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Twchoi1Twchoi1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위키백과는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입니다.
--~~~~ )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국가공간정보체계 말입니다...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일부 기여는 제가 뜯어고쳤습니다. 표제어엔 그냥 한자나 영어 (한글 포함)중 하나만 넣으면 됩니다. 국가공간정보체계(國家空間情報體系)처럼요.또 위키백과에 알맞지 않은 부분(~로 기대된다 등), '우리나라'이런 표현은 다 뺐습니다.위키백과는 미래를 예측하는 곳이 아니며, 여긴 '한국어'판이지 '대한민국'판 위키백과가 아니므로 '우리나라'나 '외국' 같은 표현은 부적절합니다. 더 궁금한 점 있으시면 제 토론 페이지에 글을 남겨 주세요.--Saehayae (토론) 2010년 12월 2일 (목) 15:13 (KST)
추신:글을 남길 땐 맨 위 검색창 옆에 '새 주제'누르시고 글 쓰시면 됩니다.--Saehayae (토론) 2010년 12월 2일 (목) 16:09 (KST)
문법은 현재 알찬 글인 부산대학교나 서울대학교 등을 보며 참고하는 건 어떨까요?더 많은 글은 백:알찬글 참조하세요. 아, 백:질문방에서 오른쪽의 '새로질문하기'누르시고 위키문법을 물어보셔도 되고, 백:사랑방에서 의견을 나눌수도 있습니다. 이 정도면 충분한가요?--Saehayae (토론) 2010년 12월 2일 (목) 19:36 (KST) 추가:백:길라잡이에서 위키백과 작성법을 배울 수도 있습니다^^.--Saehayae (토론) 2010년 12월 2일 (목) 19:38 (KST)
안내토론은 사용자 문서가 아닌 사용자 토론 문서에서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사용자 문서에 올리신 내용은 사용자 토론 문서로 옮겨 드렸습니다.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람 (논의) 『Carpediem』 2010년 12월 2일 (목) 16:09 (KST)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국가공간정보체계(國家空間情報體系)는 대한민국 정부에서 추진하는 사업으로서,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의 공간정보를 체계적으로 통합하여 공간정보의 공동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체계이다. 특히, 이러한 국가공간정보체계는 국가공간정보에관한법률(2009.05.22) 제2조 6항에 의거하여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로 정의하고 있다.
추진 경과대한민국의 공간정보 구축사업은 지난 95년 이래 시행된 국가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사업 이후 양적,질적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으나, 대부분의 GIS시스템이 조직과 업무별로 구축되어 시스템간 자료를 공유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었고 이는 공간자료의 중복 구축 등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토해양부와 행정안전부는 ’08년 각종 공간정보시스템의 연계․통합을 추진하기로 하고, ’09년에는 각 기관별 공간정보를 연계하기 위한 표준시스템 개발, 공간정보 DB 및 행정주제도 구축 등의 사전 준비를 하여 8개 시도 와 36개 시군구에 시범적으로 적용하였다. ![]() '10년부터 ’12년까지는 확산 단계로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과 보급을 통해 국가공간정보체계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고, 국토의 보존과 관련한 임상도, 문화재, 연안정보도 등을 단계적으로 구축한다. 또한, 전국의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에 국가공간정보체계를 확산하고, 부처별로 개별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공간정보를 연계하여 공동 활용할 목적으로 진행중이다. 구축된 국가공간정보체계는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정부기관 뿐만아니라 민간 및 산업에 이르는 전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게함으로서 체계적 국토관리의 기반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대국민 서비스의 새로운 편의성과 가치를 제공하게 된다.
범위국가공간정보체계는 크게 다음과 같은 서비스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지방자치단체 내부서비스로서 공간정보 및 표준체계 공유, 정보 활용체계의 표준화 확대, 외부기관의 정보활용 서비스를 제공하며 둘째, 중앙부처 및 유관기관 서비스를 위해 외부기관의 공간정보제공, 공간정보 카탈로그, 국토정책수립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마지막으로,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공간정보 포털기반, 공간정보 유통기반, 공간정보 융/복합 산업기반 제공 등과 같이 자치단체, 중앙행정기관 및 대국민 전반에 걸쳐 공간정보와 그의 활용을 위한 체계 공급이 국가공간정보체계의 주요 목적이다. 지방자치단체 내부서비스공간정보 및 표준체계 공유
행정업무의 공간정보 연계
외부기관의 공간정보 활용
중앙부처 및 유관기관 서비스외부기관의 공간정보 제공
공간정보 카달로그 서비스
국토정책수립 지원 기반 제공
대민서비스 및 기타공간정보 포털 기반 제공
공간정보 유통 기반 제공
공간정보 융․복합산업 기반 제공
제공하는 공간정보와 서비스자료채널을 통한 공간정보의 수평/수직적 연계/공유/통합OGC 국제 표준을 따르는 W*S 서비스 제공통합데이터베이스
기대 효과이러한 국가공간정보체계가 완료되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국가공간정보체계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공간정보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며, 행정정보에 공간정보를 연계한 입체적 대민행정서비스를 통해 국민의 행정신뢰도 향상에 큰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공개가 가능한 최신의 공간정보를 민간에게 보급함으로서 유비쿼터스, 모바일, 가상공간 등 융복합 산업분야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바깥 고리
같이 보기Reference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