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케도니아-코소보 관계

북마케도니아-코소보 관계
북마케도니아 및 코소보의 위치
북마케도니아의 국기
북마케도니아
코소보의 국기
코소보

북마케도니아-코소보 관계(마케도니아어: Односи меѓу Македонија и Косово, 알바니아어: Marrëdhëniet Maqedoni-Kosovë)는 북마케도니아와 코소보의 양자 관계를 의미한다.

북마케도니아가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한 시점에 대략 전체 인구의 25%를 차지하는 알바니아계 북마케도니아인들이 북마케도니아 내부에 거주하고 있었다.[1]

2008년 코소보 독립선언 이전, 유고슬라비아 전쟁의 일부인 코소보 전쟁에서 난민 위기가 발생함에 따라, 북마케도니아(당시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알바니아계 코소보 전쟁난민들이 북부 지역에 대거 유입되었다.[2][3] 당초 북마케도니아가 예상한 2만명을 휠씬 넘는 약 23만명 정도의 알바니아계 코소보인들이 진입함에 따라, 알바니아계 주민들이 요구가 증가하였다.[4] 이는 2001년 마케도니아 공화국 분란으로 이어져서, 알바니아군의 지원을 받는 민족해방군북마케도니아군과 전투를 벌였다.

2008년 코소보 독립선언 이후, 양국은 비공식 관계에서 2008년 북마케도니아 정부가 코소보의 국제적 승인을 허락함에 따라 공식 관계로 발전시켰다. 2009년에 두 국가는 국경선 획정에 합의하며[5], 갈등의 소재를 제거하였고, 수도에 상호적으로 대사관을 설치하였다.[6]

북마케도니아 내부에서 알바니아계 북마케도니아인 계열에 의해 발생하였던 2012년 인종 간 폭력 사태, 2012년 스밀류코브치 호수 살인 사건, 2015년 쿠마노보 충돌 사태과 별개로 양국의 관계는 증진되고 있다.

2025년에 두 국가는 국경 이동을 더욱 간소화하기로 합의하였다.[7]

같이 보기

각주

  1. “Albanians in North Macedonia” (영어). 2023년 10월 16일. 
  2. “Macedonia: Towards Destabilisation?: The Kosovo crisis takes its toll on Macedonia - Serbia | ReliefWeb” (영어). 1999년 5월 18일. 2025년 6월 2일에 확인함. 
  3. “Refugees and IDPs in Macedonia: successful returns” (미국 영어). 2025년 6월 2일에 확인함. 
  4. “Albanians in Macedonia -” (영국 영어). 2018년 6월 6일. 2025년 6월 2일에 확인함. 
  5. Çollaku, Petrit (2009년 10월 14일). “Kosovo-Macedonia Border Agreed” (미국 영어). 2025년 6월 2일에 확인함. 
  6.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sovo and the Government of North Macedonia held their second joint meeting – Prime Minister”. 2025년 6월 2일에 확인함. 
  7. Isufi, Perparim (2024년 11월 18일). “Kosovo, North Macedonia Agree to Ease Border Crossings in 2025” (미국 영어). 2025년 6월 2일에 확인함.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