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이마티티(Callicebus nigrifrons)는 신세계원숭이에 속하는 티티원숭이의 일종이다.[2]남아메리카의 브라질에서 발견된다. 검은이마티티는 작은 주행성 영장류이다.[3] 몸은 회색에서 갈색까지의 털로 덮여 있으며, 얼굴 주변에는 검은색 털이 밀집되어 있다. 꼬리는 은은한 주황색을 띤다.[4][5] 몸무게는 1~2kg이고, 머리부터 몸까지의 길이는 약 270~450mm이다.[4] 성적 이형성을 보이지 않는다.[5] 사육 환경에서 최대 12년까지 살 수 있다.[6]
분포 및 서식지
검은이마티티는 브라질 대서양림 지역 고유종으로,[7][8][4] 평균 20헥타르의 서식 범위를 가지고 있다.[8] 검은이마티티는 수목성 동물이며 숲의 중간에서 위쪽 수관을 선호한다.[5] 그러나 때때로 먹이를 찾고, 이동하고, 놀기 위해 숲 바닥으로 이동하기도 한다.[9] 브라질에서는 검은이마티티와 마모셋 사이에서 숲 바닥에서의 놀이 행동이 보고되었다.[10]
생태
먹이
검은이마티티는 과실을 먹는 식성으로, 무성한 초목 속에서 먹이를 찾는다.[5] 잎과 씨앗, 무척추동물, 꽃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11][8] 과실을 많이 먹는 식성 덕분에 씨앗을 퍼뜨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2]
포식자
검은이마티티의 포식자로는 부채머리수리, 올빼미, 매, 팔콘, 타이라, 재규어런디, 오셀롯, 마게이, 호랑고양이, 퓨마, 재규어, 큰뱀, 그리고 다른 큰 영장류(고함원숭이 등)가 있다.[5][3] 검은이마티티는 추운 아침에 햇볕을 쬐기 위해 수관 위쪽으로 이동할 때 부채머리수리의 공격에 특히 취약하다.[5] 맹금류를 감지하면, 검은이마티티는 숨을 때 전에 경보를 울려 주변 지역에 신속하게 알린다.[5]
습성
검은이마티티 한 쌍
검은이마티티는 사회적으로 일부일처제이며,[13][5][4] 일반적으로 성체 한 쌍과 그 새끼를 포함하여 2~6마리의 무리로 발견된다.[9][4] 암컷은 보통 7월이나 8월에 매년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4] 검은이마티티의 수컷은 새끼를 돌보고 사회 활동을 하며, 암컷은 젖만 준다.[14] 수컷과 암컷 모두 3살이 되면 태어난 무리에서 흩어진다.[9]
검은이마티티는 영역 의식이 강하며, 영역, 먹이 자원, 그리고 짝을 지킬 때 개별적으로 또는 이중창이나 합창으로 큰 소리를 낸다.[8][9] 큰 소리는 무리 내외의 의사소통에 사용되며, 진폭이 크고 주파수가 낮아 먼 거리에서도 들을 수 있다.[15] 큰 소리는 새벽이나 다른 무리를 보거나 들을 때 낸다.[8] 포식자와 마주쳤을 때, 이중창과 합창은 최대 두 시간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무리 구성원들은 작은 소리와 큰 소리를 번갈아 낸다.[16] 포식자와의 상호작용에서 소리 행동에는 성별 차이가 없으며, 수컷과 암컷 모두 소리를 낸다.[5] 검은이마티티는 포식자 유형(공중 또는 지상)과 근처 동종에게 포식자의 위치를 알려주는 소리를 낼 수 있다.[17]
티티원숭이아과에 속하는 검은이마티티는 꼬리가 서로 얽혀 있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러한 행동은 짝짓기 유대감을 강화하고 사회적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8][19][20]
보전 상태
검은이마티티는 광범위한 서식지 손실과 삼림 파편화, 그리고 지난 24년간 20% 이상의 개체수 감소로 인해 IUCN에서 준위협종으로 분류되었다.[9] 파편화로 인해 작고 고립된 개체군이 흔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이로 인해 이 종이 지역적으로 멸종되었다.[4] 소음 공해도 이 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광산 작업 소음은 검은이마티티의 장거리 의사소통을 제한했는데, 이는 광산 소음과 큰 소리의 울음소리 빈도가 겹치기 때문이다.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음성 의사소통에 크게 의존하는 종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8]
↑Nagy-Reis, Mariana B.; Setz, Eleonore Z. F. (2016년 8월 2일). “Foraging strategies of black-fronted titi monkeys (Callicebus nigrifrons) in relation to food availability in a seasonal tropical forest”. 《Primates》 58 (1): 149–158. doi:10.1007/s10329-016-0556-9. ISSN0032-8332. PMID27485746. S2CID20019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