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크로뮴산 칼륨(영어: Potassium dichromate) 또는 다이크로뮴산 포타슘, 중크로뮴산 칼륨은 화학식이 K2Cr2O7인, 무기화합물이다. 주로 연구실이나 산업현장에서 산화제로서 사용된다. 다른 6가 크로뮴(크로뮴(VI))화합물이 그렇듯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다. 상온에서 밝은 주홍색의 이온결정 고체로 존재한다. 조해성이 없는 특성 탓에 주로 산업적인 용도로 쓰이는 다이크로뮴산 나트륨과는 다르게 실험실에서 주로 쓰인다.[5]
다이크로뮴산 칼륨은 유기 화학에서 산화 작용제로서 사용된다. 그 정도는 과망가니즈산 칼륨보다는 약한 편이다. 주로 알코올의 산화에 쓰인다. 알코올을 산화시키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며, 일차 알코올을 알데하이드로 산화시키며, 좀더 제한된 조건에서는 카복실산으로도 산화시킨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과망가니즈산 칼륨은 단독적인 반응 생성물로서 카복실산을 내놓는 경향이 있다. 이차 알코올은 케톤으로 산화시킨다. 예를 들자면 멘톤은 acidified dichromate으로 멘톨을 산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6] 삼차 알코올은 산화시키지 못한다.
수용액 상태에서 색의 변화는 케톤으로부터 알데하이드를 판별하는 시험에 사용된다. 알데하이드는 다이크로뮴산염의 산화수를 6가에서 3가로 감소시켜 색을 주황색에서 녹색으로 바꾸어 준다. 이 색의 변화는 알데하이드가 상응하는 카르복실산으로 산화될 수 있기에 발생한다. 케톤은 더 이상 산화되지 못하기에 그대로 주황색을 유지한다.
만약 강하게 가열되면, 산소를 방출하며 분해된다.
4K2Cr2O7 → 4K2CrO4 + 2Cr2O3 + 3O2
만약 다이크로뮴산 이온이 포함된 주홍색 용액에 알칼리를 가하면, 노란색 용액이 크로뮴산 이온의 형성으로 인해 얻어진다. 예를 들자면 크로뮴산 칼륨은 탄산 칼륨을 사용하여 아래와 같은 반응을 거쳐 얻어진다.
초과된 다이크로뮴산염의 양은 싸이오황산나트륨에 의해 적정을 통해 알아낼 수 있다. 초기 량에서 초과한 양의 다이크로뮴산염의 양을 빼면, 에탄올의 존재량을 알 수 있다.
음주단속기에도 사용되며, 호흡 속의 알코올과의 반응을 통해 호흡에서 알코올의 양을 구해낼 수 있다.
은 검출
대략 35% 질산 수용액에 용해되었을 때 이를 Schwerter's solution이라고 부르는데, 이를 통해서 다양한 금속의 존재여부, 특히 은의 순도를 알아낼 수 있다. 순수한 은은 용액안에서 밝은 빨간색을 띠는데, 스털링 실버(sterling silver)의 경우 짙은 붉은색을 띠게 되며, 더 낮은 순도(0.800 fine 은화)의 경우 갈색을 띠게 된다.(이는 구리로 인한 것이다.) 그리고 0.500 silver 은화의 경우 녹색을 띠기도 한다. 황동은 암갈색, 구리는 갈색, 납과 주석은 노란색을 띠며, 금과 팔라듐은 변화가 없다.
이산화 황 검출
다이크로뮴산 칼륨 종이는 이산화 황의 검출에도 이용될 수 있는데, 주황색에서 녹색으로 바뀐다. 이는 산화 환원 반응으로, 크로뮴의 산화수가 6+에서 3+로 감소하며 발생한다. 이는 결정적인 검출 시험은 아니다. 최종적으로 다이크로뮴산 칼륨은 Cr2(SO4)3을 형성한다.
목재 마감제
다이크로뮴산 칼륨은 목재의 탄닌을 어둡게 하므로 염색에 이용된다. 일반적인 염색으로는 만들 수 없는 깊고 풍부한 갈색을 만들어 낸다. 특히 마호가니에 사용된다.[9]
채굴
lopezite의 형태로 산출된 다이크로뮴산 칼륨의 결정(~10mm 크기)
다이크로뮴산 칼륨은 Lópezite라는 희귀한 광물의 형태로 산출된다. 칠레의 아타카마 사막과 남아프리카의 Bushveld igneous complex에 있는 질산염 매장층의 공동(空洞)에서만 존재가 확인되었다.[10]
↑ 가나Gerd Anger, Jost Halstenberg, Klaus Hochgeschwender, Christoph Scherhag, Ulrich Korallus, Herbert Knopf, Peter Schmidt, Manfred Ohlinger, "Chromium Compounds" in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iley-VCH, Weinheim, 2005. doi:10.1002/14356007.a07_067
↑Zug KA, Warshaw EM, Fowler JF Jr, Maibach HI, Belsito DL, Pratt MD, Sasseville D, Storrs FJ, Taylor JS, Mathias CG, Deleo VA, Rietschel RL, Marks J. Patch-test results of the North American Contact Dermatitis Group 2005–2006. Dermatitis. 2009 May–Jun;20(3):14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