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사진
|
명칭
|
소재지
|
관리자 (단체)
|
지정일
|
참조
|
1호
|
|
서울 숭례문
|
서울 중구 세종대로 40 (남대문로4가)
|
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1]
|
2호
|
|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서울 圓覺寺址 十層石塔) (Ten-story Stone Pagoda at Wongaksa Temple Site, Seoul)
|
서울 종로구 종로 99 (종로2가)
|
종로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2]
|
3호
|
|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서울 北漢山 新羅 眞興王 巡狩碑) (Monument on Bukhansan Mountain Commemorating the Border Inspection by King Jinheung of Silla, Seoul)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3]
|
4호
|
|
여주 고달사지 승탑 (驪州 高達寺址 僧塔) (Stupa at Godalsa Temple Site, Yeoju)
|
경기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411-1
|
여주시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4]
|
5호
|
|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報恩 法住寺 雙獅子 石燈) (Twin Lion Stone Lantern of Beopjusa Temple, Boeun)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 (사내리)
|
법주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5]
|
6호
|
|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Seven-story Stone Pagoda in Tappyeong-ri, Chungju)
|
충북 충주시 중앙탑면 중앙탑길 225
|
충주시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6]
|
7호
|
|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天安 奉先弘慶寺 碣記碑) (Stele for the Construction of Bongseonhonggyeongsa Temple, Cheonan)
|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대홍3길 77-48 (대홍리)
|
천안시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7]
|
8호
|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保寧 聖住寺址 郎慧和尙塔碑) (Stele for Buddhist Monk Nanghye at Seongjusa Temple Site, Boryeong)
|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80-4
|
보령시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8]
|
9호
|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扶餘 定林寺址 五層石塔) (Five-story Stone Pagoda at Jeongnimsa Temple Site, Buyeo)
|
충남 부여군 부여읍 정림로 83
|
부여군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9]
|
10호
|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南原 實相寺 百丈庵 三層石塔) (Three-story Stone Pagoda
at Baekjangam Hermitage of Silsangsa Temple, Namwon)
|
전북 남원시 산내면 천왕봉로 447-76
|
백장암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10]
|
11호
|
|
익산 미륵사지 석탑 (益山 彌勒寺址 石塔) (Stone Pagoda at Mireuksa Temple Site, Iksan)
|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97
|
익산시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11]
|
12호
|
|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求禮 華嚴寺 覺皇殿 앞 石燈) (Stone Lantern at Gakhwangjeon Hall of Hwaeomsa Temple, Gurye)
|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화엄사 (황전리)
|
화엄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12]
|
13호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Geungnakbojeon Hall of Muwisa Temple, Gangjin)
|
전남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로 308, 무위사 (월하리)
|
무위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13]
|
14호
|
|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 (永川 銀海寺 居祖庵 靈山殿) (Yeongsanjeon Hall of Geojoam Hermitage of Eunhaesa Temple, Yeongcheon)
|
경북 영천시 청통면 거조길 400-67, 은해사 거조암 (신원리)
|
은해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14]
|
15호
|
|
안동 봉정사 극락전 (安東 鳳停寺 極樂殿) (Geungnakjeon Hall of Bongjeongsa Temple, Andong)
|
경북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 봉정사 (태장리)
|
봉정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15]
|
16호
|
|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安東 法興寺址 七層塼塔) (Seven-story Brick Pagoda at Beopheungsa Temple Site, Andong)
|
경북 안동시 법흥동 8-1
|
안동시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16]
|
17호
|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榮州 浮石寺 無量壽殿 앞 石燈) (Stone Lantern at Muryangsujeon Hall of Buseoksa Temple, Yeongju)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부석사
|
부석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17]
|
18호
|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榮州 浮石寺 無量壽殿) (Muryangsujeon Hall of Buseoksa Temple, Yeongju)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부석사
|
부석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18]
|
19호
|
|
영주 부석사 조사당 (榮州 浮石寺 祖師堂) (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 Yeongju)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345 (북지리)
|
부석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19]
|
20호
|
|
경주 불국사 다보탑 (慶州 佛國寺 多寶塔) (Dabotap Pagoda of Bulguksa Temple, Gyeongju)
|
경북 경주시 불국로 385, 불국사 (진현동)
|
불국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20]
|
21호
|
|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慶州 佛國寺 三層石塔) (Three-story Stone Pagoda of Bulguksa Temple, Gyeongju)
|
경북 경주시 불국로 385, 불국사 (진현동)
|
불국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21]
|
22호
|
|
경주 불국사 연화교 및 칠보교 (慶州 佛國寺 蓮華橋 및 七寶橋) (Yeonhwagyo and Chilbogyo Bridges of Bulguksa Temple, Gyeongju)
|
경북 경주시 불국로 385, 불국사 (진현동)
|
불국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22]
|
23호
|
|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慶州 佛國寺 靑雲橋 및 白雲橋) (Cheongungyo and Baegungyo Bridges of Bulguksa Temple, Gyeongju)
|
경북 경주시 불국로 385, 불국사 (진현동)
|
불국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23]
|
24호
|
|
경주 석굴암 석굴 (慶州 石窟庵 石窟) (Seokguram Grotto, Gyeongju)
|
경북 경주시 불국로 873-243, 석굴암 (진현동)
|
석굴암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24]
|
25호
|
|
경주 태종무열왕릉비 (慶州 太宗武烈王陵碑) (Stele for King Taejong Muyeol, Gyeongju)
|
경북 경주시 서악동 844-1
|
경주시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25]
|
26호
|
|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慶州 佛國寺 金銅毘盧遮那佛坐像) (Gilt-bronze Seated Vairocana Buddha of Bulguksa Temple, Gyeongju)
|
경북 경주시 진현동 15 불국사
|
불국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26]
|
27호
|
|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慶州 佛國寺 金銅阿彌陀如來坐像) (Gilt-bronze Seated Amitabha Buddha of Bulguksa Temple, Gyeongju)
|
경북 경주시 진현동 15 불국사
|
불국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27]
|
28호
|
|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慶州 栢栗寺 金銅藥師如來立像) (Gilt-bronze Standing Bhaisajyaguru Buddha of Baengnyulsa Temple, Gyeongju)
|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
|
국립경주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28]
|
29호
|
|
성덕대왕신종 (聖德大王神鍾) (Sacred Bell of Great King Seongdeok)
|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
|
국립경주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29]
|
30호
|
|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慶州 芬皇寺 模塼石塔) (Stone Brick Pagoda of Bunhwangsa Temple, Gyeongju)
|
경북 경주시 분황로 94-11, 분황사 (구황동)
|
분황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30]
|
31호
|
|
경주 첨성대 (慶州 瞻星臺) (Cheomseongdae Observatory, Gyeongju)
|
경북 경주시 인왕동 839-1
|
경주시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31]
|
32호
|
|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陜川 海印寺 大藏經板) (Printing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in Haeinsa Temple, Hapcheon)
|
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해인사 (치인리)
|
해인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명칭변경
|
[32]
|
33호
|
|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昌寧 新羅 眞興王 拓境碑) (Monument in Changnyeong Commemorating the Border Expansion by King Jinheung of Silla)
|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상리 28-1
|
창녕군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33]
|
34호
|
|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昌寧 述亭里 東 三層石塔) (East Three-story Stone Pagoda in Suljeong-ri, Changnyeong)
|
경남 창녕군 창녕읍 시장2길 37 (술정리)
|
창녕군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34]
|
35호
|
|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求禮 華嚴寺 四獅子 三層石塔) (Four Lion Three-story Stone Pagoda of Hwaeomsa Temple, Gurye)
|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황전리)
|
화엄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35]
|
36호
|
|
상원사 동종 (上院寺 銅鍾) (Bronze Bell of Sangwonsa Temple)
|
강원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50, 상원사 (동산리)
|
상원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36]
|
37호
|
|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慶州 皇福寺址 三層石塔) (Three-story Stone Pagoda at Hwangboksa Temple Site, Gyeongju)
|
경북 경주시 구황동 103
|
경주시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37]
|
38호
|
|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慶州 高仙寺址 三層石塔) (Three-story Stone Pagoda from Goseonsa Temple Site, Gyeongju)
|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
|
경주시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38]
|
39호
|
|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慶州 羅原里 五層石塔) (Five-story Stone Pagoda in Nawon-ri, Gyeongju)
|
경북 경주시 현곡면 라원리 676
|
경주시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39]
|
40호
|
|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慶州 淨惠寺址 十三層石塔) (Thirteen-story Stone Pagoda at Jeonghyesa Temple Site, Gyeongju)
|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1654
|
경주시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40]
|
41호
|
|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淸州 龍頭寺址 鐵幢竿) (Iron Flagpole at Yongdusa Temple Site, Cheongju)
|
충북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 48-19
|
청주시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41]
|
42호
|
|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順天 松廣寺 木彫三尊佛龕) (Portable Shrine of Wooden Buddha Triad at Songgwangsa Temple, Suncheon)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
|
송광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42]
|
43호
|
|
혜심고신제서 (惠諶告身制書) (Royal Edict Issued to Great Master Hyesim)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
|
송광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43]
|
44호
|
|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長興 寶林寺 南·北 三層石塔 및 石燈) (South and North Three-story Stone Pagodas and Stone Lantern of Borimsa Temple, Jangheung)
|
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45 보림사
|
보림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44]
|
45호
|
|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榮州 浮石寺 塑造如來坐像) (Clay Seated Buddha of Buseoksa Temple, Yeongju)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9 부석사
|
부석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45]
|
46호
|
|
부석사조사당벽화 (浮石寺祖師堂壁畵) (Mural Painting in 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9 부석사
|
부석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46]
|
47호
|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塔碑) (Stele for Master Jingam at Ssanggyesa Temple, Hadong)
|
경남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길 59, 쌍계사 (운수리)
|
쌍계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47]
|
48-1호[a]
|
|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平昌 月精寺 八角 九層石塔) (Octagonal Nine-story Stone Pagoda of Woljeongsa Temple, Pyeongchang)
|
강원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월정사 (동산리)
|
월정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2017년 1월 19일 지정번호 변경
|
[48]
|
49호
|
|
예산 수덕사 대웅전 (禮山 修德寺 大雄殿) (Daeungjeon Hall of Sudeoksa Temple, Yesan)
|
충청남도 예산군 수덕사안길 79 (덕산면, 수덕사)
|
수덕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49]
|
50호
|
|
영암 도갑사 해탈문 (靈巖 道岬寺 解脫門) (Haetalmun Gate of Dogapsa Temple, Yeongam)
|
전남 영암군 군서면 도갑사로 306, 도갑사 (도갑리)
|
도갑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50]
|
51호
|
|
강릉 임영관 삼문 (江陵 臨瀛館 三門) (Main Gate of Imyeonggwan Guesthouse, Gangneung)
|
강원 강릉시 임영로131번길 6 (용강동)
|
강릉시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51]
|
52호
|
|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陜川 海印寺 藏經板殿) (Janggyeongpanjeon Depositories of Haeinsa Temple, Hapcheon)
|
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해인사 (치인리)
|
해인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52]
|
53호
|
|
구례 연곡사 동 승탑 (求禮 鷰谷寺 東 僧塔) (East Stupa of Yeongoksa Temple, Gurye)
|
전남 구례군 토지면 피아골로 806-16, 연곡사 (내동리)
|
연곡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53]
|
54호
|
|
구례 연곡사 북 승탑 (求禮 鷰谷寺 北 僧塔) (North Stupa of Yeongoksa Temple, Gurye)
|
전남 구례군 토지면 피아골로 806-16, 연곡사 (내동리)
|
연곡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54]
|
55호
|
|
보은 법주사 팔상전 (報恩 法住寺 捌相殿) (Palsangjeon Wooden Pagoda of Beopjusa Temple, Boeun)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 (사내리)
|
법주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55]
|
56호
|
|
순천 송광사 국사전 (順天 松廣寺 國師殿) (Guksajeon Shrine of Songgwangsa Temple, Suncheon)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
|
송광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56]
|
57호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和順 雙峯寺 澈鑒禪師塔) (Stupa of Master Cheolgam at Ssangbongsa Temple, Hwasun)
|
전남 화순군 이양면 증리 195-1 쌍봉사
|
쌍봉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57]
|
58호
|
|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靑陽 長谷寺 鐵造藥師如來坐像 및 石造臺座) (Iron Seated Bhaisajyaguru Buddha and Stone Pedestal of Janggoksa Temple, Cheongyang)
|
충남 청양군 대치면 장곡리 14 장곡사
|
장곡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58]
|
59호
|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碑) (Stele for State Preceptor Jigwang at Beopcheonsa Temple Site, Wonju)
|
강원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 산70
|
원주시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59]
|
60호
|
|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靑磁 獅子形蓋 香爐) (Celadon Ewer in the Shape of a Fish-dragon)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60]
|
61호
|
|
청자 어룡형 주전자 (靑磁 魚龍形 注子) (Celadon Ewer in the Shape of a Fish-dragon)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61]
|
62호
|
|
김제 금산사 미륵전 (金堤 金山寺 彌勒殿) (Mireukjeon Hall of Geumsansa Temple, Gimje)
|
전북 김제시 금산면 모악15길 1, 금산사 (금산리)
|
금산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62]
|
63호
|
|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鐵原 到彼岸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Iron Seated Vairocana Buddha of Dopiansa Temple, Cheorwon)
|
강원 철원군 동송읍 도피동길 23
|
도피안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63]
|
64호
|
|
보은 법주사 석련지 (報恩 法住寺 石蓮池) (Stone Lotus Basin of Beopjusa Temple, Boeun)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405-9, 법주사 (사내리)
|
법주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64]
|
65호
|
|
청자 기린형뚜껑 향로 (靑磁 麒麟形蓋 香爐) (Celadon Incense Burner with Girin-shaped Lid)
|
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 (성북동,간송미술관)
|
간송미술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65]
|
66호
|
|
청자 상감연지원앙문 정병 (靑磁 象嵌蓮池鴛鴦文 淨甁) (Celadon Kundika with Inlaid Willow, Lotus, Reed, and Mandarin Duck Design)
|
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 (성북동,간송미술관)
|
간송미술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66]
|
67호
|
|
구례 화엄사 각황전 (求禮 華嚴寺 覺皇殿) (Gakhwangjeon Hall of Hwaeomsa Temple, Gurye)
|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화엄사 (황전리)
|
화엄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67]
|
68호
|
|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靑磁 象嵌雲鶴文 梅甁) (Celadon Prunus Vase with Inlaid Cloud and Crane Design)
|
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 (성북동,간송미술관)
|
간송미술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68]
|
69호
|
|
심지백 개국원종공신녹권 (沈之伯 開國原從功臣錄券)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Issued to Sim Ji-baek)
|
부산 서구 구덕로 255 (부용동2가,동아대학교)
|
동아대학교 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명칭변경
|
[69]
|
70호
|
|
훈민정음 (訓民正音) (Hunminjeongeum (The Proper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
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 (성북동,간송미술관)
|
간송미술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70]
|
71호
|
|
동국정운 권1, 6 (東國正韻 卷一, 六) (Dongguk jeongun (Standard Rhymes of the Eastern State), Volumes 1 and 6)
|
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 (성북동,간송미술관)
|
간송미술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명칭변경
|
[71]
|
72호
|
|
금동계미명삼존불입상 (金銅癸未銘三尊佛立像) (Gilt-bronze Standing Buddha Triad with Inscription of "Gyemi Year")
|
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 (성북동,간송미술관)
|
간송미술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72]
|
73호
|
|
금동삼존불감 (金銅三尊佛龕) (Portable Shrine of Gilt-bronze Buddha Triad)
|
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 (성북동,간송미술관)
|
간송미술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73]
|
74호
|
|
청자 오리모양 연적 (靑磁 鴨形 硯滴) (Celadon Duck-shaped Water Dropper)
|
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 (성북동,간송미술관)
|
간송미술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74]
|
75호
|
|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 (表忠寺 靑銅 銀入絲 香垸) (Bronze Incense Burner with Silver-inlaid Design of Pyochungsa Temple)
|
경남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산31-2 표충사
|
표충사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75]
|
76호
|
|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李舜臣 亂中日記 및 書簡帖 壬辰狀草) (Nanjung ilgi (War Diary), Imjin jangcho (Drafts of the Imjin War Reports) and Letters by Yi Sun-sin)
|
충남 아산시 염치읍 현충사길 48
|
현충사관리소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명칭변경
|
[76]
|
77호
|
|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義城 塔里里 五層石塔) (Five-story Stone Pagoda in Tamni-ri, Uiseong)
|
경북 의성군 금성면 오층석탑길 5-3 (탑리)
|
의성군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77]
|
78호
|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 (Gilt-bronze Pensive Maitreya Bodhisattva)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78]
|
79호
|
|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慶州 九黃洞 金製如來坐像) (Gold Seated Buddha from Guhwang-dong, Gyeongju)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79]
|
80호
|
|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慶州 九黃洞 金製如來立像) (Gold Standing Buddha from Guhwang-dong, Gyeongju)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80]
|
81호
|
|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慶州 甘山寺 石造彌勒菩薩立像) (Stone Standing Maitreya Bodhisattva of Gamsansa Temple, Gyeongju)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81]
|
82호
|
|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慶州 甘山寺 石造阿彌陀如來立像) (Stone Standing Amitabha Buddha of Gamsansa Temple, Gyeongju)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82]
|
83호
|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 (Gilt-bronze Pensive Maitreya Bodhisattva)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83]
|
84호
|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瑞山 龍賢里 磨崖如來三尊像) (Rock-carved Buddha Triad in Yonghyeon-ri, Seosan)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2-10
|
서산시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명칭 변경
|
[84]
|
85호
|
|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 (金銅辛卯銘三尊佛立像) (Gilt-bronze Standing Buddha Triad with Inscription of "Sinmyo Year")
|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
삼성미술관 리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85]
|
86호
|
|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開城 敬天寺址 十層石塔) (Ten-story Stone Pagoda from Gyeongcheonsa Temple Site, Gaeseong)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86]
|
87호
|
|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 (金冠塚 金冠 및 金製冠飾) (Gold Crown and Diadem Ornaments from Geumgwanchong Tomb)
|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
국립경주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87]
|
88호
|
|
금관총 금제 허리띠 (金冠塚 金製銙帶) (Gold Waist Belt from Geumgwanchong Tomb)
|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
국립경주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88]
|
89호
|
|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 (平壤 石巖里 金製鉸具) (Gold Buckle from Seogam-ri, Pyeongyang)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89]
|
90호
|
|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 (慶州 夫婦塚 金製耳飾) (Gold Earrings from Bubuchong Tomb, Gyeongju)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90]
|
91호
|
|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陶器 騎馬人物形 明器) (Earthenware Funerary Objects in the Shape of a Warrior on Horseback)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91]
|
92호
|
|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靑銅 銀入絲 蒲柳水禽文 淨甁) (Bronze Kundika with Silver-inlaid Willow and Waterfowl Design)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92]
|
93호
|
|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 (白磁 鐵畵葡萄猿文 壺) (White Porcelain Jar with Grape and Monkey Design in Underglaze Iron)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93]
|
94호
|
|
청자 참외모양 병 (靑磁 瓜形 甁) (Celadon Melon-shaped Bottle)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94]
|
95호
|
|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靑磁 透刻七寶文蓋 香爐) (Celadon Incense Burner with Openwork Auspicious-character Design Lid)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95]
|
96호
|
|
청자 구룡형 주전자 (靑磁 龜龍形 注子) (Celadon Ewer in the Shape of a Turtle-dragon)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96]
|
97호
|
|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靑磁 陰刻蓮花唐草文 梅甁) (Celadon Prunus Vase with Incised Lotus and Scroll Design)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97]
|
98호
|
|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靑磁 象嵌牡丹文 壺) (Celadon Jar with Inlaid Peony Design)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98]
|
99호
|
|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 (金泉 葛項寺址 東·西 三層石塔) (East and West Three-story Stone Pagodas from Galhangsa Temple Site, Gimcheon)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99]
|
100호
|
|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 (開城 南溪院址 七層石塔) (Seven-story Stone Pagoda from Namgyewon Temple Site, Gaeseong)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100]
|
101호
|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 (Stupa of State Preceptor Jigwang from Beopcheonsa Temple Site, Wonju)
|
대전 유성구 문지로 132 (문지동, 국립문화재연구소)
|
문화재청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101]
|
102호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忠州 淨土寺址 弘法國師塔) (Stupa of State Preceptor Hongbeop from Jeongtosa Temple Site, Chungju)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102]
|
103호
|
|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光陽 中興山城 雙獅子 石燈) (Twin Lion Stone Lantern of Jungheungsanseong Fortress, Gwangyang)
|
광주 북구 하서로 110, 국립광주박물관 (매곡동)
|
국립광주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103]
|
104호
|
|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傳 原州 興法寺址 廉居和尙塔) (Stupa of Buddhist Monk Yeomgeo from Heungbeopsa Temple Site, Wonju (Presumed))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104]
|
105호
|
|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山淸 泛鶴里 三層石塔) (Three-story Stone Pagoda in Beomhak-ri, Sancheong)
|
경남 진주시 남강로 626-35 (남성동, 국립진주박물관)
|
국립진주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105]
|
106호
|
|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 (Stele of Amitabha with Inscription of "Gyeyu Year", Offered by Jeon)
|
충북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43, 국립청주박물관 (명암동,국립청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106]
|
107호
|
|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白磁 鐵畵葡萄文 壺) (White Porcelain Jar with Grape Design in Underglaze Iron)
|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신촌동)
|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107]
|
108호
|
|
계유명삼존천불비상 (癸酉銘三尊千佛碑像) (Stele of Buddha Triad and a Thousand Buddhas with Inscription of "Gyeyu Year")
|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
국립공주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108]
|
109호
|
|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軍威 阿彌陀如來三尊 石窟) (Grotto of Amitabha Buddha Triad, Gunwi)
|
대구 군위군 부계면 남산리 1477
|
군위군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109]
|
110호
|
|
이제현 초상 (李齊賢 肖像) (Portrait of Yi Je-hyeon)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110]
|
111호
|
|
안향 초상 (安珦 肖像) (Portrait of An Hyang)
|
경북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40, 소수박물관 (내죽1리)
|
소수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111]
|
112호
|
|
경주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 (慶州 感恩寺址 東·西 三層石塔) (East and West Three-story Stone Pagodas at Gameunsa Temple Site, Gyeongju)
|
경북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55-3, 55-9
|
경주시
|
1962년 12월 20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112]
|
113호
|
|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靑磁 鐵畵楊柳文 筒形 甁) (Celadon Tube-shaped Bottle with Willow Design in Underglaze Iron)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113]
|
114호
|
|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靑磁 象嵌牡丹菊花文 瓜形 甁) (Celadon Melon-shaped Bottle with Inlaid Peony and Chrysanthemum Design)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114]
|
115호
|
|
청자 상감당초문 완 (靑磁 象嵌唐草文 碗) (Celadon Bowl with Inlaid Scroll Design)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115]
|
116호
|
|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靑磁 象嵌牡丹文 瓢形 注子) (Celadon Gourd-shaped Ewer with Inlaid Peony Design)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116]
|
117호
|
|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長興 寶林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Iron Seated Vairocana Buddha of Borimsa Temple, Jangheung)
|
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45 보림사
|
보림사
|
1963년 2월 21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117]
|
118호
|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 (Gilt-bronze Pensive Maitreya Bodhisattva)
|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
삼성미술관 리움
|
1964년 3월 30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118]
|
119호
|
|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金銅延嘉七年銘如來立像) (Gilt-bronze Standing Buddha with Inscription of "the Seventh Yeonga Year")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4년 3월 30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119]
|
120호
|
|
용주사 동종 (龍珠寺 銅鍾) (Bronze Bell of Yongjusa Temple)
|
경기 화성시 용주로 136, 용주사 (송산동)
|
용주사
|
1964년 3월 30일 지정
|
[120]
|
121호
|
|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 (安東 河回탈 및 屛山탈) (Hahoe Masks and Byeongsan Masks of Andong)
|
경북 안동시 민속촌길 13(성곡동, 안동민속박물관)
|
안동민속박물관
|
1964년 3월 30일 지정
|
[121]
|
122호
|
|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襄陽 陳田寺址 三層石塔) (Three-story Stone Pagoda at Jinjeonsa Temple Site, Yangyang)
|
강원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 100-2
|
양양군
|
1966년 2월 28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122]
|
123호
|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舍利莊嚴具) (Reliquaries from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Iksan)
|
전북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249, 국립전주박물관 (효자동2가,국립전주박물관)
|
국립전주박물관
|
1966년 7월 26일 지정
|
[123]
|
124호
|
|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江陵 寒松寺址 石造菩薩坐像) (Stone Seated Bodhisattva from Hansongsa Temple Site, Gangneung)
|
강원 춘천시 우석로 70, 국립춘천박물관 (석사동,국립춘천박물관)
|
국립춘천박물관
|
1967년 6월 21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124]
|
125호
|
|
녹유골호 (綠釉骨壺) (Green-glazed Burial Urn (Granite Case))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7년 6월 21일 지정
|
[125]
|
126호
|
|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佛國寺 三層石塔 舍利莊嚴具) (Reliquaries from the Three-story Stone Pagoda of Bulguksa Temple)
|
경북 경주시 불국로385 불국사성보박물관
|
불국사성보박물관
|
1967년 9월 16일 지정
|
[126]
|
127호
|
|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 (서울 三陽洞 金銅觀音菩薩立像) (Gilt-bronze Standing Avalokitesvara Bodhisattva from Samyang-dong, Seoul)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8년 12월 19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명칭변경
|
[127]
|
128호
|
|
금동관음보살입상 (金銅觀音菩薩立像) (Gilt-bronze Standing Avalokitesvara Bodhisattva)
|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
삼성미술관 리움
|
1968년 12월 19일 지정
|
[128]
|
129호
|
|
금동보살입상 (金銅菩薩立像) (Gilt-bronze Standing Bodhisattva)
|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
삼성미술관 리움
|
1968년 12월 19일 지정
|
[129]
|
130호
|
|
구미 죽장리 오층석탑 (龜尾 竹杖里 五層石塔) (Five-story Stone Pagoda in Jukjang-ri, Gumi)
|
경북 구미시 선산읍 죽장2길 90 (죽장리)
|
구미시
|
1968년 12월 19일 지정, 2010년 12월 27일 명칭변경
|
[130]
|
131호
|
|
고려말 화령부 호적관련고문서 (高麗末和寧府戶籍關聯古文書) (Family Register of Hwaryeong-bu Prefecture Written in the Late Goryeo Dynasty)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국립중앙박물관
|
1969년 11월 7일 지정, 2010년 8월 25일 명칭변경
|
[131]
|
132호
|
|
징비록 (懲毖錄) (Jingbirok (The Book of Correction))
|
경북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 한국국학진흥원
|
한국국학진흥원
|
1969년 11월 7일 지정
|
[1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