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 신장 인권 사무소 보고

OHCHR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인권 문제 평가 보고서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가 2022년 8월 31일 발표한 보고서로, 중국 내 위구르족 및 기타 주로 무슬림 집단의 처우에 관한 것이다. 보고서는 "법과 정책에 따라 위구르족 및 기타 주로 무슬림 집단 구성원에 대한 자의적이고 차별적인 구금의 정도는 개별적으로나 집단적으로 향유하는 기본권의 제한 및 박탈의 맥락에서, 국제 범죄, 특히 인도에 반한 죄를 구성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1][2][3] 인권 최고대표 미첼 바첼레트는 퇴임을 앞두고 이 보고서를 발표했다.[1][3]

배경

2014년 이래 시진핑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행정부 하의 중국 정부는 신장 지역에서 약 100만 명 이상의 튀르크족 무슬림을 아무런 법적 절차 없이 수용소에 구금하는 정책을 추진해 왔다.[4][5][6]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가장 대규모의 소수민족 및 종교 소수자 구금 사례이다.[7][8] 전문가들은 2017년 이후 약 16,000개의 모스크가 파괴되거나 손상되었고,[9] 수십만 명의 어린이가 부모로부터 강제로 분리되어 기숙학교로 보내졌다고 추정한다.[10][11]

공개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정부 정책에는 국가 후원 수용소에 위구르족을 자의적으로 구금하고,[12][13] 무자유 노동,[14][15] 위구르족 종교 활동 탄압,[16] 정치적 인독트리네이션,[17] 심각한 학대,[18] 강제 불임수술,[19] 강제 피임,[20][21] 그리고 강제 낙태가 포함된다.[22][23] 중국 정부 통계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주로 위구르족 지역인 호탄시카슈가르시출생률이 60% 이상 감소했다.[19] 같은 기간 동안 전국 출생률은 9.69% 감소했다.[24] 중국 당국은 2018년 신장의 출생률이 거의 3분의 1 감소했음을 인정했지만, 강제 불임수술 및 집단학살에 대한 보고는 부인했다.[25] 신장의 출생률은 2019년에 24% 더 감소했으며, 이는 전국적인 4.2% 감소와 비교된다.[19]

중국 정부는 신장에서 인권 침해를 저지른 적이 없다고 부인한다.[7][26] 국제적인 반응은 다양했다. 일부 유엔 회원국은 유엔 인권 이사회에 중국의 정책을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지만, 다른 국가들은 중국의 정책을 지지했다.[27] 2020년 12월, 국제형사재판소에 제기된 사건은 주장된 범죄가 "규정의 당사국이 아닌 중국 영토 내 중국 국적자에 의해서만 저질러진"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기각되었고, 이는 ICC가 이들을 조사할 수 없음을 의미했다.[28][29] 미국은 2021년 1월 19일 인권 침해를 집단학살로 선언했다.[30] 이후 여러 국가의 입법부는 중국의 행위를 집단학살로 규정하는 비구속적 동의안을 통과시켰는데, 여기에는 캐나다 하원,[31] 네덜란드 의회,[32] 영국 하원,[33] 리투아니아 세이마스,[34] 그리고 프랑스 국회가 포함된다.[35] 뉴질랜드,[36] 벨기에,[37] 그리고 체코와 같은 다른 의회들은 중국 정부의 위구르족 처우를 "심각한 인권 침해" 또는 인도에 반한 죄로 비난했다.[38]

이러한 학대 보고서와 이에 대한 국제적 반응에 비추어,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는 이 지역의 학대 보고서를 조사하려고 했다.[39] 유엔 위원회가 100만 명 이상의 무슬림이 자의적으로 구금되었다는 추정치가 신뢰할 만한 주장이라는 조사 결과를 발표한 지 거의 4년 후인 2022년 8월 31일에 OHCHR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인권 문제 평가 보고서가 발표되었다.[39][40]

보고서 내용

조사 방법

이 보고서는 OHCHR이 문서화한 증거를 철저히 검토하여 유엔이 작성했다.[41] 보고서 작성 시 여러 형태의 증거가 고려되었는데, 여기에는 학대가 공개적으로 보고될 당시 신장에 거주했던 수십 명과의 인터뷰가 포함된다.[39][40] 또한 보고서는 중국 정부가 보고된 학대와 동시에 공개적으로 밝힌 내용에 분석 초점을 맞췄는데, 여기에는 당시 공표된 중국 정부 문서와 법률이 포함된다.[41][42] 2022년 5월, OHCHR 최고대표 미첼 바첼레트는 신장을 방문했다. 방문 전에 그녀는 신장 및 중국 전반의 인권 상황에 대해 우려하는 여러 NGO 대표들과 대화했다. 지역 도착 후, 그녀는 수많은 정부 관리, 학자, 시민 사회 지도자들과 이야기했다.[41] 그러나 중국의 반대로 인해 OHCHR은 중화인민공화국 국경 내에서 보다 철저한 현장 조사를 수행할 수 없었다.[40]

조사 결과

보고서의 조사 결과는 신장에서 대규모 학대가 발생했으며, 이는 주로 소수민족 지역의 학대에 대한 학술 연구 및 공개 보고서를 뒷받침한다.[40] 보고서는 신장의 위구르족 및 기타 튀르크계 무슬림에 대한 인권 침해가 심각하고 광범위하다고 결론지었다.[43]

자의적 구금

보고서에서 OHCHR은 중국 정부가 신장 수용소에 위구르족 및 기타 튀르크계 무슬림을 대량으로 자의적으로 구금했다는 보고가 신뢰할 만하며, 중국 국가의 행위가 자유 박탈에 해당하고 차별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졌다고 명시했다.[39][44] 신장에 구금되었던 전 수감자들은 의자에 묶인 채 구타를 당했고 워터보딩과 유사한 고문을 받았다고 진술했으며, 보고서는 수용소 내 고문의 신뢰할 만한 증거가 있다고 언급했다.[45] 보고서는 이러한 학대가 광범위한 인권 침해를 구성하며 인도에 반한 죄 수준에 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44]

강제 노동

보고서는 중국 정부가 직업 훈련이라고 지칭하는 노동 계획이 차별을 구성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39][44] 중국이 빈곤 완화 계획이라고 설명하는 노동 계획이 위구르족 및 기타 소수민족의 강제 노동을 포함했는지 여부에 대해, 보고서는 이러한 계획이 실제로 노동자 강제를 포함했다는 증거가 있다고 밝혔다.[42][45]

성폭력 및 불임수술

OHCHR은 신장 수용소 내 위구르족 및 기타 튀르크계 무슬림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 보고가 신뢰할 만하다고 설명했다.[39] 유엔과 인터뷰한 여성들은 교도관에게 구강 강간을 당하고 대중 앞에서 강제로 성기 검사를 받았다고 진술했다.[40] 보고서는 또한 신장에서 수행된 자궁 내 장치 삽입 및 불임수술 건수가 "비정상적으로 급증"했음을 지적하며, 중국 정부가 신장 위구르족의 출생률을 급격히 낮추기 위해 강압적인 수단을 사용했다고 밝혔다.[44]

권고 사항

보고서에는 정부 행위자, 유엔, 그리고 광범위한 국제 사회를 위한 권고 조치 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중국 정부에 대한 권고 사항 중에는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강제 실종으로부터 모든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 협약, 그리고 고문 방지 협약, 모든 형태의 인종 차별 철폐에 관한 국제 협약여성 차별 철폐 협약의 선택 의정서 비준이 포함된다.[46][47][44]

2024년 3월, 유엔 인권최고대표 폴커 튀르크는 중국에게 보고서의 권고 사항을 이행할 것을 촉구했다.[48]

편집

폴리티코에 따르면, 보고서는 발표 며칠 전 "베이징 측의 일부 버전을 수용하기 위해" 편집되었으며, 한 외교관은 불임수술 관련 부분이 "마지막 몇 시간 동안 약화되었다"고 주장했다.[49]

반응

중국 정부는 이 보고서가 "반중 세력이 조작한 허위 정보와 거짓말에 기반한 것"이라고 밝히며 131쪽 분량의 반박 보고서를 발행했다.[1][42] 중국 외교부는 이 평가가 "무효하고 불법적"이라고 말했다.[39] 정부는 외교 채널을 통해 유엔 인권최고대표 미첼 바첼레트에게 압력을 가했다. 북한, 베네수엘라, 쿠바는 유엔 최고대표에게 보고서를 발행하지 말라고 요청했다.[50]

이 보고서는 일부 활동가들로부터 범죄를 집단학살이라고 부르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았다. 중국 밖의 많은 위구르족은 이 보고서를 중국 내 위구르족의 고통에 대한 공식적인 인정으로 받아들였으며, 국제적인 캠페인에 힘을 더할 수 있기를 희망했다.[51][52] 위구르 인권 프로젝트(Uyghur Human Rights Project) 사무총장 오메르 카나트(Omer Kanat)는 이 보고서를 "위구르족 위기에 대한 국제적 대응의 판도를 바꾸는 것"이라고 말하며, "중국 정부의 강력한 부인에도 불구하고, 유엔은 끔찍한 범죄가 발생하고 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고 덧붙였다.[1]

미국 국무장관 앤터니 블링컨과 유엔 주재 미국 대사 린다 토머스그린필드는 모두 이 보고서를 환영했다.[53] 유럽연합 외교안보 고위대표 주제프 보렐과 차기 단명한 영국 총리 리즈 트러스(외무장관 시절)도 이 보고서를 환영했다.[54]

파키스탄 외교부는 신장의 사회경제적 발전, 조화, 평화, 안정을 위한 중국의 노력을 지지한다.[55] 빌라왈 부토 자르다리 외교부 장관은 OHCHR의 보고서가 "맥락에서 벗어났다"고 비난했다.[56]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의 조교수 대런 바일러는 이 보고서를 "전 수감자와 그 가족들에게 중요한 정당성 부여이자, 수백 명의 연구자와 언론인의 작업이 유효하다는 확인"이라고 평했다. 바일러에 따르면, 이 보고서는 중국의 무슬림 소수자 학대에 악용되어 온 중국의 "테러 방지법"에 대한 설득력 있는 반박이다.[57]

같이 보기

각주

  1. “China's treatment of Uyghurs may be crime against humanity, says UN human rights chief”. 《가디언》. 2022년 8월 31일. 2022년 9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2. “Torture claims against China Uyghurs credible – UN”. 《BBC 뉴스》. 2022년 8월 31일. 2022년 9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3. Cumming-Bruce, Nick; Ramzy, Austin (2022년 8월 31일). “U.N. Says China May Have Committed 'Crimes Against Humanity' in Xinjiang”. 《뉴욕 타임스》 (미국 영어). 2022년 9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4. “One million Muslim Uighurs held in secret China camps: UN panel”. 알자지라. 2018년 8월 10일. 2021년 10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5. Welch, Dylan; Hui, Echo; Hutcheon, Stephen (2019년 11월 24일). “The China Cables: Leak reveals the scale of Beijing's repressive control over Xinjiang”. ABC 뉴스 (오스트레일리아). 2021년 4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6. “UN: Unprecedented Joint Call for China to End Xinjiang Abuses”. 휴먼 라이츠 워치. 2019년 7월 10일. 2019년 1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2월 18일에 확인함. 
  7. Finley, Joanne (2020). 《Why Scholars and Activists Increasingly Fear a Uyghur Genocide in Xinjiang》. 《Journal of Genocide Research23. 348–370쪽. doi:10.1080/14623528.2020.1848109. S2CID 236962241. 
  8. Kirby, Jen (2020년 9월 25일). “Concentration camps and forced labor: China's repression of the Uighurs, explained”. 《복스》. 2020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It is the largest mass internment of an ethnic-religious minority group since World War II. 
  9. Khatchadourian, Raffi (2021년 4월 3일). “Surviving the Crackdown in Xinjiang”. 《더 뉴요커》 (미국 영어). 2021년 4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4일에 확인함. 
  10. Feng, Emily (2018년 7월 9일). “Uighur children fall victim to China anti-terror drive”. 《파이낸셜 타임스》. 2018년 7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11. 에이드리언 젠즈 (July 2019). 《Break Their Roots: Evidence for China's Parent-Child Separation Campaign in Xinjiang.》. 《The Journal of Political Risk》 7. 2021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12. Waller, James; Albornoz, Mariana Salazar (2021). 《Crime and No Punishment? China's Abuses Against the Uyghurs》. 《Georgetown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영어) 22. 100–111쪽. doi:10.1353/gia.2021.0000. ISSN 2471-8831. S2CID 235855240. 2022년 4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13. Danilova, Maria (2018년 11월 27일). “Woman describes torture, beatings in Chinese detention camp”. 《AP 통신》. 2019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2월 2일에 확인함. 
  14. Turdush, Rukiye; Fiskesjö, Magnus (2021년 5월 28일). 《Dossier: Uyghur Women in China's Genocide》. 《Genocide Studies and Prevention》 15. 22–43쪽. doi:10.5038/1911-9933.15.1.1834. 
  15. Sudworth, John (December 2020). “China's 'tainted' cotton”. 《BBC 뉴스》. 2021년 3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16.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9년 6월 18일). 《Uyghurs in China》 (PDF).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20년 12월 1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2월 2일에 확인함. 
  17. “Muslim minority in China's Xinjiang face 'political indoctrination': Human Rights Watch”. 《로이터》. 2018년 9월 9일. 2020년 11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2월 18일에 확인함. 
  18. “Responsibility of States under International Law to Uyghurs and other Turkic Muslims in Xinjiang, China” (PDF). Bar Human Rights Committee. 2020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2월 18일에 확인함. 
  19. “China cuts Uighur births with IUDs, abortion, sterilization”. 《AP 통신》. 2020년 6월 28일. 2020년 12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2월 18일에 확인함. 
  20. “China Forces Birth Control on Uighurs to Suppress Population”. 미국의 소리. Associated Press. 2020년 6월 29일. 2021년 5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21. Samuel, Sigal (2021년 3월 10일). “China's genocide against the Uyghurs, in 4 disturbing charts”. 《복스》. 2021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22. “China: Uighur women reportedly sterilized in attempt to suppress population”. 《도이체 벨레》. 2020년 7월 1일. 2021년 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4일에 확인함. 
  23. “China 'using birth control' to suppress Uighurs”. 《BBC 뉴스》. 2020년 6월 29일. 2020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7월 7일에 확인함. 
  24. “Birth rate, crude (per 1,000 people) – China”. 세계은행. 2021년 4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월 2일에 확인함. 
  25. Ivan Watson, Rebecca Wright and Ben Westcott (2020년 9월 21일). “Xinjiang government confirms huge birth rate drop but denies forced sterilization of women”. CNN. 2020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26일에 확인함. 
  26. Griffiths, James (2021년 4월 17일). “From cover-up to propaganda blitz: China's attempts to control the narrative on Xinjiang”. 《CNN》. 2021년 4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27. Basu, Zachary (2020년 10월 8일). “Mapped: More countries sign UN statement condemning China's mass detentions in Xinjiang”. 《악시오스》. 2020년 1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2월 18일에 확인함. 
  28. Griffiths, James. “China avoids ICC prosecution over Xinjiang for now, but pressure is growing”. CNN. 2021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2월 19일에 확인함. 
  29. “Report on Preliminary Examination Activities 2020” (PDF). The Office of the Prosecutor. 국제형사재판소. 2020년 12월 14일. 2021년 4월 1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2월 19일에 확인함. 
  30. Gordon, Michael R. (2021년 1월 19일). “U.S. Says China Is Committing 'Genocide' Against Uighur Muslims”. 《월스트리트 저널》. 2021년 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월 19일에 확인함. 
  31. Ryan Patrick Jones (2021년 2월 22일). “MPs vote to label China's persecution of Uighurs a genocide”. 캐나다 방송 협회. 2021년 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25일에 확인함. A substantial majority of MPs — including most Liberals who participated — voted in favour of a Conservative motion that says China's actions in its western Xinjiang region meet the definition of genocide set out in the 1948 United Nations Genocide Convention. ... The final tally was 266 in favour and zero opposed. Two MPs formally abstained. 
  32. “Dutch parliament: China's treatment of Uighurs is genocide”. 《로이터》. 2021년 2월 25일. 2021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25일에 확인함. 
  33. Hefffer, Greg (2021년 4월 22일). “House of Commons declares Uighurs are being subjected to genocide in China”. 《스카이 뉴스》. 2021년 4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22일에 확인함. 
  34. Basu, Zachary (2021년 5월 20일). “Lithuanian parliament becomes latest to recognize Uyghur genocide”. 《악시오스》. 2021년 5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35. “French Parliament Denounces China's Uyghur 'Genocide'. 《AFP 뉴스》. 2022년 1월 20일. 2022년 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36. Manch, Thomas (2021년 5월 5일). “Parliament unanimously declares 'severe human rights abuses' occurring against Uyghur in China”. 《스터프》. 2021년 5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5월 5일에 확인함. 
  37. “Belgian MPs warn of 'risk of genocide' of China's Uyghurs”. 《알아라비야》. AFP. 2021년 6월 15일. 2022년 3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38. Gerlin, Roseanne (2021년 6월 15일). “Belgium, Czech Republic Legislatures Pass Uyghur Genocide Declarations”. 《자유아시아방송》. 2022년 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39. McCarthy, Simone (2022년 9월 1일). “China may have committed 'crimes against humanity' in Xinjiang, UN report finds”. 《CNN》. 2022년 9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40. Moritsugu, Ken; Keaten, Jamey (2022년 9월 1일). “To China's fury, UN accuses Beijing of Uyghur rights abuses”. 《AP 통신》. 2022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41. “China responsible for 'serious human rights violations' in Xinjiang province: UN human rights report”. 《유엔 뉴스》. 2022년 8월 31일. 2022년 9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42. Wong, Chun Han (2022년 9월 1일). “Xinjiang Rights Report Ratchets Up Standoff Between the U.S. and China”. 《월스트리트 저널》. 2022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43. Mistreanu, Simina (2022년 9월 1일). “Torture, rape and forced sterilisation: China's abuse of Uyghurs 'credible', says UN”. 《텔레그래프》. 2022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2일에 확인함. 
  44. Bermingham, Finbarr (2022년 9월 1일). “China may have committed crimes against humanity in Xinjiang, UN says”.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2022년 9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45. Davidson, Helen (2022년 9월 1일). “Five key points from the UN report on Xinjiang human rights abuses”. 《가디언》. 2022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2일에 확인함. 
  46. Yiu, Pak (2022년 9월 2일). “U.N.: China may be committing crimes against humanity in Xinjiang”. 《닛케이 아시아》. 2022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47. Wong, Chun Han; Arredy, James T. (2022년 9월 1일). “U.N. Report Says China May Have Committed Crimes Against Humanity in Xinjiang”. 《월스트리트 저널》. 2022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48. “UN rights chief says China committing violations in Xinjiang, Tibet”. 《로이터》. 2024년 3월 4일. 2024년 3월 5일에 확인함. 
  49. Lao, Stuart (September 2022). “China Direct: Damning UN report — Crimes against humanity — No fan of Gorbachev”. 《politico.eu》. 폴리티코. 2022년 9월 6일에 확인함. 
  50. “UN rights chief under 'tremendous pressure' over Xinjiang report”. 《알자지라》. 2022년 8월 25일. 2022년 9월 7일에 확인함. 
  51. Ramzy, Austin (2022년 9월 1일). “For Uyghurs, U.N. Report on China's Abuses Is Long-Awaited Vindication”. 《뉴욕 타임스. 2022년 9월 2일에 확인함. 
  52. “China: New UN Report Alleges Crimes Against Humanity”. 《휴먼 라이츠 워치》. 2022년 8월 31일. 2022년 9월 2일에 확인함. 
  53. “U.S. welcomes, China slams UN report on Uyghur rights abuses”. 《CBC 뉴스》. 2022년 9월 1일. 2022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2일에 확인함. 
  54. “UN head hopes China will 'take on board' Xinjiang recommendations”. 《알자지라》 (영어). 2022년 9월 1일. 2022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2일에 확인함. 
  55. 무함마드 에산 (2022년 10월 11일). “Pakistan supports Chinese efforts for Xinjiang”. 《파키스탄 옵서버》. 
  56. “We're tired of conflict': Pakistan treads carefully on Ukraine war; hails relationship with China”. 《CNA》. 
  57. Cheung, Rachel (2022년 9월 1일). 'A Major Vindication': UN Says China Committed Serious Rights Violations in Xinjiang”. 《Vice.com》 (영어). 2022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