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형적 에이코사노이드

비전형적 에이코사노이드의 일종인 리폭신 A4의 구조

비전형적 에이코사노이드(영어: nonclassic eicosanoid)는 전형적 에이코사노이드가 아닌, 20개의 탄소를 가지고 있는 지방산의 산소화로 생성되는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신호 분자이다.

용어

에이코사노이드는 3가지 다른 20개의 탄소를 가지고 있는 필수 지방산(에이코사펜타엔산(EPA), 아라키돈산(AA), 다이호모-감마-리놀렌산(DGLA))의 산소화된 유도체에 대한 총칭이다.[1]

현재 용어는 류코트라이엔(LT)과 세 가지 유형의 프로스타노이드(프로스타글란딘(PG), 프로스타사이클린(PGI), 트롬복산(TX))로 제한된다. 그러나 기술적으로 에이코사노이드라고 부를 수 있는 종류로는 에옥신, 헤폭실린, 레졸빈, 아이소퓨란, 아이소프로스테인, 리폭신, 에피리폭신, 에폭시에이코사트라이엔산(EET) 및 엔도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한 여러 종류가 있다. 류코트라이엔과 프로스타노이드는 때때로 '전형적 에이코사노이드'[2][3][4]라고 불리는데, 이는 '새로운', '비전형적' 또는 '에이코사노이드 유사' 에이코사노이드와 대조되는 용어이다.[5][6][7][8]

전형적 에이코사노이드는 자가분비주변분비 매개체로서, 마이크로몰 농도(또는 그 이하)에서 활성을 나타내고 높은 입체특이성을 가지고 생성된다. 이들은 사이클로옥시제네이스(COX) 또는 5-리폭시제네이스에 의해 필수 지방산(주로 아라키돈산)으로부터 생성된다.

대체로 비전형적 에이코사노이드는 20개의 탄소를 가지고 있는 필수 지방산의 생성 및[9]

또한

같이 보기

각주

  1. Funk, Colin D. (2001년 11월 30일). “Prostaglandins and Leukotrienes: Advances in Eicosanoid Biology”. 《Science》 294 (5548): 1871–1875. Bibcode:2001Sci...294.1871F. doi:10.1126/science.294.5548.1871. PMID 11729303. 
  2. Van Dyke TE, Serhan CN (2003). “Resolution of inflammation: a new paradigm for the pathogenesis of periodontal diseases”. 《J. Dent. Res.》 82 (2): 82–90. doi:10.1177/154405910308200202. PMID 12562878. S2CID 40812937. 
  3. Serhan CN, Gotlinger K, Hong S, Arita M (2004). “Resolvins, docosatrienes, and neuroprotectins, novel omega-3-derived mediators, and their aspirin-triggered endogenous epimers: an overview of their protective roles in catabasis”. 《Prostaglandins Other Lipid Mediat.》 73 (3–4): 155–72. doi:10.1016/j.prostaglandins.2004.03.005. PMID 15290791. 
  4. Anderle P, Farmer P, Berger A, Roberts MA (2004). “Nutrigenomic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by which dietary long-chain fatty acids induce gene signals and control mechanisms involved in carcinogenesis”. 《Nutrition (Burbank, Los Angeles County, Calif.)》 20 (1): 103–8. doi:10.1016/j.nut.2003.09.018. PMID 14698023. 
  5. Evans AR; Junger H; Southall MD; 외. (2000). “Isoprostanes, novel eicosanoids that produce nociception and sensitize rat sensory neurons”. 《J. Pharmacol. Exp. Ther.》 293 (3): 912–20. PMID 10869392. 
  6. O'Brien WF, Krammer J, O'Leary TD, Mastrogiannis DS (1993). “The effect of acetaminophen on prostacyclin production in pregnant women”. 《Am. J. Obstet. Gynecol.》 168 (4): 1164–9. doi:10.1016/0002-9378(93)90362-m. PMID 8475962. 
  7. Behrendt H, Kasche A, Ebner von Eschenbach C, Risse U, Huss-Marp J, Ring J (2001). “Secretion of proinflammatory eicosanoid-like substances precedes allergen release from pollen grains in the initiation of allergic sensitization”. 《Int. Arch. Allergy Immunol.》 124 (1–3): 121–5. doi:10.1159/000053688. PMID 11306946. S2CID 53331. 
  8. Sarau HM; Foley JJ; Schmidt DB; 외. (1999). “In vitro and in vivo pharmacological characterization of SB 201993, an eicosanoid-like LTB4 receptor antagonist with anti-inflammatory activity”. 《Prostaglandins Leukot. Essent. Fatty Acids》 61 (1): 55–64. doi:10.1054/plef.1999.0074. PMID 10477044. 
  9. Cyberlipid Center. “Prostanoids and Related Products”. 2007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2일에 확인함.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