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노글리세라이드(영어: monoglyceride)는 1분자의 글리세롤이 1분자의 지방산과 에스터 결합을 통해 연결된 글리세라이드의 부류이다.[1]모노아실글리세롤(영어: monoacylglycerol)이라고도 한다. 글리세롤에는 1차 알코올 및 2차 알코올 작용기가 둘 다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지방산이 1차 알코올 작용기에 부착된 1-모노아실글리세롤 또는 지방산이 2차 알코올 작용기에 부착된 2-모노아실글리세롤이라는 두 가지 다른 유형의 모노글리세라이드가 생성될 수 있다.
모노글리세라이드는 보통 유화제의 형태의 계면활성제로 주로 사용된다. 다이글리세라이드와 함께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일반적으로 "E471"(지방산의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다이글리세라이드)과 같이 소량으로 상업용 식품에 첨가되며, 이는 기름과 물의 혼합물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전체 지방, 포화 지방 및 트랜스 지방에 대한 영양성분표에 제공되는 값은 지방이 트라이글리세라이드로 정의되기 때문에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다이글리세라이드의 존재값을 포함하지 않는다. 모노글리세라이드는 또한 베이커리 제품, 음료, 아이스크림, 껌, 쇼트닝, 휘핑 토핑, 마가린, 스프레드, 땅콩 버터,[5]과자에서도 보통 발견된다.[6] 베이커리 제품에서 모노글리세라이드는 빵의 부피와 질감을 개선하고 제품의 상태를 유지하는 데 유용하다.[7][8]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우유를 크림화하는 것에 대한 물리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9]
↑Flickinger, Brent D.; Matsuo, Noboru (February 2003).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DAG oil”. 《Lipids》 38 (2): 129–132. doi:10.1007/s11745-003-1042-8. PMID12733744.
↑Hansen, KB; Rosenkilde, MM; Knop, FK; Wellner, N; Diep, TA; Rehfeld, JF; Andersen, UB; Holst, JJ; Hansen, HS (September 2011). “2-Oleoyl glycerol is a GPR119 agonist and signals GLP-1 release in humans.”.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96 (9): E1409–17. doi:10.1210/jc.2011-0647. PMID21778222.
↑Sonntag, Norman O. V. (1982). “Glycerolysis of fats and methyl esters — Status, review and critique”.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59 (10): 795A–802A. doi:10.1007/BF02634442. ISSN0003-021X.
↑Loi, Chia Chun; Eyres, Graham T.; Birch, E. John (2019). “Effect of mono- and diglycerides on physical properties and stability of a protein-stabilised oil-in-water emulsion”. 《Journal of Food Engineering》 240: 56–64. doi:10.1016/j.jfoodeng.2018.07.016. ISSN0260-8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