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이 가말레야

니콜라이 가말레야
 1900c.
 1900c.
출생 1859년 17 February[율리우스력 5 February]
오데사, 러시아 제국
사망 1949년 3월 29일(1949-03-29)(90세)
모스크바, 소련

니콜라이 표도로비치 가말레야(러시아어: Никола́й Фёдорович Гамале́я; 1859년 17 February[율리우스력 5 February][1] – 1949년 3월 29일[2])는 자포로자 코자크 혈통의 러시아, 우크라이나, 소련의 의사이자 과학자로, 미생물학백신 연구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3][4]

전기

가말레야는 당시 러시아 제국의 일부였던 오데사에서 보로디노 전투에 참전했던 퇴역 장교의 가족으로 태어났다.[1] 그는 1880년에 오데사의 노보로시스키 대학교(현재 오데사 대학교)를 졸업하고, 1883년에 상트페테르부르크 군사 의학 아카데미(현재 S.M. 키로프 군사 의학 아카데미)를 졸업했다.[5] 그 후 그는 고향 오데사에서 존경받는 병원 의사가 되었다.

가말레야는 1886년에 프랑스에 있는 루이 파스퇴르의 연구실에서 일했다. 귀국 후 파스퇴르의 모델을 따라 일리야 메치니코프와 함께 광견병 예방접종 연구와 우역콜레라 퇴치, 결핵 진단을 위한 가래 (의학), 탄저 백신 제조 연구를 위한 오데사 세균학 연구소를 조직했다.[6] 오데사 세균학 연구소는 러시아 최초의 세균학 관측소가 되었다.[7]

열악한 시설과 소수의 직원에도 불구하고 과학자들은 광견병 백신이 가장 효과적인 조건을 알아낼 수 있었다.[6] 콜레라 백신에 사멸된 간균강을 사용하는 가말레야의 제안은 나중에 광범위하게 성공적으로 적용되었다.[6] 유사한 역들이 곧 키이우 (1886), 예카테리노슬라프 (1897), 체르니히우 (1897)에 설립되었다.[8]

콜레라의 원인학에 대한 1892년 박사 학위 논문을 방어한 후 (1893년 출판), 가말레야는 1896년부터 1908년까지 오데사 세균학 연구소의 소장으로 재직했다. 1898년에 전염성 "효소"에 의한 탄저균 박테리아의 용해 (생물학)에 대해 보고하면서, 가말레야는 박테리아를 파괴하는 살균소로 알려진 항체를 발견했다.[9]

가말레야는 오데사와 러시아 남부에서 페스트와 싸우기 위해 쥐를 박멸하는 공중 보건 캠페인을 시작했으며, 이목 (동물)발진티푸스의 매개체임을 지적했다.[10] 1910년부터 1913년까지 가말레야는 잡지 'Gigiena i sanitariya'(위생 및 위생)를 편집했다.[9][11]

붉은 군대를 위한 천연두 백신 공급 및 배포를 조직하는 것을 포함한 가말레야의 후기 연구는 소련에서 천연두를 궁극적으로 박멸하는 데 큰 진전을 이루었다.[12]

세균학에 관한 300편 이상의 학술 논문을 쓴 가말레야는 소련 과학 아카데미[13]소련 의학 아카데미[14]의 회원이었다. 그는 또한 전연방 미생물학자, 역학자, 감염병 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높이 평가받는 가말레야의 국가 훈장으로는 두 개의 레닌 훈장, 노동적기훈장, 그리고 1943년 국가 스탈린상이 있다.

가말레야는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2]

모스크바에 있는 가말레야 국립 전염병 및 미생물학 센터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5]

각주

  1. Kuznet͡sov, I. V. (1963). 《Li͡u︡di russkoĭ nauki ...: Biologii͡a︡》 (러시아어). Moscow: Izdatel'stvo "Nauka". 605쪽. 2024년 3월 10일에 확인함. 
  2. Вавилов, Сергей Иванович (1949). 《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Газель-Германий》 (러시아어).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науч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 183쪽. 2024년 3월 10일에 확인함. 
  3. “History of medical science, practice and education” (PDF) (우크라이나어). 키이우: Національна академія медичних наук України. 2018. 147쪽. 
  4. О. В. Тітаренко (2020). “Микола Гамалія — видатний мікробіолог та епідеміолог” (PDF) (우크라이나어). 폴타바: Полтавська державна аграрна академія. 53쪽. 
  5. Малахов, В. П. (2004). 《Одесса, 1900-1920: люди, события, факты》 (러시아어). Optimum. 148쪽. ISBN 978-966-8072-85-7. 2024년 3월 10일에 확인함. 
  6. Zalkind, Semyon (2001). Ilya Mechnikov: His Life and Work. Honolulu, Hawaii: University Press of the Pacific. pp. 96-98. ISBN 978-0-89875-622-7.
  7. Hanitkevych, I︠A︡roslav (2004). 《History of Ukrainian medicine in dates and names》 (우크라이나어). Naukove tovarystvo im. Shevchenka. 233쪽. ISBN 978-966-7482-15-2. 2024년 3월 10일에 확인함. 
  8. Melikishvili, Alexander (2006). "Genesis of the Anti-Plague System: The Tsarist Period". Critical Reviews in Microbiology 32, pp. 19–31. ISSN 1040-841X.
  9. Melikishvili, Alexander (2008). "Annex: Biosketches of Scientists and Other Public Figures Who Played Important Roles in the Evolution of Tsarist Russia’s Anti-Plague System". In Sonia Ben Ouagrham-Gormley, Alexander Melikishvili, and Raymond A. Zilinskas, The Soviet Anti-Plague System, 제임스 마틴 비확산 연구 센터. Retrieved 26 February 2011.
  10. Podolsky, Edward (1972). Red Miracle: The Story of Soviet Medicine. New York: Beechhurst Press. p. 222. ISBN 0-8369-2818-0.
  11. “Hygiene and sanitation”. Izdatelstvo Meditsina. 
  12. Podolsky, Edward (1972). Red Miracle: The Story of Soviet Medicine. New York: Beechhurst Press. p. 224. ISBN 0-8369-2818-0.
  13. 《Архив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ССР》 (러시아어). Изд-во АН СССР. 1977. 154쪽. 2024년 3월 10일에 확인함. 
  14. Мелуа, Аркадий (2022년 5월 15일). 《Академия наук. Биографии. 1724–2017. Том 4. Великий князь Алекс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 Гаусс》 (러시아어). Litres. 548쪽. ISBN 978-5-04-366348-1. 2024년 3월 10일에 확인함. 
  15. “History”. 《gamaleya.org》. 2024년 3월 10일에 확인함. 

더 읽어보기

  • Bardell, D (1982). 《An 1898 Report by Gamaleya for a Lytic Agent Specific for Bacillus Anthracis》. 《Journal of the History of Medicine and Allied Sciences》 37. 222–5쪽. doi:10.1093/jhmas/xxxvii.2.222. PMID 6806352.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니콜라이 가말레야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