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We Are 는 미국 의 얼터너티브 록 밴드 라이프하우스 (Lifehouse) 의 네번째 정규 앨범 이다. 앨범은 CD 포맷으로 2007년 6월 18일 에 미국 에서 발매되었다. 다음 날인 19 일에는 디지털 다운로드 포맷으로 발매되었다. 라이프하우스 가 앨범의 작업에 착수할 때 그들에겐 데모 한 곡 없이 그저 리드 보컬 제이슨 웨이드 (Jason Wade) 가 작사한 가사만 가지고 있었으며 작곡은 앨범 작업과 동시에 진행되었다고 한다. 앨범에 수록된 곡들은 대부분 사랑, 환희, 고난, 고통과 같은 서로 다른 감정들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 음악적으로는 앨범은 록 , 얼터너티브 록 , 어덜트 컨템포러리 가 조합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앨범은 평단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첫 주 49,000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빌보드 HOT 200 차트의 14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빌보드 의 다른 여러 차트에서도 20위 내의 우수한 성적을 기록하였다. 2008년 10월 22일 에 미국 음반산업협회 (RIAA)에서 수여하는 GOLD 마크를 받았다.
앨범의 타이틀 싱글은 앨범보다 앞선 2007년 3월 7일에 공개된 "First Time "으로 이 곡은 여러 나라에서 차트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두번째 싱글인 "Whatever It Takes "은 2007년 11월 13일에 초연되었으며 다수의 빌보드 차트에 이름을 올렸다. 세번째 싱글인 "Broken "은 영화음악에도 쓰이는 등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어 미국, 유럽 및 기타 몇몇 국가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배경
앨범은 미국 의 프로듀서 주드 콜 (Jude Cole) 과 라이프하우스 , 그리고 존 필즈 (John Fields)가 프로듀싱했다.[ 6] 라이프하우스 는 데모 한 곡 없이 그저 제이슨 웨이드 가 작사한 가사만 가지고 Who We Are 앨범 작업을 시작했다.[ 7] 앨범의 수록곡들을 만들어가는 과정에 대하여 라이프하우스 의 드러머 릭 울스텐험 (Rick Woolstenhulme) 은 "아무도 무엇을 연주해야 할지 몰랐죠. 그냥 작업을 했는데 들어보니 마치 전자음악의 느낌이 많이 나더군요. 마치 라디오를 막 틀었을 때 흘러나오는 것처럼요."라고 밝혔다.[ 8]
앨범 사랑, 환희, 고난, 고통과 같은 서로 다른 감정들에 포커스를 맞춘다.[ 9] 음악적으로는 앨범은 록 , 얼터너티브 록 , 어덜트 컨템포러리 가 조합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10] 웨이드 는 앨범의 제목에 관한 질문에 “우린 서로 두터운 우정을 쌓았고 완전한 한 팀을 이루었습니다. 이 앨범은 제목 그대로 “우리는 누구인가 (Who we are)”를 말해주는 그런 앨범입니다. 앨범에 담긴 곡들은 우리가 지금 어디에 와있는지를 정확하게 표현해 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11]
라이프하우스 의 리드 보컬 제이슨 웨이드 “Who We Are”의 곡 작업을 하는 동안 다양한 삶의 사건 속에서 여러 가지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타이틀 싱글 "First Time ”에 대하여 웨이드 는 “그 곡은 마치 첫 사랑, 첫 키스처럼 절 안절부절 못하게 만드는 그 느낌을 표현한 곡입니다. 마치 생각했던 것보다 더 깊은 관계로 나아갔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느꼈을 때의 설렘 같은 거죠. 평범한 러브송과는 다르게 그 느낌을 조금 더 깊이 다루어보고 싶었습니다."[ 12] 웨이드 는 한 영국 의 소년이 학교 친구들로부터 왕따를 당해 자살한 사건을 다른 기사를 신문에서 읽고 난 뒤 수록곡 "The Joke”를 작곡하였다.[ 13] 수록곡 "Broken ”은 신장이식을 필요로 하는 친구의 집을 방문하기 위해 테네시주 네쉬빌 에 다녀오고 난 후 작곡한 곡이다.[ 11]
수록곡” Make Me Over”는 플라스틱 오노 밴드 에서 영감을 받은 또다른 수록곡 "Learn You Inside Out”을 작업하던 중 라이프하우스 멤버들의 브리티시 록에 대한 사랑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하였다.[ 11] "Learn You Inside Out”에 대하여 웨이드 는 “전 그 곡을 금방 썼어요. 우린 그 곡을 프리스타일 느낌으로 만들기로 했죠. 그 곡을 작업할 때가 우리가 진짜 하나의 밴드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아요. 비로소 서로를 잘 알게 되었고 앞으로 어디로 나아가야 할지를 알게 되었죠.”라고 말했다.[ 11] 수록곡 "Disarray”는 웨이드 의 종교중심적이고 엄격했던 가족에게서 영감을 받았다. .[ 11] 수록곡 “Storm”은 원래 웨이드 가 굉장히 힘들 시절을 보내던 16살에 작곡한 곡이었다.[ 11] 이 곡에 대한 인터뷰에서 웨이드 는 다음과 같이 밝혔다. “”그 곡을 녹음하는 건 참 재미있었습니다. 우린 곡 제목의 의미를 참 좋아합니다. 제목인 ‘’Storm’’은 나를 둘러싼 불안한 환경을 의미하죠, 마치 아카펠라의 시작처럼요. 혼돈 속에 빠져있게 되면 나를 둘러싼 환경이 어떻게 돌아가든 난 혼자일 뿐이죠. 그런 느낌을 담은 제목입니다.”[ 11]
차트 성적
미국 에서 Who We Are 는 빌보드 HOT 200 차트에 첫 주 49,000장의 판매고를 기록하며 14위로 데뷔하였다.[ 14] [ 15] 앨범은 차트에 76주간 이름을 올렸다.[ 14] 앨범은 빌보드 차트 록 앨범 부분 차트에서 5위로 데뷔하였다.[ 14] 또한 빌보드 차트 디지털 앨범 부분 차트에서 4위로 데뷔하였으며 연속 5주간 차트에 이름을 올렸으며 빌보드 차트 얼터너티브 록 앨범 부분 차트에서 18위로 데뷔하였고 10주간 차트에 이름을 올렸다.[ 14] 2008년 10월 22일, 앨범은 RIAA (미국 음반 산업 협회) 로부터 GOLD 인증 을 받았다.[ 16] 2010년 6월 28일에는 앨범의 싱글들이 300만 건의 다운로드 횟수를 돌파하였다.[ 17]
공연활동
Who We Are 앨범의 흥행을 위해서 라이프하우스 는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일리노이주 시카고 , 뉴욕주 뉴욕시티 , 조지아주 애틀란타 를 순회하는 "Disarray Tour" 공연을 한다.[ 18] 미국 가수 맷 나단손 (Matt Nathanson) 과 HoneyHoney 가 일부 투어 일정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19] 2007년 7월 9일, 라이프하우스 는 토크쇼 Last Call with Carson Daly 에 출연 "First Time "등을 공연하며 앨범 홍보활동을 이어나갔다.[ 20] 2007년 8월 15일에는 The Late Late Show with Craig Ferguson 에 출연하여 "First Time "을 공연하였다.[ 21] 그들의 2008년 2월 10일에 열린 2008 NFC 프로볼 에도 참석하였다.[ 22] 2008년 2월 15일, 라이프하우스 는 미국 의 유명 토크쇼 The Tonight Show with Jay Leno 에서 공연하였다.[ 23] 2008년 4월 1일에는 Live with Regis and Kelly 에 출연, "First Time "과 "Whatever It Takes "을 공연하였다.[ 24]
수록곡
참여
이하는 올뮤직 에서 가져온 정보이다.[ 25]
라이프하우스 (Lifehouse)
그외의 참여 인력
저먼 비라코타 (German Villacorta) – 어시스턴트
마크 솜기나리 (Mark Somgynari) – 어시스턴트
윌 샌달스 (Will Sandalls) – 엔지니어
제프 로스차일드 (Jeff Rothschild) – 오디오 믹싱
잭 조셉 푸이그 (Jack Joseph Puig) – 오디오 믹싱
에반 피터스 (Evan Peters) – A&R
톰 파넌지오 (Thom Panunzio) – A&R, 오디오 믹싱
딘 넬슨 (Dean Nelson) – 오디오 믹싱 어시스턴트
팀 맥클로이 (Tim McCloy) – 어시스턴트
스테판 루 (Stephen Lu) – 지휘
크리스 로드 (Chris Lord) – 오디오 믹싱
파멜라 리티 (Pamela Littky) – 사진 촬영
팻 레오나드 (Patrick Leonard) – 키보드
진 존슨 (Jenn Johnson) – 제작 지원
에릭 존슨 (Erik Johnson) – 디자인
테드 젠슨 (Ted Jensen) – 마스터링
로스 호가스 (Ross Hogarth) – 엔지니어링
티나 하지오 (Tina Hagio) – 디자인
퀴노 하지오 (Kunio Hagio) – 그림
에릭 골파인 (Eric Gorfain) – 바이올린
마크 골든버그 (Mark Goldenberg) – 기타
존 필즈 (John Fields) – 프로듀서
스콧 페어클로흐 (Faircloff) – 엔지니어링, 보컬 프로듀서
리처드 도드 (Richard Dodd) – 첼로
로코 델루카 (Rocco Deluca) – 오르간
주드 콜(Jude Cole) – 작곡, 기타 , 키보드 , 피아노 , 프로듀서 , 세컨 보컬
댑헌 첸 (Daphne Chen) – 바이올린
리아 캐츠 (Leah Katz) – 비올라
키스 암스트롱 (Keith Armstrong) – 오디오 믹싱 어시스턴트
차트
발매
참고사항
↑ Erlewine, Stephen Thomas. “Who We Are – Lifehouse (Allmusic)” . 《Allmusic 》. Rovi Corporation . 2011년 6월 17일에 확인함 .
↑ Lai, Alex. “Lifehouse, "Who We Are" Review” . Contactmusic.com . 2011년 6월 17일에 확인함 .
↑ DiBiase, John (2007년 6월 18일). “Lifehouse, "Who We Are" Review” . Jesus Freak Hideout. 2011년 6월 17일에 확인함 .
↑ Wippsson, Johan (2007). “Lifehouse - Who We Are” . Melodic.net . 2016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2일에 확인함 .
↑ Shetler, Scott (2007년 6월 29일). “Lifehouse: Who We Are” . Slant Magazine . 2013년 2월 2일에 확인함 .
↑ “Who We Are – Lifehouse” . 《Billboard 》. Nielsen Business Media . 2011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Mainstream Pop-Rock Success” . About.com . 2012년 8월 25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Lifehouse Releases "Who We Are" ” . Geffen Records . 2011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Lifehouse Stripped” . Geffen Records . 2011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Who We Are by Lifehouse – iTunes” . Apple Inc. 2011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Lifehouse – Biography, Photos, News, Videos, Reviews and Tour Dates and Tickets” . Contactmusic.com . 2011년 7월 12일에 확인함 .
↑ “Lifehouse's 1st Single – "First Time" on iTunes” . Geffen Records . 2011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26일에 확인함 .
↑ “Lifehouse biography” . NFL Enterprises LLC. 2011년 1월 31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Who We Are – Lifehouse (Chart History)” . 《Billboard 》. Nielsen Business Media . 2011년 6월 17일에 확인함 .
↑ “Bon Jovi Scores First No. 1 Album Since 1988” . 《Billboard 》. Nielsen Business Media . 2011년 6월 22일에 확인함 .
↑ “RIAA –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 RIAA . 2011년 6월 22일에 확인함 .
↑ “Natasha Bedingfield, Lifehouse and Travie McCoy Featuring Bruno Mars to Rock the Stage at the 2010 VH1 Do Something Awards” . SYS-CON Publications, Inc. 2011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Lifehouse Announces Tour Dates” . Universal Music . 2011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PBS Soundstage Today” . Geffen Records . 2011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Lifehouse : News: Watch Lifehouse LIVE at Last Call with Carson Daly in Burbank” . Geffen Records . 2011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26일에 확인함 .
↑ “Lifehouse : News: Lifehouse Performing on The Late Late Show with Craig Ferguson” . Geffen Records . 2011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26일에 확인함 .
↑ “Pro Bowl Performance This Sunday 2/10!” . Geffen Records . 2011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Lifehouse On Jay Leno 2/15!” . Geffen Records . 2011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Lifehouse On Live With Regis & Kelly April 1st!” . Geffen Records . 2011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Who We Are – Lifehouse” . Rovi Corporation . 2011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Who We Are – Lifehouse” . 《Billboard 》. Nielsen Business Media . 2011년 6월 22일에 확인함 .
↑ “ライフハウスのCDアルバムランキング、ライフハウスのプロフィールならオリコン芸能人事典-ORICON STYLE” . Oricon.co.jp. 2013년 4월 23일에 확인함 .
↑ “Who We Are: Lifehouse: Amazon.co.uk: Music” . Amazon.com, Inc. 2011년 7월 12일에 확인함 .
↑ “Who We Are: Lifehouse: Amazon.de: Musik” . Amazon.com, Inc. 2011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Who We Are (Bonus Track Version) by Lifehouse – Download Who We Are (Bonus Track Version)” . Apple Inc. 2011년 7월 12일에 확인함 .
↑ “Who We Are: Lifehouse: Amazon.fr: Musique” . Amazon.com, Inc. 2011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Who We Are (Bonus CD) (Bonus Tracks) – Lifehouse – Compact Disc (UPC 0602517785809)” . All Media Guide . 2011년 7월 12일에 확인함 . [깨진 링크 (과거 내용 찾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