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이마티티

검은이마티티
브라질 프라도의 검은이마티티
브라질 프라도의 검은이마티티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영장목
아목: 직비원아목
하목: 원숭이하목
소목: 광비원소목
과: 사키원숭이과
아과: 티티원숭이아과
속: 칼리케부스속
종: 검은이마티티
(C. nigrifrons)
학명
Callicebus nigrifrons
(Spix, 1823)
검은이마티티의 분포 지역

검은이마티티의 분포 지역
보전상태


준위협(NT): 근미래에 위협에 처할 수 있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검은이마티티(Callicebus nigrifrons)는 신세계원숭이에 속하는 티티원숭이의 일종이다.[2] 남아메리카브라질에서 발견된다. 검은이마티티는 작은 주행성 영장류이다.[3] 몸은 회색에서 갈색까지의 털로 덮여 있으며, 얼굴 주변에는 검은색 털이 밀집되어 있다. 꼬리는 은은한 주황색을 띤다.[4][5] 몸무게는 1~2kg이고, 머리부터 몸까지의 길이는 약 270~450mm이다.[4] 성적 이형성을 보이지 않는다.[5] 사육 환경에서 최대 12년까지 살 수 있다.[6]

분포 및 서식지

검은이마티티는 브라질 대서양림 지역 고유종으로,[7][8][4] 평균 20헥타르의 서식 범위를 가지고 있다.[8] 검은이마티티는 수목성 동물이며 숲의 중간에서 위쪽 수관을 선호한다.[5] 그러나 때때로 먹이를 찾고, 이동하고, 놀기 위해 숲 바닥으로 이동하기도 한다.[9] 브라질에서는 검은이마티티와 마모셋 사이에서 숲 바닥에서의 놀이 행동이 보고되었다.[10]

생태

먹이

검은이마티티는 과실을 먹는 식성으로, 무성한 초목 속에서 먹이를 찾는다.[5] 잎과 씨앗, 무척추동물, 꽃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11][8] 과실을 많이 먹는 식성 덕분에 씨앗을 퍼뜨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2]

포식자

검은이마티티의 포식자로는 부채머리수리, 올빼미, 매, 팔콘, 타이라, 재규어런디, 오셀롯, 마게이, 호랑고양이, 퓨마, 재규어, 큰뱀, 그리고 다른 큰 영장류(고함원숭이 등)가 있다.[5][3] 검은이마티티는 추운 아침에 햇볕을 쬐기 위해 수관 위쪽으로 이동할 때 부채머리수리의 공격에 특히 취약하다.[5] 맹금류를 감지하면, 검은이마티티는 숨을 때 전에 경보를 울려 주변 지역에 신속하게 알린다.[5]

습성

검은이마티티 한 쌍

검은이마티티는 사회적으로 일부일처제이며,[13][5][4] 일반적으로 성체 한 쌍과 그 새끼를 포함하여 2~6마리의 무리로 발견된다.[9][4] 암컷은 보통 7월이나 8월에 매년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4] 검은이마티티의 수컷은 새끼를 돌보고 사회 활동을 하며, 암컷은 젖만 준다.[14] 수컷과 암컷 모두 3살이 되면 태어난 무리에서 흩어진다.[9]

검은이마티티는 영역 의식이 강하며, 영역, 먹이 자원, 그리고 짝을 지킬 때 개별적으로 또는 이중창이나 합창으로 큰 소리를 낸다.[8][9] 큰 소리는 무리 내외의 의사소통에 사용되며, 진폭이 크고 주파수가 낮아 먼 거리에서도 들을 수 있다.[15] 큰 소리는 새벽이나 다른 무리를 보거나 들을 때 낸다.[8] 포식자와 마주쳤을 때, 이중창과 합창은 최대 두 시간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무리 구성원들은 작은 소리와 큰 소리를 번갈아 낸다.[16] 포식자와의 상호작용에서 소리 행동에는 성별 차이가 없으며, 수컷과 암컷 모두 소리를 낸다.[5] 검은이마티티는 포식자 유형(공중 또는 지상)과 근처 동종에게 포식자의 위치를 알려주는 소리를 낼 수 있다.[17]

티티원숭이아과에 속하는 검은이마티티는 꼬리가 서로 얽혀 있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러한 행동은 짝짓기 유대감을 강화하고 사회적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8][19][20]

보전 상태

검은이마티티는 광범위한 서식지 손실과 삼림 파편화, 그리고 지난 24년간 20% 이상의 개체수 감소로 인해 IUCN에서 준위협종으로 분류되었다.[9] 파편화로 인해 작고 고립된 개체군이 흔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이로 인해 이 종이 지역적으로 멸종되었다.[4] 소음 공해도 이 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광산 작업 소음은 검은이마티티의 장거리 의사소통을 제한했는데, 이는 광산 소음과 큰 소리의 울음소리 빈도가 겹치기 때문이다.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음성 의사소통에 크게 의존하는 종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8]

각주

  1. Jerusalinsky, L.; de Melo, F.R.; Mittermeier, R.A.; Quadros, S.; Rylands, A.B. (2020). Callicebus nigrifrons. 《IUCN 적색 목록》 (IUCN) 2020: e.T39943A17973667. doi:10.2305/IUCN.UK.2020-3.RLTS.T39943A17973667.en. 2025년 7월 3일에 확인함. 
  2.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44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3. Caselli, Christini B.; Gestich, Carla C.; Nagy-Reis, Mariana B. (2017년 8월 1일). “Sleeping above the enemy: Sleeping site choice by black-fronted titi monkeys (Callicebus nigrifrons )”. 《American Journal of Primatology》 79 (10): e22688. doi:10.1002/ajp.22688. ISSN 0275-2565. PMID 28763579. S2CID 3863454. 
  4. dos Santos, Glênio Pereira; Galvão, Cristiane; Young, Robert J. (2012년 2월 5일). “The diet of wild black-fronted titi monkeys Callicebus nigrifrons during a bamboo masting year”. 《Primates》 53 (3): 265–272. doi:10.1007/s10329-012-0295-5. ISSN 0032-8332. PMID 22311072. S2CID 16700262. 
  5. Cäsar, Cristiane (2012). 《Anti-predator behaviour of black-fronted titi monkeys (Callicebus nigrifrons).》. University of St Andrews. OCLC 806194348. 
  6. Berthet, Mélissa; Mesbahi, Geoffrey; Duvot, Guilhem; Zuberbühler, Klaus; Cäsar, Cristiane; Bicca‐Marques, Júlio Cèsar (2021년 10월 5일). “Dramatic decline in a titi monkey population after the 2016–2018 sylvatic yellow fever outbreak in Brazil”. 《American Journal of Primatology》 83 (12): e23335. doi:10.1002/ajp.23335. hdl:10023/26129. ISSN 0275-2565. PMID 34609763. S2CID 238356438. 
  7. Caselli, Christini Barbosa; Setz, Eleonore Zulnara Freire (2011년 8월 23일). “Feeding ecology and activity pattern of black-fronted titi monkeys (Callicebus nigrifrons) in a semideciduous tropical forest of southern Brazil”. 《Primates》 52 (4): 351–359. doi:10.1007/s10329-011-0266-2. ISSN 0032-8332. PMID 21861115. S2CID 23317950. 
  8. Duarte, M. H. L.; Kaizer, M. C.; Young, R. J.; Rodrigues, M.; Sousa-Lima, R. S. (2017년 9월 11일). “Mining noise affects loud call structures and emission patterns of wild black-fronted titi monkeys”. 《Primates》 59 (1): 89–97. doi:10.1007/s10329-017-0629-4. ISSN 0032-8332. PMID 28894994. S2CID 22866221. 
  9. Berthet, Mélissa; Mesbahi, Geoffrey; Duvot, Guilhem; Zuberbühler, Klaus; Cäsar, Cristiane; Bicca‐Marques, Júlio Cèsar (2021년 10월 5일). “Dramatic decline in a titi monkey population after the 2016–2018 sylvatic yellow fever outbreak in Brazil”. 《American Journal of Primatology》 83 (12): e23335. doi:10.1002/ajp.23335. hdl:10023/26129. ISSN 0275-2565. PMID 34609763. S2CID 238356438. 
  10. Souza-Alves, João Pedro; Mourthe, Italo; Hilário, Renato R.; Bicca-Marques, Júlio César; Rehg, Jennifer; Gestich, Carla C.; Acero-Murcia, Adriana C.; Adret, Patrice; Aquino, Rolando; Berthet, Mélissa; Bowler, Mark (2019년 10월 1일). “Terrestrial Behavior in Titi Monkeys (Callicebus, Cheracebus, and Plecturocebus): Potential Correlates, Patterns, and Differences between Genera”. 《International Journal of Primatology》 (영어) 40 (4): 553–572. doi:10.1007/s10764-019-00105-x. hdl:10923/19198. ISSN 1573-8604. S2CID 201671105. 
  11. Nagy-Reis, Mariana B.; Setz, Eleonore Z. F. (2016년 8월 2일). “Foraging strategies of black-fronted titi monkeys (Callicebus nigrifrons) in relation to food availability in a seasonal tropical forest”. 《Primates》 58 (1): 149–158. doi:10.1007/s10329-016-0556-9. ISSN 0032-8332. PMID 27485746. S2CID 20019302. 
  12. Gestich, Carla Cristina; Nagy-Reis, Mariana B.; Caselli, Christini Barbosa (2019년 10월). “From dropping to dropping: The contribution of a small primate to seed dispersal in Atlantic Forest”. 《Acta Oecologica》 100: 103464. Bibcode:2019AcO...10003464G. doi:10.1016/j.actao.2019.103464. ISSN 1146-609X. S2CID 202854598. 
  13. Souza-Alves, João Pedro; Caselli, Christini B.; Gestich, Carla C.; Nagy-Reis, Mariana B. (2019년 2월 20일). “Should I store, or should I sync? The breeding strategy of two small Neotropical primates under predictable resource availability”. 《Primates》 60 (2): 113–118. doi:10.1007/s10329-019-00716-1. ISSN 0032-8332. PMID 30788624. S2CID 67788608. 
  14. Cäsar, Cristiane; Young, Robert John (2007년 10월 16일). “A case of adoption in a wild group of black-fronted titi monkeys (Callicebus nigrifrons)”. 《Primates》 49 (2): 146–148. doi:10.1007/s10329-007-0066-x. ISSN 0032-8332. PMID 17938856. S2CID 11927244. 
  15. Caselli, Christini; Mennill, Daniel; Bicca-Marques, Júlio César; Setz, Eleonore (2014년 3월 3일). “Vocal behavior of black-fronted titi monkeys (Callicebus nigrifrons): Acoustic properties and behavioral contexts of loud calls”. 《American Journal of Primatology》 76 (8): 788–800. doi:10.1002/ajp.22270. PMID 24591251. S2CID 24816221. 
  16. Narbona Sabaté, Lara; Mesbahi, Geoffrey; Dezecache, Guillaume; Cäsar, Cristiane; Zuberbühler, Klaus; Berthet, Mélissa (2022년 1월 9일). “Animal linguistics in the making: the Urgency Principle and titi monkeys' alarm system”. 《Ethology Ecology & Evolution》 34 (3): 378–394. doi:10.1080/03949370.2021.2015452. hdl:10023/26711. ISSN 0394-9370. S2CID 248421107. 
  17. Cäsar, Cristiane; Zuberbühler, Klaus; Young, Robert J.; Byrne, Richard W. (2013년 10월 23일). “Titi monkey call sequences vary with predator location and type”. 《Biology Letters》 9 (5): 20130535. doi:10.1098/rsbl.2013.0535. PMC 3971693. PMID 24004492. 
  18. Moynihan, M. (1966). “Communication in the Titi monkey, Callicebus”. 《Journal of Zoology》 (영어) 150 (1): 77–127. doi:10.1111/j.1469-7998.1966.tb02999.x. ISSN 1469-7998. 
  19. “Titi monkey”. 《Smithsonian's National Zoo》 (영어). 2016년 4월 25일. 2022년 2월 9일에 확인함. 
  20. Bezerra, BM; Ferrari, S; Boyle, SA; Veiga, LM (August 2009). “Pitheciine Action Group Newsletter” (PDF). 13면. 2025년 7월 4일에 확인함.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