따른 선택(‘오줌누다’→‘완두콩’)]
각주
- ↑ 묵하람을 Mook Ha Ram으로 표기할 경우에는, Mook이 이름, Ha가 세례명, Ram이 성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으며, Mook Ha-Ram으로 표기할 경우에는 Ha와 Ram의 두 가지 이름을 지녔다고 오인할 수 있을 수 있으므로, Mook Haram과 같이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