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만 기하학과 리 군론에서 대칭 공간(對稱空間, 영어: symmetric space)은 일반점의 안정자군이 어떤 대합에 의하여 정의되는 동차 공간이다.
정의
대칭 공간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차 공간이다.
는 어떤 대합
에 대하여,
의 열린집합이다.
여기서

는
에 의한 고정점들의 부분 공간이다.
대칭 공간의 계수(階數, 영어: rank)는 접공간의 부분 벡터 공간 가운데, 곡률이 0인 것의 최대 차원이다. 대칭 공간 가운데 에르미트 다양체인 것들은 항상 자동적으로 켈러 다양체를 이루며, 이를 에르미트 대칭 공간(Hermite對稱空間, 영어: Hermitian symmetric space)이라고 한다.
의 리 대수가
라고 하자. 대합

는
이므로 고윳값
을 갖는다. 이에 따라,
는 두 부분 공간의 직합으로 나타내어지며, 고윳값이
인 부분 대수는
의 리 대수
와 같다. 고윳값이
인 부분 대수는
이라고 적자.

![{\displaystyle [{\mathfrak {h}},{\mathfrak {h}}]\subset {\mathfrak {h}}}](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1020be998d0e8c9a0fe62e5b2c4558863f3c1783)
![{\displaystyle [{\mathfrak {h}},{\mathfrak {m}}]\subset {\mathfrak {m}}}](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aa53b4e65456d1438a0bac44d1af446b62978fea)
![{\displaystyle [{\mathfrak {m}},{\mathfrak {m}}]\subset {\mathfrak {h}}}](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f2d127ad607c6d87c0d4fbe298eef101571a2b6a)
성질
함의 관계
리 군
의 닫힌 부분군
가 주어졌으며, 이들에 대응하는 리 대수가 각각
라고 하자. 또한, 항상

이 되는 실수 벡터 공간
를 찾을 수 있다. 이제,
이 가질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조건들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 조건들은 다음과 같은 동차 공간들을 정의한다.
공간 |
조건
|
동차 공간 |
(없음)
|
가약 동차 공간 |
|
대칭 공간 |
,
|
리만 대칭 공간 |
대칭 공간이며, 위에 -불변 내적이 존재
|
여기서,
인 조건은
![{\displaystyle [{\mathfrak {h}},{\mathfrak {m}}]\subseteq {\mathfrak {m}}}](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15a8ef4e5f6c24368ca6d21150cb663eb1dd64a7)
을 함의한다. (만약
의 중심이 자명하다면 이는 리 대수 조건과 동치이다.)
리만 대칭 공간의 경우,
은
의 접공간과 동형이므로,
위의 내적은
위의 리만 계량을 정의한다.
분류
콤팩트 대칭 공간은 엘리 카르탕에 의하여 모두 분류되었다.[1][2]
모든 연결 단일 연결 콤팩트 대칭 공간은 아래 군들의 직접곱이다. 아래 목록에서, 켈러 다양체가 되는 것은 특별히 표시하였다.
이름
|
G
|
H
|
차원
|
계수
|
켈러 다양체
|
AI
|
|
|
|
|
AII
|
|
|
|
|
AIII
|
|
|
|
|
켈러 다양체
|
BDI
|
|
|
|
|
인 경우는 켈러 다양체
|
DIII
|
|
|
|
|
켈러 다양체
|
CI
|
|
|
|
|
켈러 다양체
|
CII
|
|
|
|
|
EI
|
|
|
42
|
6
|
EII
|
|
|
40
|
4
|
EIII
|
|
|
32
|
2
|
켈러 다양체
|
EIV
|
|
|
26
|
2
|
EV
|
|
|
70
|
7
|
EVI
|
|
|
64
|
4
|
EVII
|
|
|
54
|
3
|
켈러 다양체
|
EVIII
|
|
|
128
|
8
|
EIX
|
|
|
112
|
4
|
FI
|
|
|
28
|
4
|
FII
|
|
|
16
|
1
|
G
|
|
|
8
|
2
|
예
모든 콤팩트 반단순 리 군은 (킬링 형식에 비례하는 리만 계량을 부여하면) 자명하게 대칭 공간이다. 비콤팩트 반단순 리 군의 경우, 마찬가지로 준리만 다양체로 간주할 경우 대칭 공간을 이룬다.
초구와 유클리드 공간과 쌍곡 공간은 모두 대칭 공간이다. 초구의 경우, 이는

이며, 이는 BDI의 특별한 경우이다. 유클리드 공간은

의 꼴로 얻어지며, 쌍곡 공간은

의 꼴로 얻어진다.
더 시터르 공간과 반 더 시터르 공간은 준리만 대칭 공간이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