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에크렐에크렐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위키백과는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입니다.
--~~~~ )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저작물 관련 규정이건 작품 제목에만 해당하는 규정입니다. -- ChongDae 2007년 8월 13일 (월) 00:43 (KST)
식목일 문서 관련식목일 문서에 관하여는 수정을 하였습니다. 다만 공휴일 제외 이유를 제가 모르기 때문에 이유까진 적지 못하였으니, 식목일 문서의 나머지 부분과 대한민국의 공휴일 관련해서는 에크렐님이 직접 수정하셨으면 합니다. 아울러 제 개인적으로 배포하고 있는 달력은 절대 수정 안할것임을 밝힙니다(제 홈페이지/블로그 및 제가 제작한 것들, 사실 여기 위키백과의 달력들도 전부 제 관리하에 있습니다.).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7년 11월 13일 (화) 17:46 (KST)
88고속도로도로공사의 공지사항을 참고하셨다는데, 어디에 나와 있는 내용인지요? "광산"인터체인지와 "광주"톨게이트가 맞습니다. 현 2007년 11월 21일 (수) 16:02 (KST)
고속도로 문서에 관한 것님의 말씀처럼 무안광주와 88선을 따로 서술하면 중부고속도로도 대전통영선과 중부선으로 분리해야 합니다. 민자도로가 아닌이상 같은 노선으로 보는 것이 나을 것 같네요.. 그리고 88선의 호남선 중복구간은 88선의 고서분기점 번호가 12번이고 같은 12호선인 무안광주선의 서광산나들목 번호가 7번 입니다. 한마디로 8번부터 11번까지는 호남선과 중복구간 인거지요.. 중복구간은 많잖아요 중부선과 경부선(남이~비룡), 경부선과 중앙선(금호~동대구)도 중복구간이 있습니다.Gim Jeong-hwan 2007년 11월 26일 (월) 16:02 (KST)
위에 제가 현님의 질문에 답변하면서 링크한 그림[2]을 참고하면 현재는 무안-광주선이 88올림픽선 또는 호남선과 직접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지 않고, 위 세 도로중 두 도로('무안광주선과 호남선' 또는 '무안광주선과 88올림픽선')를 연결하는 계획도 명확한 계획안이 없기 때문에 호남고속도로와의 중복구간도 딱히 정해져있다고 보기 힘듭니다. 그러므로 12호선의 8번이 호남선의 동림 나들목이 될지 어떨지는 현재로서는 불투명하다고 봐야겠지요. 제가 그 의견을 제시한 이유는 위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물론 말씀하신대로 타 노선 구간에도 중복구간은 많습니다만, 제가 이야기를 꺼낸 것은 공식 자료에 근거한 기술이냐 아니냐를 묻는 것이었습니다. 답변하신 내용에 의하면 위의 중복구간에 대한 기술은 사실에 의한 것이 아닌 단순히 번호의 앞뒤가 맞다는 정황에 근거한 추측에 의한 것임을 인정하시는 건지요? 그렇다면, 확정된 사실이 나올 때까지 일단 숨김(주석)처리를 했다가 확정이 되면 숨김 처리를 제거하는 게 어떨까 합니다. (아니라면, 참고하신 자료를 제시해주세요.) 무안-광주선과 88올림픽선의 문서 분리 문제는 두 노선 간의 관계가 명확해진 후에 논의하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대전-통영선의 경우는 중부선으로 통합하기 이전에 쓰이던 명칭을 관용적으로 인정해주는 경우로서, 여기서 예로 드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에크렐 2007년 11월 26일 (월) 19:46 (KST)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