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회사 대원여객 Daewon Passenger Corp. | 형태 | 주식회사 |
---|
창립 | 1972년 1월 25일 |
---|
산업 분야 | 운수업 |
---|
전신 | 한진버스 (1963년 ~ 1972년 1월 24일) |
---|
본사 소재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125 (성수동1가, KD타워) 《본사 & 면허등록지》 |
---|
사업 지역 | 강동영업소 : 서울특별시 강동구 아리수로 426 (강일동) 강동공영차고지 신내영업소 :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역로 25 (신내동) 중랑공영차고지 용산영업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20길 95 (한강로동) 용산공영차고지 구리영업소 : 경기도 구리시 검배로 167 (수택동) 민락동영업소 : 경기도 의정부시 용민로 503 (민락동) |
---|
핵심 인물 | 허명회 (회장), 허상준 (대표이사 사장) |
---|
제품 | 시내버스 |
---|
매출액 | 49,568,542,656원 (2020) |
---|
영업이익 | 2,738,287,004원 (2020) |
---|
| 2,933,533,897원 (2020) |
---|
자산총액 | 46,316,661,494원 (2020.12) |
---|
주요 주주 | 권동현 외 1명: 46.67% 주식회사 대원고속: 30.00% 허상준: 23.33% |
---|
종업원 수 | 572명 (2020.12) |
---|
모기업 | KD운송그룹 |
---|
자본금 | 3,548,700,000원 (2020.12) |
---|
웹사이트 | KD운송그룹 |
---|
대원여객(大元旅客)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를 거점으로 시내버스를 운영하는 KD운송그룹 소속의 업체로, KD운송그룹의 모태가 되는 회사이다.
역사
- 1972년 1월 24일 : 당시 한진그룹 산하 서울시내버스 사업체인 한진버스를 양수받아 설립
- 1992년 8월 22일 : 본점을 종로구 효제동 308 (현 대학로 13)로 이전.
- 1994년 7월 1일 : 옛 승원여객 (1999년 폐업)의 의정부 영업소를 추가 편입
- 1995년 5월 1일 : 본점을 중랑구 면목동 161-17 (현 동일로 600)로 이전.
- 1998년 : 의정부영업소 일부노선이 양주군 회천읍 덕정리 (현 양주시 덕정동)로 연장
- 2000년 ~ 2001년 : 의정부시 민락동과 양주군 회천읍 덕정리 (현 양주시 덕정동) 지역으로 일부 노선이 연장
- 2002년 4월 1일 : 진화운수의 구리 수택동 영업소[1]를 인수
- 2002년 9월 30일 : 군포시로 노선을 확장하여 3030번 (현 간선버스 542번) 신설하여 단독운행
- 2002년 11월 : 안양시 소재 보영운수와 3030번 공동운행 개시
- 2003년 7월 29일 : 경기도 의정부시 민락동 463-6에 민락영업소 설치.
- 2004년 7월 1일 : 서울시 버스 체계 개편과 함께 메트로버스 컨소시엄에 지분을 출자, 군포교통 99번 (현 지선버스 5624번) 양수로 군포시 추가진출 및 서울승합 좌석버스인 1007번 (현 광역버스 9301번)을 양수 후 하남시까지 영업 지역을 확장
- 2009년 10월 27일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 69-1 (현 화합로1325번길 222)에 지점 설치.
- 2011년 3월 26일 : 본점을 현 위치인 광진구 자양동 769-7 (현 자양로 131) 케이엔에스빌딩으로 이전.
- 2013년 2월 : 상일동역 ~ 강남역 간 정기이용권버스 개통으로 강동공영차고지 내에 강동영업소를 개설하였으나 얼마안가 상일동역 ~ 강남역 간 정기이용권버스 폐선으로 철수하였다.
- 2014년 1월 16일 : 중랑공영차고지 내에 중랑영업소[2]를 철수하고,[3] 강동공영차고지 내에 강동영업소를 재개설하였다.[4]
- 2015년 5월 1일 : 서울특별시 명령에 따라 잠실한강시민공원 ~ 잠실역간 운행하는 8331번 운행을 시작하였다.
- 2015년 7월 10일 : 서대문 고가차도 철거로 인하여 간선버스 370번 종점이 서대문역에서 충정로역으로 재연장, 542번과 5624번이 소속된 군포영업소는 군포화물터미널 내에서 부곡버스공영차고지로 이전하였다.
- 2016년 8월 22일 : 간선버스 107번이 부용마을아파트정문 ~ 송산초교, 상가단지구간 폐지하고 금강펜테리움아파트 ~ 낙양물사랑공원앞 구간 정류소가 신설된다.
- 2017년 1월 1일 :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692(가능동 26)에 의정부영업소 설치.
- 2017년 2월 1일: 경기도 구리시 검배로 167 (수택동 884)에 구리영업소 설치.
- 2019년 2월 19일 : 본점을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로 이전.
- 2020년 1월 29일 : 녹색순환버스 01A번 (시계뱡향), 01B (반시계방향) 노선신설
- 2021년 8월 2일 : 간선버스 108번 폐선에 따라 양주 덕정동 영업소에서 철수하면서 111번 신설
- 2021년 11월 29일 : 지선버스 2416번 개통에 따라 중랑공영차고지[5] 내에 중랑영업소를 신내동영업소로 개칭해 재설치.
- 2022년 6월 27일 : 지선버스 5624번, 녹색순환버스 01A/B번 폐선, 0411번 노선 신설
- 2024년 8월 3일 : 간선버스 106번 폐선에 따라 의정부 가능동 본사에서 철수
- 2024년 8월 24일 : 간선버스 542번 폐선에 따라 군포 부곡동 영업소에서 철수
운행 노선
2024년 8월 27일 화요일 기준이다.
운행노선 |
운행구간 |
배차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040번 |
용산공영차고지 |
↔ |
개포우성아파트 |
13~17 |
15 |
2024년 8월 26일 신설
|
107번 |
의정부(민락동차고지) |
↔ |
종로5가.광장시장 |
10~15 |
25 |
구 12-1번. 도봉산역, 낙양물사랑공원 경유, 송산초등학교 미경유
|
111번 |
의정부(민락동차고지) |
↔ |
종로중부새마을금고 |
17~26 |
13 |
하계역, 노원역, 신평화로 경유. 구 명진여객 111번 2021년 8월 2일 신설.
|
201번 |
구리(수택차고지) |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10~25 |
19 |
구 55번, 55-3번 통합
|
341번 |
강동공영차고지 |
↔ |
성촌마을 입구 |
12~20 |
26 |
구 555-2번 변경·연장(2021.08.09 3412번 대체 운영)
|
370번 |
강동공영차고지 |
↔ |
충정로역 2번출구 |
7~15 |
31 |
구 959번 좌석버스 변경. 송파상운과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
0411번 |
용산공영차고지 |
↔ |
양재시민의숲역 |
12~25 |
21 |
2022년 6월 27일 신설
|
2312번 |
중랑공영차고지 |
↔ |
강동공영차고지 |
10~14 |
9 |
2014년 12월 23일 신설 북부운수와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
2416번 |
중랑공영차고지 |
↔ |
삼성역 3번출구 |
8~35 |
15 |
2021년 11월 29일 신설. 장안동 경유.
|
3323번 |
강동공영차고지 |
↔ |
잠실새내역 |
11~16 |
15 |
2021년 7월 19일 신설
|
3324번 |
강동공영차고지 |
↔ |
강동역 1번출구 |
10~16 |
10 |
2024년 8월 5일 신설
|
8332번 |
강동리버스트상가 |
↔ |
천일초교사거리 |
17~20 |
2 |
2024년 3월 11일 신설, 출근 시간대에만 운행, 서울승합과 공동배차
|
N31번 |
강동공영차고지 |
↔ |
국민대 |
35~40 |
4 |
2022년 5월 1일 신설, 2022년 12월 1일 목요일 구 N34번 신사역~국민대 연장, 대진여객과 공동배차
|
폐선되거나 노선 이관된 노선
- 지선버스
- ● 0213번: 효창동 ~ 도선동 《신설노선, 삼성여객과 공동배차 운행, 2011년 2월 8일 2225번과 통합 후 2016번으로 운행.》
- ● 1018번: 양주시 덕정동차고지 ~ 종로5가역《구 13-3번, 구 902-2번, 2008년 6월 1일 수유역 단축 후 지선버스 1118번으로 변경》
- ● 1019번: 양주시 덕정동차고지 ~ 종로5가역《구 13-2번, 구 902-3번, 2004년 12월 21일 1018번 지선버스에 통폐합》
- ● 1118번: 양주시 덕정동차고지 ~ 수유역《구 13-3번, 구 902-2번, 구 1019번, 구 1018번, 2010년 1월 25일 폐선과 동시에 방계회사인 진명여객이 도시형버스 118번으로 대체운행》
- ● 1148번: 양주시 덕정동차고지 ~ 도봉산역《구 13-1번, 2009년 8월 20일 폐선 후 방계회사인 진명여객이 도시형버스 48번으로 대체운행, 현재는 48번도 폐선되었다.》
- ● 1151번: 의정부시 가능동 ~ 수유역《구 12번, 2010년 5월 17일 폐선, 현재 방계회사인 대원버스에서 운영하는 직행좌석버스 1151번과는 무관한 노선이며 의정부시 가능동~수유역 구간은 평안운수 36번 동일》
- ● 1152번: 의정부시 민락동 차고지(민락2지구) ~ 노원역《구 12-5번 단축. 2015년 8월 2일 막차부로 폐선. 민락 1지구~노원역 구간은 평안운수 12-5번 대체》
- ● 2015번: 중랑공영차고지 ~ 개포동《구 17번 개포동~신내동 구간 물려받아 운행, 2005년 말~2006년 초에 대원교통으로 양도했다.》
- ● 2016번: 중랑공영차고지 ~ 효창운동장《구 0213번과 구 2225번 통합, 이 노선은 방계회사인 대원교통과 공동 배차 운행 했으나 2014년 1월 16일에 메트로버스로 양도 했다.》
- ● 2226번: 구리시 수택동차고지 ~ 청량리역《구 55번 단축, 55-3번 단축, 2005년 12월 16일 폐선》
- ● 2232번: 구리시 수택동차고지 ~ 강변역《구 568번, 2005년 6월 21일 폐선》
- ● 5624번: 군포 부곡버스공영차고지 ~ 구로디지털단지역《구 99번, 2004년 7월 군포교통에 양수, 2022년 6월 27일 폐선》
- 순환버스
- ● 01A번: 서울역 → 경복궁역 → 을지로 → 서울역 (2020년 1월 29일 ~ 2022년 6월 27일)
- ● 01B번: 서울역 → 을지로 → 경복궁역 → 서울역 (2020년 1월 29일 ~ 2022년 6월 27일)
- 간선버스
- ● 106번: 가능동 ~ 종로5가《구 13번. 2024년 8월 3일 폐선되었다. 가능동~도봉산역 구간은 평안운수에서 106-1번 노선을 신설하여 대체하고 있다.》
- ● 108번: 덕정동 ~ 동대문《구 902번, 9101번. 2017년 8월 21일부로 골프장지선 폐지되어 TS아파트 방면만 운행. 2021년 8월 2일 폐선되었다. 덕정동~양주역 구간은 양주교통 87번 노선대체》
- ● 241번: 중랑공영차고지 ~ 신논현역《신설노선, 망우역 경유, 이 노선은 방계회사인 대원교통과 공동 배차 운행 했으나 중랑영업소 철수 관계로 2014년 1월 16일에 공동 배차 운행을 철수하였다.》
- ● 262번: 중랑공영차고지 ~ 국회의사당역《구 53번, 이 노선은 북부운수와 공동 배차로 운행 했으나 중랑영업소 철수 관계로 2014년 1월 16일에 중랑영업소 철수 관계로 메트로버스로 양도 했다.》
- ● 542번: 군포 부곡버스공영차고지 ~ 신사역《구 3030번, 9503번. 2024년 8월 24일 폐선되었다.》
- 맞춤버스
- ● 8331번: 잠실한강공원 ~ 잠실역 (오후 1시 ~ 오후 10시) 2016년 1월 1일자로 폐선
- ● 8401번: 고속터미널역 ~ 삼각지역 《2010년 하반기 폐선, 방계회사인 대원교통과 공동 배차.》
- 광역버스
- 정기이용권버스
- 개편전 노선
(1998년 2월 신설. 2002년 4월 도시형버스 13-3번으로 형간전환하였다.)
보유 차량
- 본점: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125 (성수동1가, KD타워)
- 민락동영업소: 경기도 의정부시 용민로 503 (민락동 906) (107번, 111번)
- 구리영업소: 경기도 구리시 검배로 167 (수택동 884) (201번)
- 강동영업소: 서울특별시 강동구 아리수로 426 (강일동 565) (341번, 370번, 2312번, 3323번, 3324번, 8332번, N31번)
- 신내영업소: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역로 25 (신내동 63) (2416번)
- 용산영업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20길 95 (한강로3가 40-969) (040번, 0411번)
갤러리
같이 보기
각주
- ↑ 구 부흥교통 본사
- ↑ 2416번을 신설하면서 7년 10개월만에 돌아왔다.
- ↑ 이 과정에서 간선버스 262번과 지선버스 2016번을 메트로버스에 양도했다.
- ↑ 이 과정에서 메트로버스로부터 370번을 양수했다.
- ↑ 241, 262, 2016번 철수 이후 7년 10개월만이다.
- ↑ 굵게 표기한 지점은 등기부에 등록된 주식회사 대원여객의 공식 지점이며, 나머지는 KD운송그룹에서 통합관리하는 영업소이다.
외부 링크
- (한국어) 대원여객
- 공식 웹사이트
|
---|
주간선 컨소시엄 시내버스 기업 | |
---|
일반 시내버스 기업 | |
---|
마을버스 전환 시내버스 기업 | |
---|
공항버스 한정면허 시내버스 기업 | |
---|
시티 투어버스 기업 | |
---|
마을버스 기업 | |
---|
|
|
---|
KD운송그룹 | |
---|
대원교육재단 | |
---|
민송학원 | |
---|
차량 운영 사업부 |
- KD에너지텍
- KD오토리사이클링
- KD 오토텍
- KD인쇄사업부
|
---|
터미널 사업부 | |
---|
직원복지, 내부거래용 계열사 |
- KD 어패럴
- KD푸드피아
- KD김치공장
- KD상조회
|
---|
과거 소속 법인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