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발다(Albaldah) 또는 궁수자리 파이(π Sgr)는 황도대의 별자리인 궁수자리 방향에 있는 삼중성계이다. 겉보기 등급은 +2.89로[3] 맨눈으로 쉽게 볼 수 있다. 시차 자료에 따르면 이 별까지의 거리는 약 510 광년(160 파섹)이다.[2]
궁수자리 파이 항성계를 구성하는 세 별은 각각 궁수자리 파이 A(전통적으로 이 계 전체를 불러오던 이름인 '알발다'가 공식적으로 부여된 천체)[8], B, C이다.[1]
명명법
궁수자리 파이(π Sgr)는 이 항성계를 바이어 명명법으로 부른 이름이다. 이 계의 구성원에 궁수자리 파이 A, B, C로 로마자 대문자를 부여하는 방식은 워싱턴 다중성 성표(WMC)에서 설정한 방식이며 이 규칙은 국제천문연맹(IAU)도 채택하였다.[9]
예전부터 궁수자리 파이 계를 부르던 전통적 명칭 알발다(Albaldah)는[10]아랍어로 '도시'를 뜻하는 بلدة (발다)에서 유래했다.[11]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항성들의 고유명칭을 정리하고 표준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을 조직했다.[12] WGSN은 구성원이 여럿인 다중성계의 경우 전체 계가 아니라 개별 천체에 명칭을 부여하기로 했다.[13] 2017년 9월 5일 고시된 목록표에서 알발다 Albaldah는 궁수자리 파이 A에 부여되었다. 이 명칭은 현재 IAU 인증 항성명칭 목록에 실려 있다.[8]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 성표》에 이 별은 니르 알 벨다트 Nir al Beldat 로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라틴어로 Lucida Oppidi 로 번역되며 '도시에서 가장 밝은 것'이라는 뜻이다.[14]
이 계는 궁수자리 제타, 시그마와 함께 아카드어로 '구-시-랍-바'(바다의 멍에)로 불려 왔다.[10]
중화권에서 알발다는 두수에서 건(建)에 속해 있다. 건을 구성하는 항성은 알발다 외에 궁수자리 크시2, 오미크론, 43, 로1, 웁실론이다. 이들 중 알발다 하나만을 부르는 명칭은 건3(建三)이다.[15]
특징
이 계의 주성 궁수자리 파이 A의 스펙트럼은 분광형 F2 II와 부합된다.[3] 'II'는 광도분류상 밝은 거성을 뜻하며 중심핵의 수소를 소진하여 태양 같은 주계열에서 벗어난 진화 경로를 따르고 있음을 의미한다. 질량이 태양의 거의 6 배에 이르기 때문에[3] A는 현재의 상태에 불과 6700만 년만에 도달했다.[3] 항성의 외포층은 유효온도 6590 켈빈에서 에너지를 복사하고 있어서[3] F형 항성의 황백색 빛을 발산하고 있다.[16]
궁수자리 파이 A는 근처에 반성 둘을 거느리고 있다. 첫째는 주성으로부터 0.1 초각 혹은 최소 13 천문단위 거리에, 둘째는 0.4 초각 거리(40 천문단위 이상)에 있다. 이 구성원들의 궤도에 대해 아직 알려진 바는 없다.[11]
알발다 계는 황도에서 1.43 도 북쪽에 있어서 달이나 혹은 드물게 행성들이 이 항성계를 가린다. 가장 임박한 엄폐 현상은 2035년 2월 17일로, 금성이 알발다를 가릴 것이다.[17]
↑Wilson, R. E. (1953),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Carnegie Institute of Washington, D.C., Bibcode:1953GCRV..C......0W
↑ 가나Nicolet, B. (1978), “Photoelectric photometric Catalogue of homogeneous measurements in the UBV System”,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34: 1–49, Bibcode:1978A&AS...34....1N
↑Bernacca, P. L.; Perinotto, M. (1970), “A Catalogue of Stellar Rotational Velocities”, 《Contributi Osservatorio Astronomico di Padova in Asiago》 239 (1), Bibcode:1970CoAsi.239....1B
↑Hessman, F. V.; Dhillon, V. S.; Winget, D. E.; Schreiber, M. R.; Horne, K.; Marsh, T. R.; Guenther, E.; Schwope, A.; Heber, U. (2010). “On the naming convention used for multiple star systems and extrasolar planets”. arXiv:1012.0707 [astro-ph.SR].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Knobel, E. B. (June 1895).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55: 429–438. Bibcode:1895MNRAS..55..429K. doi:10.1093/mnras/55.8.429.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년 12월 21일, 2012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Grego, Peter (2008), 〈7. Observing Venus〉, 《Venus and Mercury, and How to Observe Them》, Astronomers' Observing Guides, 229–247쪽, doi:10.1007/978-0-387-74286-1_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