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 ![]()
![]() 결혼식(結婚式), 혼례식(婚禮式), 영어로 웨딩(영어: wedding)은 혼인이나 비슷한 경우로 두 사람이 결합할 때 치르는 행사이며, 종교적 주관자나 정부 허가의 세속적 절차로 시행될 수 있다. 결혼식은 제3자에 의해 진행되지만, 많은 종교전통에서 결혼에 대해 두 사람이 선서하게 하고, 하객들의 목격, 지지, 정당화를 함께 한다. 결혼식의 유교적 절차는 혼례로 부른다. 결혼 문화의 공통 요소일부 문화권에서는 신부가 하얀 웨딩 드레스와 베일을 착용하는 서양식 결혼식을 받아들였다. 서양식 결혼식은 빅토리아 여왕의 결혼을 통해 널리 퍼지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빅토리아 여왕이 흰 가운을 선택한 것이 단지 사치를 과시하는 것이라고 보았지만, 성적인 순결을 강조한 것으로 보는 사람도 있다.[1] 한국의 전통 혼례![]() 혼례(婚禮)는 결혼식의 유교적 절차를 이르는 이름이며, 혼(婚)은 서, 인(姻)은 처를 말하는 것으로 본래 혼(昏)시에 성례를 이룬다는 뜻이다. 결혼 연령이 고대에는 남자 30세, 여자 20세까지였으나 근세에는 남자 15세, 여자 14세(혹은 12세) 이상일 때 허락이 되었다. 물론 이 경우도 양가에 기년 이상의 복상이 없어야 하며 동성동관(同姓同貫)은 성혼할 수 없다. 혼례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문화청첩장결혼식 참석을 부탁하는 내용의 안내장을 청첩장이라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청접장에 신랑 신부 및 양가 부모의 이름과 결혼장소 등이 적혀 있는 격식을 갖춘 청첩장을 보내는 것이 관습이다. 다만 이메일이나 카카오톡으로 전자청접장을 보내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로 인해서 스미싱 피해사례가 늘고있다.[2] 제주도 특유의 결혼식 문화제주도에는 부신랑, 부신부라는 특유의 결혼 문화가 있다. 신조어결혼식을 치를 때 사용되는 스튜디오 촬영, 결혼 예복, 화장 등의 비용을 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의 앞자를 따 스드메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3] 예식장의 규모를 줄여 허례허식이 없는 결혼식을 추구하는 것을 스몰웨딩이라고도 한다. 각주
외부 링크
같이 보기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