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등편모조류 (不等鞭毛藻類, heterokonts)는 진핵생물 의 주요 계통군의 하나로,[ 1] 이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규조류 를 포함하여, 현재 100,000여 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 2] 대부분은 거대한 다세포인 다시마 부터 단세포인 규조류 에 이르는 조류 로서, 플랑크톤 의 주요 구성원을 이룬다. 기타 유명한 스트라메노필라는 (일반적으로 측계통군 ) 난균류 가 포함되며, 난균류에는 악명높은 감자 의 피토프토라 (Phytophthora )와 씨앗을 말라죽게 하고 썩게 만드는 피티움 (Pythium )이 포함되어 있다.
부등편모조류라는 이름은 편모 세포가 2개의 다른 모양의 편모 를 가지는 운동성이 있는 생명 주기 단계를 가리킨다.
하위 분류
유채색 군 (조류 를 닮은)
규질편모조강 (Actihrysophyceae 또는 Dictyochophyceae)
규조강 (Bacillariophyceae)
볼리도조강 (Bolidophyceae)
황조강 , 황색편모조강 또는 황갈조강 (Chrysophyceae)
진안점조강 (Eustigmatophyceae)
펠라고조강 (Pelagophyceae)
갈조강 (Phaeophyceae)
파이오탐니오조강 (Phaeothamniophyceae)
침편모조강 (Raphidophyceae)
시누라조강 (Synurophyceae)
황록조강 (Xanthophyceae)
무채색 군 (균류 를 닮은)
계통 분류
다음에 제안된 계통발생에는 엑스카바타 생물군 중 단 하나의 그룹(디스코바 )만 포함되어 있으며[ 3] 피코조아 가 홍조식물 의 가까운 친척이라는 2021년 제안이 포함되어 있다.[ 4] 프로보라 는 2022년에 발견된 미생물 포식자 집단이다.[ 5] 메타모나다 는 아마도 디스코바 , 아마도 말라이모나스문 의 자매일 가능성이 있어 배치하기 어렵다.[ 6] [ 7] [ 8]
다음은 부등편모조류의 계통 분류이다.[ 9] [ 10] [ 11]
각주
↑ “stramenopiles” . 2009년 3월 8일에 확인함 .
↑ Hoek, C. van den; D. G. Mann; H. M. Jahns (1995). 《Algae: An Introduction to Phycology》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4 , 124, 134, 166쪽. ISBN 0-521-31687-1 .
↑ Brown, Matthew W.; Heiss, Aaron A.; Kamikawa, Ryoma; Inagaki, Yuji; Yabuki, Akinori; Tice, Alexander K; Shiratori, Takashi; Ishida, Ken-Ichiro; Hashimoto, Tetsuo; Simpson, Alastair; Roger, Andrew (2018년 1월 19일). “Phylogenomics Places Orphan Protistan Lineages in a Novel Eukaryotic Super-Group” . 《Genome Biology and Evolution》 10 (2): 427–433. doi :10.1093/gbe/evy014 . PMC 5793813 . PMID 29360967 .
↑ Schön ME; Zlatogursky VV; Singh RP; 외. (2021). “Picozoa are archaeplastids without plastid” . 《Nature Communications》 12 (1): 6651. doi :10.1038/s41467-021-26918-0 . PMC 8599508 . PMID 34789758 .
↑ Tikhonenkov DV; Mikhailov KV; Gawryluk RM; Belyaev AO; Mathur V; Karpov SA; Zagumyonnyi DG; Borodina AS; Prokina KI; Mylnikov AP; Aleoshin VV; Keeling PJ (2022년 12월). “Microbial predators form a new supergroup of eukaryotes”. 《네이쳐》 612 (7941): 714–719. Bibcode :2022Natur.612..714T . doi :10.1038/s41586-022-05511-5 . PMID 36477531 . S2CID 254436650 .
↑ Burki F (2014년 5월). “전 지구적인 계통발생학적 관점에서 본 진핵생물의 생명나무” . 《Cold Spring Harbor Perspectives in Biology》 6 (5): a016147. doi :10.1101/cshperspect.a016147 . PMC 3996474 . PMID 24789819 .
↑ Burki, Fabien; Kaplan, Maia; Tikhonenkov, Denis V.; Zlatogursky, Vasily; Minh, Bui Quang; Radaykina, Liudmila V.; Smirnov, Alexey; Mylnikov, Alexander P.; Keeling, Patrick J. (2016년 1월 27일). “Untangling the early diversification of eukaryotes: a phylogenomic study of the evolutionary origins of Centrohelida, Haptophyta and Cryptista” . 《Proc. R. Soc. B》 283 (1823): 20152802. doi :10.1098/rspb.2015.2802 . PMC 4795036 . PMID 26817772 .
↑ Karnkowska, Anna; Vacek, Vojtěch; Zubáčová, Zuzana; Treitli, Sebastian C.; Petrželková, Romana; Eme, Laura; Novák, Lukáš; Žárský, Vojtěch; Barlow, Lael D. (2016). “A Eukaryote without a Mitochondrial Organelle” . 《Current Biology》 26 (10): 1274–1284. doi :10.1016/j.cub.2016.03.053 .
↑ Ruggiero; 외. (2015).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 《PLoS ONE》 10 (4): e0119248. Bibcode :2015PLoSO..1019248R . doi :10.1371/journal.pone.0119248 . PMC 4418965 . PMID 25923521 .
↑ Silar, Philippe (2016).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 《HAL Archives-ouvertes》: 1–462.
↑ Cavalier-Smith, Thomas; Scoble, Josephine Margaret (2013). “Phylogeny of Heterokonta: Incisomonas marina, a uniciliate gliding opalozoan related to Solenicola (Nanomonadea), and evidence that Actinophryida evolved from raphidophytes”. 《European Journal of Protistology》 49 (3): 328–353. doi :10.1016/j.ejop.2012.09.002 . PMID 23219323 .
외부 링크
Stramenopiles Heterokonta Heterokontophy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