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를 발명한 사람들을 연대기순으로 나열한다. 이 목록에는 실제적으로는 믿기 어려운 전설상의 기록을 포함한다.
연도
|
이름
|
문자이름
|
언어
|
현재 사용 여부
|
기원전 3000년
|
토트(이집트의 신)
|
이집트 신성문자
|
고대 이집트어
|
현재 사용되지 않음
|
기원전 2850년?
|
복희(중국의 왕)
|
한자, 팔괘
|
중국어, 일본어
|
사용 중
|
기원전 2650년?
|
창힐(중국의 학자)
|
한자
|
중국어, 일본어
|
사용 중
|
기원전 2300년?
|
엔메르카르(수메르의 왕)[1]
|
수메르 쐐기문자
|
수메르어
|
사용되지 않음
|
기원전 2000년?
|
페니우스 파르사
|
오검 문자
|
고대 켈트어
|
사용되지 않음
|
기원전 1875년?
|
오마 그란아네헤(아일랜드의 제사장)
|
오검 문자
|
고대 켈트어
|
사용되지 않음
|
기원전 1350년?
|
카드무스(페니키아의 왕자)
|
그리스 문자
|
그리스어
|
현재 사용 중
|
기원전 1250년?
|
카르멘타
|
그리스 문자를 채용하여 로마자로
|
라틴어
|
사용 중
|
기원전 284년
|
파르나바즈 1세(이베리아의 왕)
|
조지아 문자의 성립에 기여
|
조지아어
|
사용 중
|
기원전 63년
|
마르쿠스 툴리우스 티로[2](로마의 서기)
|
티로니아 노트(속기의 일종)
|
라틴어
|
사용되지 않음
|
350년
|
울필라스(고트 선교사)
|
고트 문자
|
고트어
|
사용되지 않음
|
405년
|
성 메슈로프
|
아르메니아 문자
|
아르메니아어
|
사용 중
|
650년
|
톤미 삼보타(티베트의 학자)
|
티베트 문자
|
티베트어
|
사용 중
|
689년
|
종친커, 측천무후
|
측천 문자
|
중국어
|
사용되지 않음
|
750년?
|
설총(신라의 학자)
|
이두
|
한국어
|
사용되지 않음
|
806년
|
구카이(일본의 중)
|
가나문자 성립에 기여
|
일본어
|
사용 중
|
863년
|
성 키릴로스
|
글라골 문자
|
교회 슬라브어
|
사용되지 않음
|
880년
|
시리 종가(네팔의 왕)
|
림부 문자
|
림부어
|
사용 중
|
900년
|
성 클리멘트 오흐리드(불가리아의 성자)
|
키릴 문자
|
슬라브 제어 및 러시아 영내의 소수민족어
|
사용 중
|
925년
|
디엘라
|
거란 문자
|
거란어
|
사용되지 않음
|
1036년
|
옐리 렌롱(서하의 학자)
|
서하 문자
|
서하어
|
사용되지 않음
|
1120년
|
완안희윤(여진의 학자)
|
여진 문자
|
여진어
|
사용되지 않음
|
1150년
|
힐데가르트 폰 빙겐(독일의 수녀원장)
|
리테라이 이그노타이(인공어 표기용 문자)
|
링구아 이그노타(인공어)
|
사용되지 않음
|
1220년?
|
테베의 호노리우스(중세의 미스테리 인물)
|
테반 문자
|
라틴어 또는 히브리어
|
사용되지 않음
|
1250년
|
다완 투리
|
바랑 크슈트리 문자
|
호어
|
사용 중
|
1250년
|
모웅바리 아종(티베트의 왕)
|
동파 문자 성립에 기여
|
나시어
|
사용 중
|
1269년
|
파스파(티베트의 승려)
|
파스파 문자
|
몽골어
|
사용되지 않음
|
1283년
|
람캄행 대왕(태국의 군주)
|
타이 문자 제정
|
태국어
|
중간 개정을 거쳐 사용 중
|
1300년
|
성 샤흐잘랄(벵갈인)
|
실레티 나가리 문자
|
실레티어
|
사용되지 않음
|
1372년
|
페름의 스테판(루스인 선교사)
|
고 페름문자
|
헝가리어 이외
|
사용되지 않음
|
1443년(반포 1446년)
|
세종대왕(조선의 군주)
|
한글
|
한국어
|
사용 중
|
1478년
|
요하네스 판테우스(독일의 저자)
|
에녹 문자(신비주의, 마법문자)
|
?
|
사용되지 않음
|
1499년
|
요하네스 트리테미우스(독일의 암호가)
|
엔젤 문자(신비주의,마법문자)
|
?
|
사용되지 않음
|
1516년
|
토머스 모어(영국인 작가)
|
유토피아 문자(작품 《유토피아》중에 등장)
|
?
|
사용되지 않음
|
1520년
|
파라켈수스(스위스의 연금술사)
|
마기 문자(신비주의, 마법문자)
|
?
|
사용되지 않음
|
1525년
|
하인리히 코르넬리우스 아그립파(독일의 연금술사)
|
프란시투스 플루비 문자, 말라킴 문자, 천도 문자(신비주의, 마법문자)
|
?
|
사용되지 않음
|
1539년
|
구루 안가드 데브(시크교의 구루)
|
구르무키 문자
|
펀자브어
|
사용 중
|
1582년
|
존 디(영국의 연금술사)
|
에녹 문자(요하네스 판테우스와 다른 버전)
|
?
|
사용되지 않음
|
1588년
|
티머시 브라이트(영국인)
|
카락테리 속기
|
영어
|
사용되지 않음
|
1599년
|
누르하치(청의 황제)문자제작을 지시
|
만주 문자
|
만주어
|
사용 중
|
1602년
|
존 윌리스(영국인)
|
속기 문자
|
영어
|
사용되지 않음
|
1648년
|
자야 판디트(칼미크의 라마승)
|
토도 문자
|
칼미크어, 몽골어
|
사용되지 않음
|
1686년
|
프란시스 로드빅(네덜란드 언어학자)
|
유니버설 알파벳
|
?
|
사용되지 않음
|
1686년
|
보그도 자나바자르(몽골의 승려)
|
소욤보 문자
|
몽골어
|
사용되지 않음(단, 문장-장식 등 제한된 한도 내에서 사용)
|
1700년
|
티쿵 멘 살롱(부탄의 학자)
|
렙차 문자
|
렙차어
|
사용 중
|
1704년
|
조지 살마나자르(협잡꾼)[3]
|
포르모산 알파벳 (그가 꾸며낸 위서에서 대만어 표기에 사용된다는 설정으로 등장)
|
?
|
사용되지 않음
|
1768년
|
벤저민 프랭클린(미국의 과학자, 정치가)
|
벤저민 프랭클린 음소문자
|
영어
|
사용되지 않음
|
1817년
|
프란츠 크사퍼 가벨스베르거(독일의 비서)
|
가벨스베르거식 속기문자
|
독일어
|
사용 중(많은 버전으로 발전)
|
1819년
|
시쿼야(체로키족 추장)
|
체로키 문자
|
체로키어
|
사용 중
|
1821년
|
루이 브라유(프랑스인 교사)
|
점자
|
프랑스어외 다수
|
사용 중(많은 버전으로 발전)
|
1833년
|
두알레 부카레(라이베리아인)
|
바이 문자
|
바이어
|
사용 중
|
1835년
|
새뮤얼 모스(미국의 발명가)
|
모스 부호
|
영어외 다수
|
사용 중(많은 버전으로 발전)
|
1837년
|
아이작 피트먼(영국의 교사)
|
피트맨식 속기문자
|
영어외 기타
|
사용됨(극히 드물게) 개정, 파생됨
|
1840년
|
제임스 에번스(캐나다의 선교사)
|
크리 문자 및 오지베 음절문자
|
크리어, 오지베어 등
|
사용 중
|
1840년
|
베이타 쿠큐(알바니아인)
|
베이타 쿠큐 문자
|
알바니아어
|
사용되지 않음
|
1478년
|
요하네스 판테우스(독일의 저자)
|
에녹 문자(신비주의, 마법문자)
|
?
|
사용되지 않음
|
1855년
|
조지 D. 와트, 팔리 P. 프렛(몰몬교도)
|
데저렛 문자
|
영어
|
사용되지 않음
|
1867년
|
알렉산더 멜빌 벨(미국의 교사)
|
비저블 스피치
|
영어
|
사용되지 않음
|
1868년
|
윌리엄 벨 웨이트(미국의 교사)
|
뉴욕 포인트(점자의 일종)
|
영어
|
사용되지 않음
|
1879년
|
안톤 베젠셰크(슬로베니아 언어학자)
|
베젠셰크식 속기문자
|
슬로베니아어
|
사용함(제한적)
|
1885년
|
아드리앵가브리엘 모리스(프랑스인)
|
캐리어 음절문자
|
캐리어어
|
사용되지 않음
|
1886년
|
고지마 잇토(일본인)
|
일본신자
|
일본어
|
사용되지 않음
|
1888년
|
존 로버트 그레그(아일랜드 작가)
|
그레그식 속기문자
|
영어 이외
|
사용 중(다수 변형 및 파생)
|
1890년
|
존 윌리엄 팀스(미국인)
|
블랙풋 음절문자
|
식시카어
|
사용 중
|
1900년
|
우야쿡(이누이트인 선교사)
|
유그툰 문자
|
유그툰어
|
?
|
1901년
|
왕자오(중국인 언어학자,정치가)
|
관화합성자모
|
중국어
|
사용되지 않음
|
1903년
|
로버트 보이드(미국인)
|
보이드 음절 속기문자
|
영어
|
사용 중
|
1905년
|
샘 폴러드(영국인 선교사)
|
폴라드 문자
|
먀오어
|
사용
|
1908년
|
아파카 아투미시(수리남인)
|
아파카 문자
|
은주카어(크레올)[4]
|
사용 중
|
1913년
|
장빙린(중국의 언어학자)
|
주음부호로 발전되는 속기
|
중국어
|
사용되지 않음
|
1915년
|
제임스 O. 프레이저(스코틀랜드인 선교사)
|
프레이저 문자
|
리수어
|
사용 중
|
1921년
|
키시미 카말라(시에라리온인)
|
멘데 문자
|
멘데어
|
사용 중
|
1925년
|
오스만 유수프 케나디드(소말리아인)
|
오스마냐 문자
|
소말리어
|
사용되지 않음
|
1925년
|
라구나트 무르무(인도인)
|
올치키 문자
|
산탈리어
|
사용 중(제한적)
|
1928년
|
디드리히 베스터만(독일인 선교사)
|
아프리카 문자(로마자 변형)
|
아프리카 여러 언어
|
사용 중(여러 정서법에 영향끼침)
|
1930년
|
J. R. R. 톨킨(영국의 작가)
|
텡과르, 키르스 문자(작품 《반지의 제왕》중에 등장)
|
꿰냐어, 신다린어(인공어)
|
?
|
1935년
|
그빌리 추장(라이베리아인)
|
크펠레 문자
|
크펠레어
|
사용되지 않음
|
1935년
|
위도 조보(라이베리아인)
|
로마 음절문자
|
?
|
사용되지 않음
|
1936년
|
망게이 고망고(인도인)
|
소랑솜펭 문자
|
소라어
|
사용 중(제한적)
|
1949년
|
솔로마나 칸테(기니인)
|
응코 문자
|
만데 제어
|
사용 중
|
1949년
|
찰스 K. 블리스(오스트레일리아인 기술자)
|
블리심볼릭
|
순수한 상형문자로 특정 언어를 나타내지 않음
|
사용 중(제한적)
|
1955년
|
존 R. 멀론(미국인)
|
유니폰
|
영어
|
사용되지 않음
|
1956년
|
최현배(한국어학자)
|
풀어쓰기 한글(《글자의 혁명》[5], 저서 중)
|
한국어
|
사용되지 않음
|
1959년
|
숑 루에 양(몽족 라오스인)
|
파하우 몽 문자
|
몽어
|
사용되지 않음
|
1960년, 1966년
|
로널드 킹즐리 레드(영국인)
|
샤비엔 문자, 퀵 문자
|
영어
|
사용되지 않음
|
1978년
|
와벨라디오 파이(콩고인)
|
만돔베 문자
|
콩고어, 링갈라어, 스와힐리어 등
|
사용 중
|
1978년
|
마크 오크랜드(미국의 언어학자)
|
클링온 문자(《스타 트렉》에 등장하는 인공어)
|
클링온어
|
사용됨 (개인 취미 활동)
|
1998년~
|
omniglot과 랑메이커의 창작문자 투고자들
|
[1][2]
|
다양
|
거의 대부분 개인 취미 활동; 일부는 보급 운동
|
같이 보기
참고
- ↑ 엔메르카르와 아라타의 왕(수메르의 서사시)에 의함
- ↑ 자유인이 된 노예출신으로 키케로의 비서였으며, 최초로 속기를 고안하였다.
- ↑ 프랑스인 사기꾼으로, 포르모사섬(대만)을 처음 발견한 것처럼 위서를 꾸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으나, 나중에 거짓임이 밝혀졌다.
- ↑ 고유 문자를 갖는 유일한 크레올이다.
- ↑ 최현배가 그의 대표적인 한글 풀어쓰기 안을 내놓은 저서이다. 자모의 모양이 로마자와 유사한 모양과 체제로 변형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