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번 (도시형버스): 김포시 감정동 - 북변동 - 김포경찰서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장릉입구 - 선수동 - 장곡 - 천둥고개 - 고촌 - 개화역 - 김포공항 - 공항시장역 - 양천향교역 - 가양아파트단지 - 염창동 - 성산대교 - 마포구청역 - (구)성산회관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 - 지하 신촌역 - 연희 나들목 <현 6712번으로 합정역 경유로 변경. 방화역, 김포공항으로 단축되었다. 1970년대 초반 급행 130번으로 김포-제2한강교-중앙청, 김포-제2한강교-을지로6가, 김포-화곡동 3개의 노선으로 운행이 되다가 1973년 3월 을지로6가 노선을 42번으로 분리하였다. 1980년 7월 성산대교 개통과 함께 김포읍-성산대교-연세대-아현동-광화문으로 노선이 조정되었으며, 1990년 130번 좌석 노선이 신설되면서 신촌로터리-연희동회차로 단축이 되었다. 1992년 가양아파트 입주로 6~9단지는 청색 노선이, 1~9단지는 적색 노선이 운행을 하였으며, 이후 2000년 청색 노선이 대폭 변경되어 김포공항-송정역-발산역-양천향교역으로 운행을 하였으며, 한 달 후 회차지점이 송정역으로 단축되고, 기점이 불로동으로 연장이 되었고, 노선번호가 230번으로 분리 되었다.>
130번 (좌석버스): 김포시 감정동 - 북변동 - 김포경찰서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장릉 입구 - 선수동 - 장곡 - 천둥고개 - 고촌 - 개화역 - 개화산역 - 양천향교역 - 가양역 - 염창동 - 성산대교 - 마포구청역 - (구)성산회관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 - 지상 신촌역 - 경복궁역 - 세종문화회관 (광화문역) - 서울역사박물관 - 충정로역 - 아현역 - 이대역 - 지하 신촌역 <이하 역순> <개편후 광역버스 9602번으로 운행하다가, 현재는 672번으로 변경되어 운행하고 있다. 1990년 신설, 김포시 - 고촌 - 김포공항 - 공항시장 - 염창동 - 성산대교 - 연세대 - 신촌기차역 - 이대역 - 종근당 - 광화문 - 서대문으로 운행을 하였으며, 2001년 김포공항 경유에서 개화산역 경유로 변경하였고, 2003년 명물거리 회차를 신촌기차역 경유 - 봉원고가 회차로 임시 변경한 적이 있다.>
230번: 인천광역시불로동 - 여우재고개 - 감정동 - 북변동 - 김포경찰서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장릉 입구 - 선수동 - 장곡 - 천둥고개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현 6641번으로 김포국제공항 경유 및 방화동까지 연장되었다. 2000년 130번 청색 노선이 분리되어 신설된 노선으로 2001년 김포공항 미경유로 변경하였다.>
1002번 (좌석버스): 인천광역시 오류동 - 풍무동 - 장릉입구 - 선수동 - 장곡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 - 양천향교역 - 가양아파트단지 - 염창동 - 여의도 - 국회의사당역 - 마포대교 - 마포역 - 공덕역 - 애오개역 - 충정로역 - 서울역사박물관 - 광화문역 - 시청역 - 종근당그룹 <이하 역순> <1992년 신설된 직행좌석 노선으로 김포교통, 공항버스, 공항교통 (현 공항리무진)에서 각각 6대를 투입하여 김포공항 - 시청을 운행하였다. 이후 김포교통 단독운행으로 변경된 후, 2000년에 풍무동, 계양구 오류동으로 연장되었다. 이후 2002년 12월 경기도김포운수로 양도하여 현재까지 노선조정 후 운행중이다.>
그 외에 9-2번, 22-2번, 22번 과해지선, 42번, 42-1번, 412번, 426번, 좌석버스 310번, 가양마을버스 1번 / 1-1번 / 2번 / 2-1번, 방화마을버스 7번 등을 운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