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 (웹 콘텐츠)
위키백과에 대한 오해 중 인터넷에 관한 부분에서는 이렇게 정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는 대다수의 위키백과 편집자들이 어떤 웹 특화 콘텐츠(웹 사이트의 콘텐츠나 사이트 그 자체)를 위키백과 문서로 만들어야 할지 결정할 때 사용하는 개략적인 지침을 제공합니다. 웹 콘텐츠란 블로그, 인터넷 포럼, 뉴스그룹, 웹진, 다른 미디어, 팟캐스트, 웹툰, 포털 사이트를 포함합니다. (다만 여기에만 한정짓지는 않습니다.) 이 지침에서는, 오직 인터넷만을 기반으로 배포되는 콘텐츠는 어떤 것이든 웹 콘텐츠라 간주합니다.[1] 위키백과의 사용자들은 위키백과를 광고하는 데 사용하는 것을 싫어합니다. 위키백과는 광고판이 아니라는 공식 정책은 오래 전부터 존재하고 있습니다. 광고는 중립적 시각을 유지하기 위해 청소되거나 삭제될 것입니다.[2] 위키백과는 웹 디렉터리가 아닙니다. 이런 점에서 위키백과는 다른 웹 사이트 링크를 걸고 분류하는 데 특화된 곳이 아닙니다. 위키백과는 링크, 이미지, 미디어 파일 저장소나 미러 사이트가 아닙니다. 외부 링크와 그 콘텐츠에 대한 간단한 설명만 있는 문서는 삭제될 수 있습니다.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주제는 다른 문서에 병합되거나 삭제될 수 있습니다. 저명하지 않은 것 같은 문서에는 다른 편집자에게 문제점을 알리기 위해 {{저명성}} 틀이 붙을 수도 있습니다. 어떤 문서가 삭제 리스트에 올라갈 때, 문서는 삭제 토론으로 옮겨져 관련 토의를 하게 됩니다. 확인 가능한 증거를 토대로 결정하기영어 낱말 사전에서 'Notability'는 "언급할 가치가 있다" 또는 "주목을 끈다"는 뜻입니다. 위키백과는 이 정의를 기반으로 하여 웹 콘텐츠가 단독 문서화될 만큼 저명한지 판단합니다. 여기서 문서란 해당 웹 콘텐츠, 저자, 주인과 상관 없으며 믿을 수 있는 출처에서 주목했다는 확인 가능한 증거를 기반으로 작성된 것을 말합니다. 저명성은 단지 꼭 필요한 출처들이 어딘가에 존재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할 뿐이지, 그 출처가 반드시 해당 문서 내에 제시될 것을 요구하지는 않습니다. 문서 등재 기준을 충족하는 것은 타고나는 것이 아닙니다"저명하다"는 "유명하다"나 "중요하다"의 동의어가 아닙니다. 편집자들이 개인적으로 "중요하다"거나 "유명하다"고 믿는 웹 콘텐츠라도 주목받았음을 입증해야만 저명하다고 인정받습니다. 어떤 웹 사이트건, 그게 어떤 종류건 이 요구 사항에 예외란 없습니다. 만약 개인 웹 사이트가 그곳과는 무관한 출처의 주목을 거의 또는 전혀 받지 못했다면 그건 저명한 것이 아닙니다. 그런 형태의 다른 웹 콘텐츠도 단지 존재한다는 이유만으로 일반인에겐 주목받으니까요. (아래 "콘텐츠가 저명하지 않다면" 참조. ) 웹 콘텐츠의 저명성을 평가할 때는, 그것이 문화, 사회, 연예, 체육, 경제, 역사, 문학, 과학, 교육계에 끼친 영향이 지대하거나 눈에 띄는지 고려해 주세요. 방문자가 많은 웹사이트라면 그곳이 저명하다는 증거를 제공해 줄, 읽을 수 있으며 믿을 수 있는 출처가 더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비교적 작은 웹사이트도 저명해질 수 있습니다. 자의적인 기준으로 큰 웹사이트만 선호하는 편견에 매몰되지 마세요. 문서 등재 기준은 다른 곳에서 상속받지 않습니다단지 저명한 사람, 회사, 사건이 관련된 웹 콘텐츠라고 해서 그게 저명한 것은 아닙니다. 웹 콘텐츠 자체가 주목받지 못했다면 그건 등재할만 하지 않은 겁니다. 예를 들어 주목할 만한 사람이 만든 웹 사이트라 해도, 그 사이트가 주인 덕에 "저절로" 등재 기준을 충족하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대체로 사람 문서 안에 그 웹사이트를 서술하는 게 가장 좋습니다. 마찬가지로 웹 사이트가 등재 기준을 충족한다고 해서 그 사이트 주인이나 저자가 그 웹 콘텐츠를 작성했다는 이유만으로 "저절로" 등재 기준을 충족하지 않습니다. 기준모든 문서는 반드시 믿을 수 있는 출처로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정책을 따라야 합니다. 또한 실린 출처가 독립적이지 않은데다 자비로 출판된 것만 있다면 저명성을 확립하기 어렵습니다. 저명한 웹 특화 콘텐츠[3]란 다음 기준 중 하나를 만족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기준은 위키백과 문서로 만들어야 할 웹 콘텐츠를 쉽게 식별하기 위해 경험 법칙으로서 제시되었습니다. 거의 모든 경우, 독립적이고 신뢰성 있는 제3자의 출처를 깐깐하게 찾으면 콘텐츠가 이 기준을 한두 개 만족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 기준을 만족한다고 해서 그 콘텐츠가 단독 문서화될 자격을 완전히 갖추었다고 확실하게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콘텐츠가 저명하지 않다면위키백과는 이 지침과 일반적인 저명성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어떠한 웹 콘텐츠를 별도의 문서로 실어주는 곳이 절대 아닙니다. 관습적으로 앞에 서술한 부류에 들어가는 주제이든 어떠한 것이든, 편집자가 끝내 그 주제에 대해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해 줄 독립적인 출처를 찾지 못한 것은 문서로 만들어서는 안 됩니다. 위키백과의 목표는 늘어날 가능성도 없는 토막글도 아니고 자기 PR 출처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문서도 아닙니다. 그러나 몇몇 조건을 만족한다면 특정 웹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위키백과 내에 다른 경로로 수록될 수도 있습니다. 단독 문서화하기 힘든 음악가, 그룹, 작품에 대한 자료는 몇몇 다른 문서에 포함될 수도 있습니다. 단독 문서화될 정도는 아닌 웹 콘텐츠는 웹 콘텐츠 관련 목록 문서 내에 서술할 것입니다. 웹사이트 관련 소재는 그곳을 소유한 단체 문서에 병합될 것입니다. 주제의 이름을 적절히 넘겨주면 독자들은 다른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같이 보기주해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