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회색긴팔원숭이

동부회색긴팔원숭이
동부회색긴팔원숭이
동부회색긴팔원숭이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영장목
아목: 직비원아목
하목: 원숭이하목
상과: 사람상과
과: 긴팔원숭이과
속: 긴팔원숭이속
종: 동부회색긴팔원숭이
(H. funereus)
학명
Hylobates funereus
I. Geoffroy, 1850
동부회색긴팔원숭이의 분포 지역

동부회색긴팔원숭이의 분포 지역(노랑)
보전상태

위기(EN): 절멸가능성 매우 높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CITES Ⅰ: 거래 근절 필요
평가기관: CITES[2]

동부회색긴팔원숭이 또는 북부회색긴팔원숭이(학명: Hylobates funereus)는 긴팔원숭이과 긴팔원숭이속에 속하는 영장류 유인원이다.

분류학

이전에는 동부회색긴팔원숭이와 서부회색긴팔원숭이남부회색긴팔원숭이와 같은 종으로 간주했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세 종 모두 별개의 종으로 간주되며, IUCN 적색 목록과 미국 포유류학회(ASM)에서도 그렇게 분류한다. 그러나 서식지가 만나는 곳에서는 여전히 서로 교잡이 가능하다.[1][3][4][5]

분포

보르네오 북동부 고유종으로 칼리만탄, 사라왁, 브루나이에서 발견된다. 사바주에서 남쪽으로 동칼리만탄주의 마하캄강까지, 서쪽으로 사라왁의 바람까지 분포한다.[1]

보전

다른 두 회색긴팔원숭이와 마찬가지로, 동부회색긴팔원숭이는 보르네오의 심각한 삼림 벌채와 엘니뇨 현상으로 악화된 산불 증가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애완동물 거래를 위한 불법 사냥과 포획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1]

각주

  1. Nijman, V.; Cheyne, S.; Traeholt, C. (2020). Hylobates funereus. 《IUCN 적색 목록》 (IUCN): e.T39890A17990856. doi:10.2305/IUCN.UK.2020-2.RLTS.T39890A17990856.en. 2025년 7월 11일에 확인함. 
  2. “Appendices | CITES”. 《cites.org》. 2022년 1월 14일에 확인함. 
  3. Hylobates funereus I. Geoffroy Saint-Hilaire, 1850”. 《ASM Mammal Diversity Database》.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2025년 7월 15일에 확인함. 
  4. 《Evolution of Gibbons and Siamang | SpringerLink》 (PDF). Developments in Primatology: Progress and Prospects (영국 영어). 2016. doi:10.1007/978-1-4939-5614-2. ISBN 978-1-4939-5612-8. S2CID 32085956. 
  5. Sonstige, Wilson, Don E. 1944- Hrsg. Cavallini, Paolo (2013). 《Handbook of the mammals of the world》. Lynx Edicions. ISBN 978-84-96553-89-7. OCLC 1222638259.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