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송광사 금동 요령

순천 송광사 금동 요령
(順天 松廣寺 金銅搖鈴)
(Gilt-bronze Handbell of Songgwangsa Temple, Suncheo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구)제176호
(1963년 1월 21일 지정)
수량1개
시대고려시대
소유송광사
위치
순천 송광사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순천 송광사
순천 송광사
주소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
좌표북위 35° 0′ 7″ 동경 127° 16′ 10″ / 북위 35.00194° 동경 127.26944°  / 35.00194; 127.26944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순천 송광사 금동 요령(順天 松廣寺 金銅 搖鈴)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금동 요령(搖鈴)이다. 요령이란 작은 종으로 절에서 강의할 때 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76호로 지정되었다.

개요

요령(搖鈴)은 절에서 강의할 때 사용한 도구로, 이 요령은 고려 전기에 높이 20.6cm, 지름 6.6cm의 청동으로 만들었다.

몸은 4각형이고 각 면이 팽창되어 둥근 형태를 하고 있다. 몸 위에는 마디가 하나있는 긴 손잡이가 있으며 몸과 접하는 곳은 후세에 보수한 흔적이 있고 손잡이 윗부분도 손상을 입었다. 손잡이 아랫부분은 둥글며, 큼지막한 꽃이 한 송이씩 아래를 향하고 있다.

몸 전체 각 면을 구분하는 모서리와 입구 주위에 굵은 돌출선을 돌리고 그 테두리 안에 몸을 꼬며 위로 치솟는 용 한 마리와 그 사이 공간에 구름무늬를 도드라지게 새겼다. 각각의 면에 있는 무늬는 하나의 틀에서 찍어낸 듯 하다. 입구 부분은 중앙에 반원형을 만들어 단조로움에 변화를 주었다.

이 요령은 예로부터 송광사에 전해 내려온 절 행사도구로 우아한 형태와 아름다운 조각으로, 우리 나라에 현존하는 요령 중에도 걸작에 속하며 제작 연대도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도난 및 회수

《순천 송광사 금동 요령》은 1974년 10월 9일 도난되었다가 10월 10일 회수되었다.[1]

같이 보기

각주

  1. 김규보 기자 (2016년 1월 25일). “3.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법보신문》. 2016년 5월 2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