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튀르키예 관계

그리스–튀르키예 관계
그리스 및 튀르키예의 위치
그리스의 국기
그리스
튀르키예의 국기
튀르키예
외교 공관
주튀르키예 그리스 대사관주그리스 튀르키예 대사관

그리스-튀르키예 관계(그리스어: Οι ελληνοτουρκικές σχέσεις, 튀르키예어: Yunan-Türk ilişkileri)는 그리스와 튀르키예의 외교 관계를 말한다. 두 국가는 지리적으로 매우 가깝기 때문에 역사와 문화에 있어서 상당한 부분을 공유한다.

역사

고대 그리스와 소아시아

두 국가의 인연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당시 튀르키예라는 국가가 존재하지는 않았지만, 그리스와 가까운 아나톨리아 해안 지역에 그리스인들이 거주하며 이오니아, 트로이, 할리카르나소스 등 해안 도시들을 세웠다.[1][2] 아티키 반도펠로폰네소스 반도 등 아테네와 스파르타 등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들이 융성할 당시, 아나톨리아 반도에는 리디아 왕국이 자리잡고 있었다. 중세 시대로 넘어가기 전까지 헬레니즘 문명의 중심지였다. 이후 로마 제국과 동로마 제국이 이 지역을 다스렸다.

셀주크 투르크와 오스만 제국

중세 시대에 이르려, 중앙 아시아부터 시베리아까지 광범위하게 거주하고 있었던 튀르크족셀주크 투르크족은 중세 시대에 아나톨리아 지방으로 이주하고 그곳에 튀르키예의 전신 국가라고 할 수 있는 셀주크 투르크 제국을 세우게 된다.[3][4][5] 셀주크 투르크 제국 이후에 등장한 오스만 제국은 아나톨리아 반도와 발칸 반도, 아라비아 반도와 북부 아프리카를 다스리는 거대 제국으로 성장하게 된다.[6][7][8] 당시 그리스 지역은 오스만령 그리스가 되어 18세기까지 투르크의 지배를 받았다.

그리스 왕국과 튀르키예 공화국

제1차 세계 대전을 분기점으로 오스만 제국은 튀르키예 공화국으로 바뀌고[9], 그리스는 그리스 독립 전쟁을 겪으면서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분리 독립하였다.[10][11] 이후 두 국가는 그리스-튀르키예 전쟁을 겪으면서 영토를 조정하고, 그리스-튀르키예 인구 교환을 통해서 분쟁을 한 단락 종결시켰다. 그러나 에게 분쟁 등 두 국가의 국경과 영토 확정에 있어서 완전히 해소되지 못한 상태이다.

1974년에 발생한 키프로스 분쟁은 그리스와 튀르키예의 대립을 잘 보여주며, 그리스 군사정권이 키프로스 내 친 그리스 에노시스(ἔνωσις) 파벌을 이용하여 쿠데타를 일으킴에 따라 튀르키예의 키프로스 침공으로 이어져 현재 남키프로스와 북키프로스로 나뉘어진 상황이다.[12][13][14][15]

국제 안보 분야에 있어서 두 국가는 모두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회원국이다.[16][17] 두 국가는 갈등을 겪고 있으나, 1999년 이즈미트 지진아테네 지진 당시 의료 및 물자 지원을 한 경험이 있다. 또한 튀르키예의 유럽 연합 가입에 있어서 그리스는 협력을 하고 있다.[18][19]

각주

  1. Harl, Kenneth W. (2011년 9월 5일). McMahon, Gregory; Steadman, Sharon, 편집. 《The Greeks in Anatolia: From the Migrations to Alexander the Great》. Oxford University Press. 0쪽. ISBN 978-0-19-537614-2. 
  2. Work <info@yeswework.com> (http://yeswework.com/), Yes We. “Greeks of Anatolia” (영국 영어). 2025년 3월 16일에 확인함. 
  3. “Turkish History”. 2025년 3월 16일에 확인함. 
  4. Fant, Clyde E; Reddish, Mitchell G (2003년 11월 13일). Fant, Clyde E; Reddish, Mitchell G, 편집. 《Historical Overview of Greece and Turkey》. Oxford University Press. 0쪽. ISBN 978-0-19-513917-4. 
  5. Borges, Jason (2019년 3월 4일). “The Seljuk Empire” (영어). 2025년 3월 16일에 확인함. 
  6. 경영연구원장, 김경준 딜로이트 안진 (2016년 6월 30일). “[역사의 리더십] 오스만제국 600년 초석을 놓다”. 2025년 3월 16일에 확인함. 
  7. 이영희 (2021년 1월). “오스만제국의 루멜리(Rumeli) 일대 장악과 그 역사적 의미”. 《전북사학》 (61): 319–345. ISSN 1229-2001. 
  8. 우덕찬 (2009년 1월). “『오스만제국사(Ottoman Empire, 1700~1922)』-Donald Quataert(저)-”. 《지중해지역연구》 11 (4): 189–193. ISSN 1229-7542. 
  9. 이동수 (2021). “제한된 근대화의 딜레마: 오스만제국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47 (1): 1–27. ISSN 1226-7546. 
  10. 김대성 (2006). “그리스 독립운동과 오스만제국-서구의 대응”. 《지중해지역연구》 8 (1): 175–206. ISSN 1229-7542. 
  11. 조윤수 (2022년 2월). “[조윤수의 국가를 품격 있게 만든 지도자들 ④] ‘터키의 국부’ 아타튀르크의 100년 통찰력 : 1차 대전 연합국들 분열 활용, 전쟁 피하면서 터키 공화국 건설”. 《월간중앙》: 118–122. ISSN 2092-5131. 
  12. Walker, Anita M. (1984). “Enosis in Cyprus: Dhali, a Case Study”. 《Middle East Journal》 38 (3): 474–494. ISSN 0026-3141. 
  13. 《Catalogue description "Cyprus, the Énosis Struggle and Greece 1830 - 1960" by John T A Koumoulides》 (영어). 1960.  |제목=에 라인 피드 문자가 있음(위치 22) (도움말)
  14. “The Cyprus Problem, The EU and the UN - CIRSD”. 《CIRSD》. 2025년 3월 16일에 확인함. 
  15. Halstead, Huw (2022년 4월 1일). “‘The Pawns That They Moved Here and There’? Microacts, Room for Manoeuvre, and Everyday Agency in the 1974 Cyprus Conflict”. 《European History Quarterly》 (영어) 52 (2): 245–267. doi:10.1177/02656914221085123. ISSN 0265-6914. 
  16. “NATO members Greece and Turkey pledge to 'reset' ties and bypass longstanding disputes” (영어). 2023년 7월 12일. 2025년 3월 16일에 확인함. 
  17. NATO. “Türkiye and NATO - 1952” (영어). 2025년 3월 16일에 확인함. 
  18. “What is the EU-Turkey deal? | International Rescue Committee (IRC)” (영어). 2023년 3월 16일. 2025년 3월 16일에 확인함. 
  19. “Turkey re-approaches EU through Athens”. 《www.euractiv.com》 (영국 영어). 2023년 12월 8일. 2025년 3월 16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