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축구협회장배 전국고교축구대회는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축구대회이다. 이 대회는 1974년 대한축구협회장배쟁탈 전국우수고교축구대회 또는 대한축구협회장배쟁탈 전국중고교축구대회라는 명칭으로 출범하였다.[1][2] 매년 개최되다가 2006년부터 2017년까지는 (33회~38회) 중등부는 홀수해, 고등부는 짝수해에 격년으로 개최되었고, 코로나19 범유행 기간 동안 중등부 대회가 취소되어, 그 이후로는 고등부 대회가 매년 개최되고 있다.[3]
역대 대회 결과
각주
- ↑ 김종진 (1974년 8월 28일). “全國中高(전국중고) 蹴球(축구)대회 準準決(준준결)에 진출”. 《동아일보》. 2023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慶南商(경남상)등 첫승리 優秀中高校(우수중고교)축구”. 《조선일보》. 1974년 8월 27일. 2023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이진규 (2020년 9월 1일). “‘고교 월드컵’ 협회장배 축구대회 2일 킥오프”. 《국제신문》. 2023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釜商(부상)·동아高(고) 공동優勝(우승) 中高(중고)축구大會(대회)”. 《동아일보》. 1974년 9월 2일. 2023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全國中(전국중)·高蹴球(고축구) 清州商(청주상)·安養工(안양공) 共同優勝(공동우승) 차지”. 《동아일보》. 1975년 8월 25일.
- ↑ “慶熙(경희)-嶺南商(영남상) 공동 우승”. 《조선일보》. 1978년 8월 10일.
- ↑ “會長杯(회장배) 중고축구 東萊高(동래고) 우승 승부차기서 晋州(진주)제압”. 《동아일보》. 1980년 7월 31일.
- ↑ “會長盃(회장배)중·고축구 江陵農(강릉농) 우승”. 《매일경제》. 1981년 8월 20일.
- ↑ “大倫(대륜),高校(고교)축구頂上(정상)"재확인"”. 《조선일보》. 1982년 8월 24일.
- ↑ “會長旗(회장기) 고교축구 釜山商(부산상)·巨濟(거제) 패권다툼”. 《경향신문》. 1983년 8월 8일.
- ↑ “釜山商(부산상) 정상차지 회장기 高校(고교) 축구”. 《조선일보》. 1983년 8월 9일.
- ↑ 가 나 “협회장杯(배) 中高(중고)축구 龍文(용문) 3년만에 우승”. 《동아일보》. 1987년 7월 29일.
- ↑ “올 2광왕 富平(부평),慶熙(경희)에 잡혀”. 《조선일보》. 1984년 9월 25일.
- ↑ “협회장盃(배)축구 연장끝에 東亞(동아)눌러 동래고,5년만에 覇權(패권)탈환”. 《경향신문》. 1985년 8월 9일.
- ↑ “東萊高(동래고)·昌信中(창신중) 패권 중고축구”. 《매일경제》. 1986년 8월 1일.
- ↑ “釜山商(부산상) 정상탈환”. 《경향신문》. 1988년 4월 26일.
- ↑ “釜山商(부산상) 2연패”. 《조선일보》. 1989년 8월 12일.
- ↑ “부산商(상) 3連覇(연패) 협회장배축구 연장혈투끝 중동高(고) 눌러”. 《경향신문》. 1990년 8월 3일.
- ↑ “회장盃(배) 중고축구 동래·동아고 공동우승 연장전끝 1대1비겨”. 《매일경제》. 1991년 8월 5일.
- ↑ “부산상고 고교축구 정상”. 《조선일보》. 1993년 8월 12일.
- ↑ 조정훈 (1994년 8월 16일). “문일,대회 첫 패권”. 《조선일보》.
- ↑ “축구 동북고 첫우승 환호 협회장배대회,창신 제압”. 《동아일보》. 1995년 8월 8일.
- ↑ 이현두 (1996년 8월 17일). “축구 풍생고, 동아 꺾고 우승”. 《동아일보》.
- ↑ “[협회장배 중고축구] 문일고, 3년만에 정상 복귀”. 《조선일보》. 1997년 8월 18일.
- ↑ “거제중.고 우승”. 《부산일보》. 1998년 4월 11일.
- ↑ “파주공고 6년만에 패권”. 《중앙일보》. 1999년 7월 24일.
- ↑ 김창금 (2000년 7월 12일). “진주고 협회장배 축구 패권”. 《한겨레》. 2023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김유리 (2001년 7월 9일). “[축구]대신, 회장배축구 고등부 우승”. 《동아일보》.
- ↑ “서울 대신고”. 《강원도민일보》. 2006년 5월 4일.
- ↑ 김수헌 (2002년 4월 30일). “청소년대표 중국전서 2골 넣은 샛별 정조국선수”. 《한겨레》. 2023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이백일 (2003년 1월 10일). “[우리 학교 짱!] (8) 대신고”. 《조선일보》.
- ↑ 이원홍 (2003년 7월 8일). “[축구]수원고 협회장배축구 우승”. 《동아일보》.
- ↑ 김신태 (2004년 7월 9일). “풍생고, 축구협회장배 중고축구 패권”. 《경인일보》.
- ↑ 김용호 (2005년 7월 24일). “협회장배 중고축구 폐막”. 《국제신문》.
- ↑ 김용호 (2006년 7월 31일). “동래고 15년만에 우승”. 《국제신문》.
- ↑ 신수건 (2008년 6월 30일). “부경고, 협회장배 고교축구 16년만에 우승 헹가래”. 《국제일보》.
- ↑ 염창현 (2010년 8월 18일). “부경고, 협회장배 2연패”. 《국제일보》.
- ↑ 장병진 (2012년 2월 27일). “부경고, 협회장배 전국고교축구 3연패”. 《부산일보》.
- ↑ “거제고, 축구협회장배 결승전서 개성고에 분패”. 《거제타임즈》. 2014년 3월 1일.
- ↑ 한동훈 (2016년 2월 28일). “'울산현대 U-18팀' 현대고, 대한축구협회장배 우승”. 《머니투데이》.
- ↑ 강종복 (2018년 2월 13일). “김해, 고교 축구대회 ‘천안제일고’ 우승”. 《경남연합일보》.
- ↑ 이영호 (2019년 6월 11일). “전북 U-18팀 영생고, 제40회 대한축구협회장배 우승”. 《연합뉴스》.
- ↑ 정민수 (2020년 9월 13일). “수원 매탄고, 대한축구협회장배 고교 축구 우승”. 《경기신문》. 2023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이선정 (2021년 5월 30일). “광양제철고, 2년 전 패배 설욕…첫 우승 번쩍”. 《국제신문》. 2023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윤정길 (2022년 6월 15일). “막강 화력 금호고 ‘고교월드컵’ 우승 입맞춤”. 《국제신문》. 2023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현대고 방패 뚫은 오산고의 창, 고교월드컵 처음 품었다”. 《국제신문》. 2023년 5월 18일. 2023년 5월 1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