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사진
|
명칭
|
소재지
|
관리자 (단체)
|
지정일
|
참조
|
32호
|
|
곡성의돌실나이 (谷城의돌실나이) (Gokseong Dolsillai (Hemp Weaving of Gokseong))
|
전남 전남전역
|
|
1970년 7월 22일 지정
|
[32] 2019년 12월 31일 국가무형문화재 제140호 ‘삼베짜기’에 통합
|
33호
|
|
광주칠석고싸움놀이 (광주칠석고싸움놀이) (Gwangju Chilseok Gossaum Nori (Loop Fight of Gwangju))
|
광주 광주전역
|
광주칠석고싸움놀이 보존회
|
1970년 7월 22일 지정
|
[33]
|
34호
|
|
강령탈춤 (康翎탈춤) (Gangnyeong Talchum (Mask Dance Drama of Gangnyeong))
|
서울 서울전역
|
강령탈춤보존회
|
1970년 7월 22일 지정
|
[34]
|
35호
|
|
조각장 (彫刻匠) (Jogakjang (Metal Engraving))
|
서울 서울전역
|
|
1970년 7월 22일 지정
|
[35]
|
36호
|
|
판소리심청가 (판소리심청가)
|
서울 서울전역
|
|
1970년 7월 22일 지정, 1973년 11월 5일 해제,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로 통합
|
[36]
|
37호
|
|
화장 (靴匠)
|
서울 서울전역
|
|
1970년 7월 22일 지정, 1982년 2월 5일 해제, 보유자 부재
|
[37]
|
38호
|
|
조선왕조 궁중음식 (朝鮮王朝宮中飮食) (Joseon Wangjo Gungjung Eumsik (Royal Culinary Art of the Joseon Dynasty))
|
서울 서울전역
|
|
1970년 12월 30일 지정
|
[38]
|
39호
|
|
처용무 (處容舞) (Cheoyongmu (Dance of Cheoyong))
|
서울 서울전역
|
처용무보존회
|
1971년 1월 8일 지정
|
[39]
|
40호
|
|
학연화대합설무 (鶴蓮花臺合設舞) (Hak Yeonhwadae Hapseolmu
(Crane Dance and Lotus Flower Dance))
|
서울 서울전역
|
학연화대합설무보존회
|
1971년 1월 8일 지정
|
[40]
|
41호
|
|
가사 (歌詞) (Gasa (Narrative Song))
|
서울 서울전역
|
|
1971년 1월 8일 지정
|
[41]
|
42호
|
|
악기장 (樂器匠) (Akgijang (Musical Instrument Making))
|
기타 .
|
|
1971년 2월 24일 지정
|
[42]
|
43호
|
|
수영야류 (水營野遊) (Suyeong Yaryu (Mask Dance Drama of Suyeong))
|
부산 부산전역
|
수영야류보존회
|
1971년 2월 24일 지정
|
[43]
|
44호
|
|
경산자인단오제 (慶山慈仁端午祭) (Gyeongsan Jain Danoje (Dano Festival of Jain, Gyeongsan))
|
경북 경북전역
|
경산자인단오제 보존회
|
1971년 3월 16일 지정
|
[44]
|
45호
|
|
대금산조 (大笒散調) (Daegeum Sanjo (Free-style Daegeum Solo Music))
|
기타 .
|
|
1971년 3월 16일 지정
|
[45]
|
46호
|
|
피리정악및대취타 (피리정악및大吹打) (Piri Jeongak and Daechwita (Classical Piri Solo and Military Band Music))
|
서울 서울전역
|
피리정악및대취타보존회
|
1971년 6월 10일 지정
|
[46]
|
47호
|
|
궁시장 (弓矢匠) (Gungsijang (Bow and Arrow Making))
|
기타 .
|
|
1971년 9월 13일 지정
|
[47]
|
48호
|
|
단청장 (丹靑匠) (Dancheongjang (Ornamental Painting))
|
기타 .
|
|
1972년 8월 1일 지정
|
[48]
|
49호
|
|
송파산대놀이 (松坡山臺놀이) (Songpa Sandae Nori (Mask Dance Drama of Songpa))
|
서울 서울전역
|
송파산대놀이보존회
|
1973년 11월 11일 지정
|
[49]
|
50호
|
|
영산재 (靈山齋) (Yeongsanjae (Celebration of Buddha's Sermon on Vulture Peak Mountain))
|
서울 서울전역
|
영산재보존회
|
1973년 11월 5일 지정
|
[50]
|
51호
|
|
남도들노래 (南道들노래) (Namdo Deullorae (Farmers' Song of Jeollanam-do))
|
전남 전남전역
|
남도들노래보존회
|
1973년 11월 5일 지정
|
[51]
|
52호
|
|
시나위
|
서울 서울전역
|
|
1973년 11월 5일 지정, 1975년 5월 3일 해제, 보유자 부재로 지정 해제
|
[52]
|
53호
|
|
채상장 (彩箱匠) (Chaesangjang (Bamboo Case Weaving))
|
전남 전남전역
|
|
1975년 1월 29일 지정
|
[53]
|
54호
|
|
끊음질
|
기타 전국
|
|
1975년 1월 29일 지정, 1995년 3월 16일 해제, 중요무형문화재 제10호로 통합
|
[54]
|
55호
|
|
소목장 (小木匠) (Somokjang (Wood Furniture Making))
|
경기 경기전역
|
|
1975년 1월 29일 지정
|
[55]
|
56호
|
|
종묘제례 (宗廟祭禮) (Jongmyo Jerye (Royal Ancestral Ritual in the Jongmyo Shrine))
|
서울 서울전역
|
종묘제례보존회
|
1975년 5월 3일 지정
|
[56]
|
57호
|
|
경기민요 (京畿民謠) (Gyeonggi Minyo (Folk Song of Gyeonggi Area))
|
기타 .
|
|
1975년 7월 12일 지정
|
[57]
|
58호
|
|
줄타기 (줄타기) (Jultagi (Tightrope Walking))
|
경기 경기전역
|
|
1976년 6월 30일 지정
|
[58]
|
59호
|
|
판소리고법
|
서울 서울전역
|
|
1978년 2월 2일 지정, 1991년 11월 1일 해제,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로 통합
|
[59]
|
60호
|
|
장도장 (粧刀匠) (Jangdojang (Ornamental Knife Making))
|
전남 전남전역
|
|
1978년 2월 23일 지정
|
[60]
|
61호
|
|
은율탈춤 (殷栗탈춤) (Eunyul Talchum (Mask Dance Drama of Eunyul))
|
인천 인천전역
|
은율탈춤보존회
|
1978년 2월 23일 지정
|
[61]
|
62호
|
|
좌수영어방놀이 (左水營漁坊놀이) (Jwasuyeong Eobang Nori (Fishing Village Festival of the Left Naval Headquarters))
|
부산 부산전역
|
좌수영어방놀이보존회
|
1978년 5월 9일 지정
|
[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