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림 Kim Kwang-Rim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61년 3월 9일(1961-03-09 ) (64세)
출신지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신장
173 cm
체중
78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좌투좌타
수비 위치
외야수 (중견수 )
프로 입단 연도
1984년
드래프트 순위
1984년 1차 13순위(OB 베어스 )
첫 출장
KBO / 1984년 4월 7일 잠실 대 MBC 전
마지막 경기
KBO / 1999년 10월 5일 전주 대 LG 전
획득 타이틀
연봉
1억 1,200만 원 (2016년)
경력
선수 경력
코치 경력
감독 경력
두산 베어스 2군 감독 (2009년 ~ 2010년)
분당구B 리틀야구단 감독 (2017년 ~ 현재)
김광림 (金光林, 1961년 3월 9일 ~ )은 전 KBO 리그 쌍방울 레이더스 의 외야수 이자, 현 분당구B 리틀야구단 감독이다.
선수 시절
1984년 OB 베어스 의 1차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다. 1993년 에 팀에서 타율 3할을 기록하여 OB 베어스 의 중심 타자 역할을 하였으나, 선발진이 부족했던 OB 베어스 의 사정으로 같은 해 11월 22일 에 투수 강길룡 을 상대로 최동창과 함께 1:2로 트레이드되었다. 하지만 OB 베어스 로 이적한 강길룡 은 단 6승에 그쳤고 급기야 1994년 OB 베어스 선수단 집단 이탈 사건 의 주동자로 낙인찍힌 것 등의 이유[ 1] 때문에 1999년 을 마지막으로 은퇴하기 전까지 선수 생활 동안 10승 이상을 거둔 적이 없었으며 오히려 쌍방울로 트레이드된 김광림은 친정 팀이 우승하였던 1995년 에 타격왕을 기록했다.[ 2] 1996년 올스타전 동군의 멤버로 참가하여 미스터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3] 1997년 6월 8일 현대 유니콘스 에 공의식 , 강영수 를 상대로 1:2 트레이드[ 4] 되었고, 현대 유니콘스 에서 현역 시절의 단 한 번의 우승을 경험한 후 외야수 김갑중 과 함께 쌍방울 레이더스 로 돌아와 1999년 10월 5일 LG 트윈스 전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야구선수 은퇴 후
은퇴 후 해설가로 활동했다.
2004년 에 친정 팀으로 돌아와 타격코치를 맡았으며 2010년 박종훈 의 LG 트윈스 감독 선임 이후 2군 감독을 맡았다가 2011년 박승호 가 2군 감독이 되면서 2군 타격코치로 보직이 변경되었다. 그 해 10월 4일 2군 타격코치직에서 물러나고 NC 다이노스 의 코치로 선임되었다.
2016년 시즌 부터 NC 다이노스 1군 타격코치에서 물러나 고양 다이노스 타격코치로 보직을 바꿨다.[ 5]
2016 시즌 종료 후 김진욱 감독의 부름을 받고 이광길 과 함께 kt 위즈 에 합류했다. 그리고 현재 분당B리틀야구단 감독을 맡고 있다.
출신 학교
주요 기록
기록
날짜
소속
구장
상대팀
상대 투수
경기수
타석수
달성 당시 나이
기타
각주
1000안타
1995. 8. 11
쌍방울
전주
해태
1184
3997
34세 5개월 2일
역대 12번째
1500경기 출장
1998. 6. 4
현대
전주
쌍방울
37세 2개월 25일
[ 6]
통산 기록
년도
팀
타율
경기수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도루 실패
4사구
삼진
병살타
희생타
장타율
1984
OB
0.245
83
151
37
7
1
2
21
18
4
4
13
25
3
8
0.344
1985
0.309
91
165
51
4
0
1
15
23
9
9
7
14
0
7
0.352
1986
0.246
101
256
63
10
0
1
23
21
6
10
30
25
3
19
0.297
1987
0.327
102
342
112
9
7
2
17
59
13
8
44
24
2
11
0.412
1988
0.312
101
311
97
21
4
2
28
45
8
8
31
31
3
13
0.424
1989
0.275
72
211
58
6
5
1
13
29
14
4
19
22
3
5
0.365
1990
0.165
82
188
31
6
3
1
21
16
1
4
21
26
4
8
0.245
1991
0.307
108
361
111
19
6
3
36
49
20
6
38
46
4
14
0.418
1992
0.287
119
383
110
16
3
1
31
45
13
6
33
38
2
10
0.352
1993
0.300
117
430
129
18
3
3
32
49
13
8
42
34
3
20
0.377
1994
쌍방울
0.240
119
388
93
15
4
4
31
56
20
7
40
49
5
15
0.330
1995
0.337
119
419
141
17
1
7
49
60
16
10
53
37
8
17
0.432
1996
0.303
126
449
136
19
6
2
49
69
15
4
48
63
8
10
0.385
1997
쌍방울현대
0.292
117
346
101
14
5
2
32
43
9
9
40
44
3
9
0.379
1998
현대
0.255
102
216
55
8
2
3
21
26
4
3
31
37
4
17
0.352
1999
쌍방울
0.229
71
144
33
5
0
0
12
11
5
1
15
22
3
3
0.264
통산
16시즌
0.285
1630
4760
1358
194
50
35
431
619
170
101
505
537
58
186
0.369
각주
1985년까지는 좌익수,중견수,우익수 구분 시상, 1986년부터는 포지션 상관 없이 통합 시상, 2004년 4명 수상
최다 수상 이병규 (6회) |
신인 수상 박종훈 (1983),
이호성 (1990),
김재현 (1994),
박재홍 (1996),
이병규 (1997) |
최장 연속 장효조 (5년, 1983~1987) |
외국인 선수 수상 호세 (1999),
브룸바 (2004),
서튼 (2005),
데이비스 (2005),
가르시아 (2008),
|버나디나 (2017),
샌즈 (2019),
로하스 (2019~2020,2024),
피렐라 (2022),
레이예스 (2024)) |
최다 배출 팀 KIA 타이거즈 (20회,
해태 타이거즈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