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수자리 에타(η Sgr)는 황도대 별자리인 궁수자리 방향에 있는 쌍성계이다. 시차 자료에 따르면 이 별은 지구로부터 약 146 광년 (45 파섹) 떨어진 곳에 있다.[2]
항성계
항성계의 주성 궁수자리 에타 A는 분광형 M2 III의 적색 거성이다.[6] 이 별은 진화하여 현재 중심핵에 있는 수소와 헬륨을 소진한 점근거성가지 단계에 있다.[10] A는 산소가 풍부한 불규칙 변광성으로 분류되며 겉보기 등급이 3.08 ~ 3.12 사이에서 맥동한다.[4][7] A의 각지름은 11.9 ± 2.1 mas이다.[11] A까지의 거리로 보아[2] 이 별의 반지름은 태양의 약 57 배이다.[9]
반성 궁수자리 에타 B는 1879년 미국 천문학자 S. W. 번햄이 최초로 기록했다. A와 B는 공통의 고유운동을 공유하므로 서로 중력에 의해 묶여 있을 가능성이 높다.[12] 반성은 겉보기 등급 7.77로 F형 주계열성으로 보인다. 주성으로부터 방위각 108° 위치에 3.6 초각만큼 떨어진 거리에 자리잡고 있다.[13] B는 적색 거성인 주성으로부터 약 165 천문단위 떨어져 있으며 두 항성은 최소 1270년에 1회 서로를 공전하고 있다.[7]
우리은하라는 맥락 안에서 보면 궁수자리 에타 계는 '희미하고 오래된 원반 무리'의 구성원이다.[4] 고유운동 때문에 이 별은 주후 6300년 경 북쪽왕관자리 영역으로 이동할 것이다.[14] 에타 계와 물리적으로 묶여 있지 않은 안시 동반성 두 개가 있다. 첫 번째는 10등급 밝기에 주성으로부터 방위각 303도 위치에 93 초각 떨어져 있다. 이보다 어두운 두 번째 반성은 주성으로부터 방위각 276도 위치에 33 초각 떨어져 있다.[12]
이름과 어원
에타 항성계는 궁수자리 감마, 델타, 엡실론과 함께 '알 나암 알 와리드'(النعم الوارد, '나아가는 타조들') 별자리를 구성한다.[15] 《기술 보고서 33-507 - 537개의 이름이 붙은 항성들을 포함하는 성표》에 따르면 '알 나암 알 와리드' 또는 나말와리드가 이 별의 이름이었다.[16]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 성표에서 이 별의 이름은 '라바 알 와리다' 또는 '라비 알 와리다'로 그 뜻은 '와리다에서 네 번째'이다.[17]
중화권에서 궁수자리 에타는 기(箕)에 속해 있다. 기는 에타 외에 궁수자리 감마, 델타, 엡실론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중 에타만을 일컫는 명칭은 기수4(宿四C)이다.[18]
↑ 가나다Nicolet, B. (1978), “Photoelectric photometric Catalogue of homogeneous measurements in the UBV System”,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34: 1–49, Bibcode:1978A&AS...34....1N.
↑Wilson, R. E. (1953),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Washington》 (Carnegie Institute of Washington D.C.), Bibcode:1953GCRV..C......0W.
↑ 가나Houk, Nancy (1979),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Volume_3. Declinations -40_ƒ0 to -26_ƒ0》 (Ann Arbor, Michigan: Dept. of Astronomy, University of Michigan) 3, Bibcode:1982mcts.book.....H.
↑ 가나다Kaler, James B., “Eta Sagittarii”,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2012년 2월 10일에 확인함.
↑Samus, N. N.; Durlevich, O. V.; 외. (2009).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 1. Bibcode:2009yCat....102025S.
↑Jasinta, D. M. D.; Soegiartini, E. (October 1994), “Photographic observations of visual double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107: 235–241, Bibcode:1994A&AS..107..235J.
↑Knobel, E. B. (June 1895).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55 (8): 430. Bibcode:1895MNRAS..55..429K. doi:10.1093/mnras/55.8.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