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강릉원주대학교 강릉캠퍼스
국립강릉원주대학교 강릉캠퍼스(國立江陵原州大學校 江陵-,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Campus)는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소재한 강릉원주대학교의 본부 캠퍼스이다. 국립 종합대학인 강릉대학교가 1980년대부터 캠퍼스로 사용하던 부지로, 원주대학과 통합됨에 따라 2007년 3월 1일 강릉대학교 본교캠퍼스 혹은 강릉대학교 강릉캠퍼스 등으로 불리게 된다. 이후 2009년 학교 명칭이 변경됨에 따라 현재의 강릉원주대학교 강릉캠퍼스로 명칭이 바뀌었다. 종합대학이었던 만큼 일부 학문을 제외한 대부분의 학문이 연구되고 교수하고 있다. 부지 면적은 657,154m²로,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등에서 제시하는 재학생 기준으로 확보해야 할 면적의 344%에 이른다.[1] 강릉시 도심인 교동과 인접하며, 남측 범일로를 통하여 가톨릭관동대학교가 인접한다. 역사강릉원주대학교 강릉캠퍼스는 기존의 강릉초급대학이 강릉대학으로 개편하면서 형성된 지변캠퍼스가 시초이다. 1980년대 수립된 강릉대학 종합발전계획에 따라, 강릉시 초당동에 있던 캠퍼스를 현재의 교사가 위치한 지변동으로 이전하였고, 1982년에 학교 호수인 해람지를 준공했다. 1983년부터 1990년경까지 캠퍼스 조성에 힘썼으며, 1987년 대학원 설립 등을 거쳐 종합대학인 강릉대학교로 승격되었다. 1991년 3월 1일 종합대학인 강릉대학교로 개편되었다. 같은 해 경영정책과학대학원을 설치했고, 1992년 제163 학군단 창설하였다.[4] 2년 뒤, 1994년 대한민국에서 11번째로, 마지막 치과대학이 강원권에서 유일하게 설치되었다. 1997년 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이 개원하여 강원권 유일의 대학치과병원이 되어 진료 업무를 시작했다. 1991년부터 1999년까지 캠퍼스 건물을 준공하는데 집중하였으며, 양적으로 크게 성장하여 강원 영동권 최대 규모 대학의 면모를 갖추게된다. 2007년, 원주대학과 통합하였고, 2009년, 학내 교명 변경 요구 수용에 따라 강릉원주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면서, 강릉원주대학교 강릉캠퍼스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캠퍼스 풍경강릉캠퍼스는 강릉시 지변동과 유천동에 걸쳐 위치하는 대한민국 국립 대학의 본교 캠퍼스이다. 과거 강릉대학이 초당캠퍼스에서 1980년 이전한 지변캠퍼스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약 50여개 동의 건축물이 세워져 있다. 대학 본부는 캠퍼스 북부에 위치하며, 상공에서 볼 때 횡축의 죽헌길에서 이어지는 도로가 중앙을 담당하고, 그 이후로 나뭇가지가 뻗듯 세부적인 캠퍼스 내 도로들이 건축물을 연결하고 있다. 캠퍼스 동부에 정문이 위치하며, 강릉원주대학교의 상징 중 하나인, 입구 첨탑이 위치한다. 캠퍼스 입구 북부에 대운동장과 테니스자, 무도관, 체육관 등을 비롯한 체육 시설과 해람문화관 등 예술 시설이 위치한다. 입구 남부에 사회과학관, 인문관 등 일부 교육 시설과, 후생관과 학생회관이 위치한다. 학생회관에는 우편취급국, 편의점, 안경점, 문방구, 서점, 카페, 미용실 등이 위치하고 있다. 입구부터 대로로 직진하면, 중앙도서관 건물이 위치하는데, 이 건물에 박물관이 함께 위치해 있다. 도서관 건물과 후생관 사이로 학교의 호수인 해람지가 위치하고, 인근에 예술1호관, 예술2호관이 위치한다. 해람지는 강릉시의 트레일인 바우길 코스 중 하나인 학이시습지길의 시발점이다.[5] 해람지 남측으로 간단한 체육 시설과, 교육지원센터 등이 위치하며, 명진관, 율곡관과 사임당관 등 학생생활관이 위치한다. 더 남부쪽으로 내려가면 치과대학의 교육 시설과, 치과병원이 위치하고 있다. 도서관 남측 뒤편으로 예술2호관과 사이에 각추식물원이 위치하며, 북측 뒤편으로 대학본부 건물이 위치한다. 그 뒤편으로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대학, 공학대학 등이 사용하는 강의 시설이 위치한다. 한편, 강릉캠퍼스는 강릉시청, 강릉소방서 등과 인접해있는 시의 중심부에 위치해있으며 강릉역, 강릉시외버스터미널, 강릉고속버스터미널 등이 가까이 있어 교통이 편리한 편이다. 오죽헌이 캠퍼스 인근에 위치하며, 내부에 선사시대 지변동 유적이 위치해있다. 주요 건축물
기타 건축물
캠퍼스 갤러리
학생 활동
교육편제학부강릉캠퍼스는 한국어, 영어, 독일어, 중국어의 어학과 문학을 연구하고 철학, 한국사학 등의 기초학문 양성과 영동지역과 접경한 동해를 이용한 해양 바이오 산업에 특화된 생명과학 분야와 영동지역의 기상과 기후에 대한 연구가 두드러진다. 이 외에 사회과학, 공학 등 여러 분야의 학문에 교육과정이 편제되어 있으며 강원도 일반대학 중 같은 국립대학인 강원대학교와 유이하게 순수예술 학문에 대한 연구와 교수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학원강릉캠퍼스의 대학원 과정은 4개 대학원이 설치되어 있으며, 일반 1개원, 특수 3개원으로 구성한다. 일반대학원의 경우 캠퍼스 별로 편제된 학과에 차이가 있으며, 석사과정 47과정, 박사과정 34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협동과정으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과 연계하여 설치하고 있으며, 대학 특성화에 맞게 해양바이오, 생명과학 분야에 대한 연구가 두드러진다. 특수대학원으로 경영정책과학대학원, 교육대학원, 산업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다.
같이 보기각주
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