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타힉사키

우타힉사키[1]
우타힉사키
우타힉사키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영장목
아목: 직비원아목
하목: 원숭이하목
소목: 광비원소목
과: 사키원숭이과
아과: 사키원숭이아과
속: 수염사키원숭이속
종: 우타힉사키
(P. utahicki)
학명
Pithecia utahicki
Hershkovitz, 1985
우타힉사키[1]의 분포 지역

우타힉사키의 분포 지역
보전상태


위기(EN): 절멸가능성 매우 높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2]

우타힉사키(Pithecia utahicki)는 신세계원숭이에 속하는 수염사키원숭이의 일종이다. 남아메리카 브라질 고유종으로, 아마존 싱구강토칸칭스강 사이에만 서식한다.[1] 이전에는 동쪽에 서식하는 검은수염사키의 아종으로 분류되었지만, 등은 옅은 갈색이다.[3][4]

어원

이름은 쾰른 동물원에서 수염사키를 돌본 독일 영장류학자인 우타 힉(Uta Hick)을 기리기 위해 지어졌다.[5][6] 1980년대에 우타 힉은 수염사키 사육에 성공한 최초의 사람이었다.[7] 우타 힉의 기혼 성은 우타 럼플러(Uta Rümpler)이다.[8]

종소명 우타히키(utahicki)는 종종 우타히카에(utahickae)로 수정된다.[1] ICZN 규칙에 따르면 -ae는 여성 수상자 이름(즉, "우타히키의"를 의미)의 소유격에 적합한 접미사이다.[8][9] -i가 기술적으로 남성 수상자임을 나타내지만 일부 출처에서는 이전 utahicki를 수정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10] 현재(1999년) ICZN에서는 이러한 수정을 할 공식적인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11]

특징

우타힉사키의 생활 방식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다른 수염사키와 유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주로 네 발로 움직이는 주행성 나무 거주자이다. 우타힉사키는 크고 혼합된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며, 먹이를 찾기 위해 더 작은 소집단으로 나뉜다. 주 먹이는 보통 딱딱한 껍질의 과일과 씨앗이다.[3][2]

우타힉사키에게 가장 큰 위협은 건설 프로젝트와 농경지 전환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이다. 고기와 모피를 얻기 위한 사냥 또한 우려되는 문제이다. IUCN은 향후 30년 동안 개체수가 50% 감소할 것으로 우려하며 이 종을 "심각한 멸종 위기종 " 으로 분류하고 있다.[3][2]

각주

  1.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47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2. Veiga, L. M.; Silva Jr., J. S.; Ferrari, S. F.; Rylands, A. B. (2008). “Chiropotes utahickae2008: e.T43892A10830166. doi:10.2305/IUCN.UK.2008.RLTS.T43892A10830166.en. 
  3. Silva Jr., J. S. and Figueiredo, W. M. B. (2002). Revisão sistemática dos cuxiús, gênero Chiropotes Lesson, 1840 (Primates Pithecidae). Livro de Resumos do XO. Congresso da Sociedade Brasileira de Primatologia, Amazônia – A Última Fronteira: 21. Belém, Brazil.
  4. Bonvicino, C. R., Boubli, J. P., Otazú, I. B., Almeida, F. C., Nascimento, F. F., Coura, J. R. and Seuánez, H. N. (2003). Morphologic, karyotypic, and molecular evidence of a new form of Chiropotes (primates, pitheciinae). American Journal of Primatology 61(3): 123-133.
  5. 《Fieldiana: Zoology》. Chicago Natural History Museum. 1985. 21쪽. named in honor of Fräulein Uta Hick, Curator of the Kölner Zoo and long-time editor of the prestigious Zeitschrift des Kölner Zoo. Much is owed Miss Hick for her contributions 
  6. Veiga, Liza M.; 외. (2013). 《Evolutionary Biology and Conservation of Titis, Sakis and Uacar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07-35468-5. 당시 유일하게 사육된 수염사키는 독일 쾰른 동물원에 있었고, 선구적인 영장류학자 우타 힉의 보살핌을 받았다. 힉은 이후 필립 허쉬코비츠에 의해 1985년 새로운 수염사키에게 '키로포테스 사타나스 유타히키(Chiropotes satanas utahicki)'라는 이름을 붙여주며 그 공로를 인정받았다. 
  7. Grzimek, Bernhard (1990). 《Encyclopedia of Mammals》. McGraw-Hill. 137–143쪽. ISBN 978-0-07-909508-4. 수염사키는 쾰른 동물원의 우타 힉만이 만족스럽게 키웠다. 그녀는 자신의 성공 비결을 이렇게 설명한다. "제 경험상 모든 사키는 극도로 예민한 동물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8. 《Fieldiana: Zoology》. Chicago Natural History Museum. 1993. 6쪽. 우타 힉(현재 우타 럼플러)은 여성형 어미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이를 키로포테스 사타나스 우타히카에(Chiropotes satanas utahickae)로 수정한다. 
  9. “Article 31”. 《ICZN》 4판. 1999. 종 그룹 이름은 소유격 명사가 […] 현대 인명에서 직접 형성된 경우, 그 인명이 남성인 경우 이름의 어간에 -i를, […] 여성인 경우 -ae를 추가하여 형성된다. 
  10. Brandon-Jones, D., Duckworth, J. W., Jenkins, P. D., Rylands, A. B., and Sarmiento, E. E. (2007). The genitive of species-group scientific names formed from personal names. Zootaxa 1541: 41-48.
  11. “Chiropotes utahickae”. 《Integrated Taxonomic Information System》. 2022. 원래는 utahicki로 표기되었는데, utahickae로 표기했어야 했지만, 이는 ICZN 제32.2조 및 제32.5조에 따라 수정 가능한 오류로 보이지 않습니다. -ae 대신 -i를 사용한 것은 잘못된 라틴어 표기로 보이며, 이는 우발적인 오류(제32.5.1조)로 간주되지 않으므로, 이 오류는 수정해야 할 '필수' 사항이 아니며, '올바른 원래 철자'로 간주되어야 한다. ICZN 목록(2021년 3월)에 대한 논의에서, 제32.2조에 따라 이름이 잘못 형성/라틴화되는 경우에는 문제가 있다는 데 일반적으로 동의했다. 1999년 제4판 규약 제31.1.2항(수상자 수와 성별에 따른 -i/-orum/-ae/-arum 어미의 부정확한 사용)에 대한 수정 조항이 없으며, 제32항의 문구에도 이러한 유형의 수정 사항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 '오류'는 다음 판 규약에서 해결될 예정이지만, ITIS는 이 문제를 기록하고 가능한 한 현재 용법을 따르도록 노력할 것이다.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