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르페아군 (Amorphea)[ 1] 은 진핵생물 에 속하는 생물 분류군이다. 분류학적으로 기저 아메바류 와 오바조아 를 포함하는 상군이다. 오바조아는 균류 와 동물 , 동정편모충류 가 속해 있는 후편모생물 을 포함하고 있다. 이 분륜군 구성원의 분류학적인 유사성은 원래 2002년에 토머스 캐빌리어스미스 가 기술하고 제안했다.[ 2] [ 4]
원생동물 분류학에 대한 인정받은 기관인 국제원생동물학회는 2012년에 "단편모생물(Unikont)"이라는 이름이 ISOP 저자와 다른 과학자들이 나중에 거부한 가설인 공유 파생형질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단편모생물이라는 용어를 아모르페아(Amorphea)로 변경할 것을 권고했다.[ 1] [ 5]
아메바류 와 후편모생물 [ 6] [ 7] 그리고 아마도 아푸소조아 를 포함하고 있다.[ 8]
계통 분류
다음에 제안된 계통발생에는 엑스카바타 생물군 중 단 하나의 그룹(디스코바 )만 포함되어 있으며[ 9] 피코조아 가 홍조식물 의 가까운 친척이라는 2021년 제안이 포함되어 있다.[ 10] 프로보라 는 2022년에 발견된 미생물 포식자 집단이다.[ 11] 메타모나다 는 아마도 디스코바 , 아마도 말라이모나스문 의 자매일 가능성이 있어 배치하기 어렵다.[ 12] [ 13] [ 14]
각주
↑ 가 나 다 Adl SM; Simpson AG; Lane CE; Lukeš J; Bass D; Bowser SS; Brown MW; Burki F; Dunthorn M; Hampl V; Heiss A; Hoppenrath M; Lara E; Le Gall L; Lynn DH; McManus H; Mitchell EA; Mozley-Stanridge SE; Parfrey LW; Pawlowski J; Rueckert S; Shadwick RS; Schoch CL; Smirnov A; Spiegel FW (September 2012). “The revised classification of eukaryotes” . 《J Eukaryot Microbiol》 59 (5): 429–93. doi :10.1111/j.1550-7408.2012.00644.x . PMC 3483872 . PMID 23020233 .
↑ 가 나 Cavalier-Smith T (2002년 3월). “The phagotrophic origin of eukaryotes and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Protozoa” . 《Int. J. Syst. Evol. Microbiol.》 52 (Pt 2): 297–354. doi :10.1099/00207713-52-2-297 . PMID 11931142 . 2017년 7월 29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 Derelle, Romain; Torruella, Guifré; Klimeš, Vladimír; Brinkmann, Henner; Kim, Eunsoo; Vlček, Čestmír; Lang, B. Franz; Eliáš, Marek (2015년 2월 17일). “Bacterial proteins pinpoint a single eukaryotic root”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영어) 112 (7): E693–E699. Bibcode :2015PNAS..112E.693D . doi :10.1073/pnas.1420657112 . PMC 4343179 . PMID 25646484 .
↑ Cavalier-Smith, Thomas (2003). “Protist phylogeny and the high-level classification of Protozoa”. 《European Journal of Protistology》 39 (4): 338–348. doi :10.1078/0932-4739-00002 .
↑ Roger AJ; Simpson AG (2009). “Evolution: revisiting the root of the eukaryote tree”. 《Current Biology》 19 (4): R165–R167. doi :10.1016/j.cub.2008.12.032 . PMID 19243692 . S2CID 13172971 .
↑ A Minge M; Silberman JD; Orr RJ; 외. (2008년 11월). “Evolutionary position of breviate amoebae and the primary eukaryote divergence” . 《Proc. Biol. Sci.》 276 (1657): 597–604. doi :10.1098/rspb.2008.1358 . PMC 2660946 . PMID 19004754 .
↑ Burki F; Pawlowski J (October 2006). “Monophyly of Rhizaria and multigene phylogeny of unicellular bikonts”. 《Mol. Biol. Evol.》 23 (10): 1922–30. doi :10.1093/molbev/msl055 . PMID 16829542 .
↑ Glücksman E; Snell EA; Berney C; Chao EE; Bass D; Cavalier-Smith T (2010년 9월). “The Novel Marine Gliding Zooflagellate Genus Mantamonas (Mantamonadida ord. n.: Apusozoa)”. 《Protist》 162 (2): 207–221. doi :10.1016/j.protis.2010.06.004 . PMID 20884290 .
↑ Brown, Matthew W.; Heiss, Aaron A.; Kamikawa, Ryoma; Inagaki, Yuji; Yabuki, Akinori; Tice, Alexander K; Shiratori, Takashi; Ishida, Ken-Ichiro; Hashimoto, Tetsuo; Simpson, Alastair; Roger, Andrew (2018년 1월 19일). “Phylogenomics Places Orphan Protistan Lineages in a Novel Eukaryotic Super-Group” . 《Genome Biology and Evolution》 10 (2): 427–433. doi :10.1093/gbe/evy014 . PMC 5793813 . PMID 29360967 .
↑ Schön ME; Zlatogursky VV; Singh RP; 외. (2021). “Picozoa are archaeplastids without plastid” . 《Nature Communications》 12 (1): 6651. doi :10.1038/s41467-021-26918-0 . PMC 8599508 . PMID 34789758 .
↑ Tikhonenkov DV; Mikhailov KV; Gawryluk RM; Belyaev AO; Mathur V; Karpov SA; Zagumyonnyi DG; Borodina AS; Prokina KI; Mylnikov AP; Aleoshin VV; Keeling PJ (2022년 12월). “Microbial predators form a new supergroup of eukaryotes”. 《네이쳐》 612 (7941): 714–719. Bibcode :2022Natur.612..714T . doi :10.1038/s41586-022-05511-5 . PMID 36477531 . S2CID 254436650 .
↑ Burki F (2014년 5월). “전 지구적인 계통발생학적 관점에서 본 진핵생물의 생명나무” . 《Cold Spring Harbor Perspectives in Biology》 6 (5): a016147. doi :10.1101/cshperspect.a016147 . PMC 3996474 . PMID 24789819 .
↑ Burki, Fabien; Kaplan, Maia; Tikhonenkov, Denis V.; Zlatogursky, Vasily; Minh, Bui Quang; Radaykina, Liudmila V.; Smirnov, Alexey; Mylnikov, Alexander P.; Keeling, Patrick J. (2016년 1월 27일). “Untangling the early diversification of eukaryotes: a phylogenomic study of the evolutionary origins of Centrohelida, Haptophyta and Cryptista” . 《Proc. R. Soc. B》 283 (1823): 20152802. doi :10.1098/rspb.2015.2802 . PMC 4795036 . PMID 26817772 .
↑ Karnkowska, Anna; Vacek, Vojtěch; Zubáčová, Zuzana; Treitli, Sebastian C.; Petrželková, Romana; Eme, Laura; Novák, Lukáš; Žárský, Vojtěch; Barlow, Lael D. (2016). “A Eukaryote without a Mitochondrial Organelle” . 《Current Biology》 26 (10): 1274–1284. doi :10.1016/j.cub.2016.03.0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