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디다스 팀가이스트
아디다스 +팀가이스트(독일어: Adidas +Teamgeist ˈtiːmgaɪ̯st[*], +는 발음하지 않음)는 아디다스가 몰텐의 협조로 개발한 축구공이다. 이 공은 독일에서 열린 2006년 FIFA 월드컵의 공인구이기도 했다. + 표시가 이름에 들어간 이유는 상표 등록 목적으로 집어넣은 것으로, 독일어 단어인 팀 정신(Teamgeist)을 상표로 등록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1] 구조공 설계는 아디다스 혁신팀과 몰텐의 협조로 1970년 월드컵에 텔스타를 선보인 이래 월드컵 공인구를 계속 제작한 아디다스에서 제조했다. +팀가이스트 공은 기존의 공인구와 비슷한데 1970년 이래 표준으로 평가되는 32개 조각이 아닌 14개의 곡선 조각으로 만들어졌다.(깎은 정팔면체와 위상학적으로 동일) 32조각을 붙여 만든 호테이루의 경우처럼 +팀가이스트도 박음질이 아닌 열로 조각을 붙여 제작되었다.[1] 개발사는 +팀가이스트가 구형에 더 가깝고 어느 방향으로 차든지 간에 비슷한 궤적으로 날아가며 거의 완전 방수에 가까워 악천후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설명했다.[2] 월드컵 공식 경기구![]()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32개국 연맹에게는 연습용 축구공 40개가 지급되었다.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사용된 축구공에는 경기장명, 경기에 출전하는 두 국가명, 경기 개시 시간이 새겨졌고, 보호 코팅이 씌워졌다. 결승전에는 특수 공인구인 +팀가이스트 베를린이 사용되었다.[3] 팀가이스트 베를린은 기존의 팀가이스트와 같은 디자인을 사용했지만 표면을 금색, 흑색, 백색으로 강조한 것이 특징이다. 결승전에 진출한 프랑스, 이탈리아 대표팀에게는 연습용 결승전 공인구가 20개씩 지급되었다. 기술 사항본래 이 공인구에 전자 추적 시스템을 도입하려 했지만, 페루에서 열린 2005년 U-17 월드컵을 계기로 계획이 폐기되었다.
팀가이스트는 전통적인 텔스타의 32조각을 탈피한 최초의 월드컵 공인구이다. 이 공인구는 14조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3조각이 맞붙는 꼭지점 수가 60% 줄어들었고,(60개에서 24개로) 조각 모서리 길이는 15% 줄어들었다.(400.5 cm에서 339.3 cm로) 2004년에 열접합 방식의 제조법을 도입하면서, 팀가이스트는 월드컵에 처음으로 신기술을 접목한 공인구를 선보였다. 공인구를 제작하기 위해 러프버러 대학교는 독일 바이에른 주 샤인펠트의 아디다스 축구 연구소와 협력하여 엄격한 실험을 실시했다.[5] 비판아디다스의 협찬을 받는 스위스의 요한 포겔과 잉글랜드의 데이비드 베컴을 비롯한 선수들은 새 공인구에 만족감을 나타냈다. 그러나 월드컵을 앞두고 많은 선수들이 비판을 하기도 했다. 새 공인구를 비판한 선수들로는 브라질 국가대표 호베르투 카를루스[6]와 잉글랜드의 폴 로빈슨 등이 있었는데,[7] 이들은 공이 너무 가볍고 우천시 공이 평소와는 다르다는 점에 불평을 제기했다. 공의 박음질 길이가 줄어들어 공기 저항이 줄어들었고, 공의 궤적도 바뀌었다.[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공인구로 활용된 "와와 아바"(Wawa Aba)도 대회에 참가한 선수들의 비판을 받았는데, 이집트의 호스니 압드 라보는 공을 주고 받기 나쁘다고 평했다.[9] 팀가이스트 2아디다스는 일본에서 열린 2007년 클럽 월드컵에서 팀가이스트 2를 선보였다. 이후 2008년에 공식적으로 시판하여 2008년 하계 패럴림픽에서 7인제 뇌성마비장애인 축구 공인구로 사용했다. 파생 공인구아디다스는 여러 대회에서 +팀가이스트와 팀가이스트 2의 파생 공인구를 사용했다.[10] 팀가이스트 파생 공인구 예시: (왼쪽) 팀가이스트 베를린, (오른쪽) 팀가2스트 마그누스 모에니아(2008년 하계 올림픽 공인구)
이 공인구 외에도 2008년 하계 올림픽의 아디다스 팀가2스트 마그누스 모에니아와 유로 2008의 오이로파스도 팀가이스트의 파생 공인구로 볼 수 있다. 같이 보기각주
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