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 은 코로나19 범유행 으로 인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에 감염된 확진자가 없는 유일한 대륙이었으나, 2020년 12월 22일 남극의 칠레 기지에서 58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였다.[ 1] [ 2] [ 3]
배경
2020년 1월 12일, 세계보건기구 (WHO)는 2019년 12월 31일부터 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성 우한시 에서 일어난 사람들의 집단 호흡기 증상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와 관련이 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 [ 5]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치명률 은 2003년에 유행한 사스 유행 때보다는 낮으나,[ 6] [ 7] 전염성이 SARS보다 월등히 강하여, 총 사망자 수가 SARS를 넘게 되었다.[ 6] [ 8]
남극
남극 연구소에 오는 사람들은 자가 격리와 코로나19 검사를 받아야 한다.[ 1] 호주와 독일의 남극 연구소는 인공호흡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과 영국의 연구소에 인공호흡기가 있는지에 대한 여부는 확인이 아직 되지 않았다.[ 1] 또한 영국 남극 조사국은 예방 조치를 시행하였다.[ 9]
남극 대륙에 기지를 두고 있는 나라는 대한민국을 포함한 29개국으로, 40여 곳의 베이스와 연구센터가 있다. 이후 코로나19 범유행의 영향이 점점 커지면서 남극 내에서도 사회적 거리두기 등이 진행되었다.[ 10] 이후 대한민국은 아라온호 를 통하여 월동연구대 35명을 포함한 84명의 승무원을 태우고 2020년 10월 남극으로 출발하였다.[ 11]
코로나19 전염병이 여행에 미치는 영향은 대륙에서 영국 남극 조사 요원을 대피시키는 것과 합병증을 일으켰다.[ 12]
2020년 4월, 남극으로 향하는 크루즈선 그레그 모티머호에서 승객의 60%가 코로나19에 대해 양성 반응을 보였다.[ 13] [ 14] 시간이 지나면서 80%까지 그 인원이 확대되었으며, 대부분의 확진자는 무증상 감염자였다.[ 15] 이후 크루즈선은 우루과이 의 몬테비데오 항구로 들어왔고, 승객들은 배에서 내리고, 버스를 통해 국제공항까지 이동하게 된다.[ 16]
2020년 4월 14일, 남극은 스켈레톤 승무원만이 있으며, 방문객의 방문은 제한되어 있고, 비필수적인 인원에 대해 철수 조치를 시켰다. 이에 과학 연구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17] 킹조지섬 에 있는 칠레의 남극 해군기지는 최소 인원만 남기고 나머지를 모두 철수시켰다.[ 18] 우루과이에서는 대원의 수를 19명에서 9명으로 줄였다. 또한 남미 등 다른 대륙에서 남극으로 오는 물자는 반드시 소독을 거쳐야 한다.[ 19]
2020년 중반에 계획됐던 남극 대륙에 관한 여러 회의가 취소되었다.[ 20]
2020년 12월 22일 남극의 칠레 오이긴스 기지에서 군인 26명과 관리원 10명 등 36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같이 보기
각주
↑ 가 나 다 Taylor, Adam; Pitrelli, Stefano (2020년 3월 24일). “One continent remains untouched by the coronavirus: Antarctica” . 《The Washington Post》. 2020년 4월 3일에 확인함 .
↑ Torres, Elle (2020년 3월 20일). “What life is like on Antarctica, the only continent without a case of coronavirus” . 《ABC News》. 2020년 4월 3일에 확인함 .
↑ Agence France-Presse (2020년 3월 31일). “Pacific islands, Antarctic bases: coronavirus-free living in some of Earth's most isolated places” . 《South China Morning Post》. 2020년 4월 3일에 확인함 .
↑ Elsevier. “Novel Coronavirus Information Center” . 《Elsevier Connect》. 2020년 1월 30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15일에 확인함 .
↑ Reynolds, Matt (2020년 3월 4일). “What is coronavirus and how close is it to becoming a pandemic?” . 《Wired UK》. ISSN 1357-0978 . 2020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Crunching the numbers for coronavirus” . 《Imperial News》. 2020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15일에 확인함 .
↑ “High consequence infectious diseases (HCID); Guidance and information about high consequence infectious diseases and their management in England” . 《GOV.UK》 (영어). 2020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17일에 확인함 .
↑ “World Federation Of Societies of Anaesthesiologists – Coronavirus” . 《www.wfsahq.org》. 2020년 3월 12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15일에 확인함 .
↑ “British Antarctic Survey response to COVID-19” . 《British Antarctic Survey》. 2020년 3월 24일. 2020년 4월 3일에 확인함 .
↑ 박종익 (2020년 5월 20일). “고립 속에 또 고립…코로나19 없는 유일한 대륙 남극의 비결” . 《나우뉴스 》. 2020년 11월 14일에 확인함 .
↑ 오예진 (2020년 10월 30일). “' 코로나19 뚫는 연구 열정'…아라온호, 139일 남극항해 시작” . 《연합뉴스 》. 2020년 11월 14일에 확인함 .
↑ Amos, Jonathan (2020년 4월 7일). “Coronavirus complicates journeys home from Antarctica” . 《BBC News》. 2020년 4월 20일에 확인함 .
↑ Griffiths, James; Castillo, Jackie (2020년 4월 8일). “Passengers to be evacuated from Antarctic cruise ship after almost 60% test positive for coronavirus” . 《CNN》. 2020년 4월 20일에 확인함 .
↑ Al-Arshani, Sarah (2020년 4월 9일). “Nearly 60% of the passengers on an Antarctic cruise ship have tested positive for the coronavirus” . 《Business Insider》. 2020년 4월 20일에 확인함 .
↑ 황효원 (2020년 6월 23일). “무증상 코로나19 감염자, 더 오랫동안 코로나 퍼뜨린다” . 《이데일리 》. 2020년 11월 14일에 확인함 .
↑ 고미혜 (2020년 4월 9일). “승객 60% 코로나19 감염된 남극 크루즈선, 우루과이서 입항 허가” . 《연합뉴스 》. 2020년 11월 14일에 확인함 .
↑ Laing, Aislinn; Garrison, Cassandra (2020년 4월 14일). “' Isolated within isolation': keeping out coronavirus in the frozen Antarctic” . 《Reuters》. 2020년 4월 20일에 확인함 .
↑ 박찬범 (2020년 5월 16일). “' 고립 강화' 남극, 코로나19 청정지역으로 남아” . 《SBS 》. 2020년 11월 14일에 확인함 .
↑ 손영식 (2020년 5월 18일). “세계 유일 코로나19 청정대륙…남극 확진자 0명 비결은?” . 《나우뉴스 》. 2020년 11월 14일에 확인함 .
↑ “International Antarctic conferences cancelled due to coronavirus” . 《Australian Antarctic Division》. 2020년 3월 19일. 2020년 4월 3일에 확인함 .
외부 링크
나라별 범유행
관련 주제 보건의료
관련 기관
세계보건기구
대만
대한민국
미국
영국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대륙
태국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