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의 행정 구역으로는 네 개의 일반구가 있다. 1988년 7월 1일 장안구와 권선구가 처음으로 설치되었다. 1993년 2월 1일에 경기도청을 중심으로 한 지역이 팔달구로 분구되었다. 그리고 가장 마지막으로 2003년 11월 24일에는 팔달구에서 영통구가 분구되었다.
2023년 4월 20일 기준으로 수원시는 531,034 세대, 1,226,738명의 인구가 거주하는 도시이다.[1] 면적은 121 km2로 장안구가 33.3 km2, 권선구가 47.1 km2, 팔달구가 12.9 km2, 영통구가 27.7 km2이다.[2]
행정 구역
구 |
한자 |
면적 |
인구
|
장안구 |
長安區 |
33.17 |
273,033
|
권선구 |
勸善區 |
47.17 |
375,694
|
팔달구 |
八達區 |
12.86 |
213,398
|
영통구 |
靈通區 |
27.7 |
341,733
|
수원시 |
水原市 |
121 |
1,221,975
|
|
|
장안구
행정동 |
한자 |
면적(km2) |
인구 (명)
|
파장동 |
芭長洞 |
8.67 |
21,768
|
율천동 |
栗泉洞 |
3.52 |
47,146
|
정자1동 |
亭子1洞 |
1.28 |
24,982
|
정자2동 |
亭子2洞 |
1.44 |
33,973
|
정자3동 |
亭子3洞 |
1.26 |
47,419
|
영화동 |
迎華洞 |
1.28 |
22,708
|
송죽동 |
松竹洞 |
1.66 |
20,301
|
조원1동 |
棗園1洞 |
1.84 |
33,589
|
조원2동 |
棗園2洞 |
1.28 |
20,343
|
연무동 |
鍊武洞 |
12.58 |
23,284
|
장안구 |
長安區 |
34.81 |
295,513
|
|
|
행정동
|
법정동
|
파장동
|
파장동(芭長洞), 이목동(梨木洞)
|
율천동
|
율전동(栗田洞), 천천동(泉川洞) (일부)
|
정자1동
|
정자동(亭子洞) (일부)
|
정자2동
|
정자3동
|
정자동(亭子洞) (일부), 천천동(泉川洞) (일부)
|
영화동
|
영화동(迎華洞)
|
송죽동
|
송죽동(松竹洞)
|
조원1동
|
조원동(棗園洞)
|
조원2동
|
연무동
|
연무동(鍊武洞), 상광교동(上光敎洞), 하광교동(下光敎洞)
|
권선구
행정동 |
한자 |
면적(km2) |
인구(명)
|
세류1동 |
細柳1洞 |
0.93 |
4,955
|
세류2동 |
細柳2洞 |
3.58 |
28,706
|
세류3동 |
細柳3洞 |
1.27 |
26,758
|
평동 |
坪洞 |
10.29 |
38,325
|
서둔동 |
西屯洞 |
5.92 |
48,382
|
구운동 |
九雲洞 |
2.03 |
28,854
|
금곡동 |
金谷洞 |
4.47 |
45,908
|
호매실동 |
好梅實洞 |
4.74 |
44,659
|
권선1동 |
勸善1洞 |
1.03 |
26,420
|
권선2동 |
勸善2洞 |
1.66 |
28,828
|
곡선동 |
谷善洞 |
4.46 |
31,261
|
입북동 |
笠北洞 |
7.19 |
14,525
|
권선구 |
勸善區 |
42.30 |
313,098
|
|
|
행정동
|
법정동
|
세류1동
|
세류동(細柳洞) (일부)
|
세류2동
|
세류동(細柳洞) (일부), 장지동(長芝洞)
|
세류3동
|
세류동(細柳洞) (일부)
|
평동
|
평동(坪洞), 고색동(古索洞), 오목천동(梧木川洞), 평리동(坪里洞)
|
서둔동
|
서둔동(西屯洞), 탑동(塔洞)
|
구운동
|
구운동(九雲洞)
|
금곡동
|
금곡동(金谷洞)
|
호매실동
|
호매실동(好梅實洞)
|
권선1동
|
권선동(勸善洞) (일부)
|
권선2동
|
곡선동
|
권선동(勸善洞) (일부), 곡반정동(谷泮亭洞), 대황교동(大皇橋洞)
|
입북동
|
입북동(笠北洞), 당수동(棠樹洞)
|
팔달구
행정동 |
한자 |
면적(km2) |
인구(명)
|
행궁동 |
行宮洞 |
1.57 |
13,887
|
매교동 |
梅校洞 |
0.71 |
12,438
|
매산동 |
梅山洞 |
0.82 |
12,881
|
고등동 |
高等洞 |
1.01 |
15,724
|
화서1동 |
華西1洞 |
0.83 |
28,744
|
화서2동 |
華西2洞 |
2.12 |
30,404
|
지동 |
池洞 |
0.71 |
16,551
|
우만1동 |
牛滿1洞 |
1.28 |
24,980
|
우만2동 |
牛滿2洞 |
1.05 |
19,521
|
인계동 |
仁溪洞 |
2.94 |
41,511
|
팔달구 |
八達區 |
12.86 |
226,224
|
|
|
행정동
|
법정동
|
행궁동
|
구천동(龜川洞), 남수동(南水洞), 남창동(南昌洞), 매향동(梅香洞), 북수동(北水洞), 신풍동(新豊洞), 영동(榮洞), 장안동(長安洞), 중동(中洞), 팔달로1가(八達路1街), 팔달로2가(八達路2街), 팔달로3가(八達路3街)
|
매교동
|
매교동(梅橋洞), 교동(校洞)
|
매산동
|
매산로1가(梅山路1街), 매산로2가(梅山路2街), 매산로3가(梅山路3街)
|
고등동
|
고등동(高等洞)
|
화서1동
|
화서동(華西洞)
|
화서2동
|
지동
|
지동(池洞)
|
우만1동
|
우만동(牛滿洞)
|
우만2동
|
인계동
|
인계동(仁溪洞)
|
영통구
역사
 1949년 이전의 역사는 수원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1949년 8월 14일 수원군 수원읍에 수원부를 설치하였다.[3] 다음날 수원부를 수원시로 개칭하고, 일본식 명칭인 정(町)·정목(丁目)은 동(洞)·가(街)로 바꾸었다.[4]
대통령령 제161호 및 법률 제32호
|
개편 전 |
개편 후
|
수원군 수원읍 본정(本町)4정목·본정3정목·본정2정목·남창정·영정·본정1정목·구천정·남수정·매향정·북수정·장안정·신풍정·남부정(南部町)·궁정(宮町)·세류정·대평정(大坪町)·서둔정·매산정1정목·매산정2정목·매산정3정목·고등정·화서정·영화정·지소정(紙所町)·지야정(池野町)·우만정·인계정 |
수원시 팔달로1가·팔달로2가·팔달로3가·남창동·영동·중동·구천동·남수동·매향동·북수동·장안동·신풍동·매교동·교동·세류동·평동·서둔동·매산로1가·매산로2가·매산로3가·고등동·화서동·영화동·연무동·지동·우만동·인계동
|
법률 제1175호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팔달로1가·팔달로2가·남창동 |
팔창동
|
팔달로3가·영동·중동·구천동 |
영천동
|
남수동·매향동 |
남향동
|
북수동·장안동·신풍동 |
신안동
|
매교동·교동 |
매교동
|
세류동 |
세류동
|
화성군 안룡면 장지리
|
평동 |
평동
|
화성군 안룡면 고색리·오목천리·평리(평리동으로 개칭)
|
서둔동 |
서둔동
|
화성군 일왕면 구운리·탑리
|
매산로1가·매산로2가·매산로3가 |
매산동
|
고등동·화서동 |
고화동
|
화성군 일왕면 파장리·이목리·율전리·천천리·정자리 |
파정동
|
영화동 |
영화동
|
화성군 일왕면 조원리·송죽리
|
연무동 |
연무동
|
화성군 일왕면 상광교리·하광교리
|
지동·우만동 |
지만동
|
인계동 |
인계동
|
화성군 태장면 매탄리·원천리 |
매원동
|
화성군 안룡면 대황교리·곡반정리 |
곡선동
|
화성군 태장면 권선리
|
개편 전 |
개편 후 |
법정구역
|
세류동 |
세류1동 |
세류동 일부
|
세류2동 |
세류동 일부, 장지동
|
개편 전 |
개편 후 |
법정구역
|
고화동 |
고등동 |
고등동
|
화서동 |
화서동
|
개편 전 |
개편 후 |
법정구역
|
영화동 |
영화동 |
영화동
|
송원동 |
송죽동·조원동
|
개편 전 |
개편 후 |
법정구역
|
세류2동 |
세류2동 |
세류동 일부, 장지동
|
세류3동 |
세류동 일부
|
파정동 |
파장동 |
파장동·이목동·율전동, 천천동 일부
|
정자동 |
천천동 일부, 정자동
|
- 1985년 12월 2일 팔창동·영천동을 팔달동으로 합동하고, 화서동은 화서1동·화서2동으로, 매원동은 매탄동·원천동으로 분동하였다.[12]
개편 전 |
개편 후 |
법정구역
|
팔창동 |
팔달동 |
팔달로1가·팔달로2가·남창동
|
영천동 |
팔달로3가·영동·중동·구천동
|
화서동 |
화서1동 |
화서동
|
화서2동
|
매원동 |
매탄동 |
매탄동
|
원천동 |
원천동
|
개편 전 |
개편 후 |
법정구역
|
서둔동 |
서둔동 |
서둔동·구운동·탑동
|
화성군 매송면 일부 |
금곡동·호매실동
|
 해당 지역의 역사는 장안구 및 권선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해당 지역의 역사는 팔달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개편 전 |
개편 후 |
법정구역
|
팔달구 원천동 |
팔달구 원천동 |
원천동
|
화성군 태안읍 일부 |
영통동
|
용인군 기흥읍 일부
|
화성군 반월면 일부 |
권선구 입북동 |
입북동·당수동
|
개편 전 |
개편 후 |
법정구역
|
팔달구 매탄3동 |
팔달구 매탄3동 |
매탄동 일부
|
화성군 태안읍 일부 |
신동·망포동
|
 해당 지역의 역사는 영통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각주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