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기하학과 심플렉틱 기하학에서 양자 코호몰로지(量子cohomology, 영어: quantum cohomology)는 코호몰로지 환의 q-변형이다. 양자 코호몰로지의 곱은 그로모프-위튼 불변량으로부터 정의된다.
정의
이 콤팩트 켈러 다양체라고 하자.
노비코프 환
격자
의 기저
를
의 각 2차원 부분 다양체에 대응하게 잡자.
의 노비코프 환(영어: Novikov ring)
![{\displaystyle \Lambda =\mathbb {Z} [q_{i},q_{i}^{-1}]_{i=1,\dots ,b_{2}(M)}}](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ff15c0caab6f6f8206bc03e1cc0d3573e4b44a1b)
은 다음과 같은 생성원들로 생성되는 정수 계수 가환 형식적 멱급수환이다.
- 각
에 대하여,
. 이들의 등급은
이다.
임의의

에 대하여,

로 쓰자.
대신
로 쓰기도 한다.
만약
이 칼라비-야우 다양체인 경우
이므로 노비코프 환의 모든 원소들은 등급이 0이다.
작은 양자 코호몰로지
위의 작은 양자 코호몰로지(영어: small quantum cohomology)
는 아벨 군으로서 다음과 같다.

이 위의 곱

은 코호몰로지의 합곱
과 다르며, 다음과 같이 그로모프-위튼 불변량으로 정의된다.

이는 결합 법칙 및 등급 가환 법칙을 만족시키며, 등급을 덧셈법으로 보존한다.



위의 작은 양자 코호몰로지의 짝수 차수 성분
에서, 0의 (충분히 작은) 근방

은 프로베니우스 다양체의 구조를 가진다. 이 경우 작은 양자 코호몰로지 곱
은
의 접다발
위의 접속을 이룬다. 작은 양자 코호몰로지 곱의 가환 법칙은 비틀림이 0임을, 결합 법칙은 리만 곡률이 0임을 뜻한다.
큰 양자 코호몰로지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큰 양자 코호몰로지 곱을 정의하자.


그렇다면,
를 큰 양자 코호몰로지(영어: big quantum cohomology)라고 한다. 작은 양자 코호몰로지는 종수 0의 그로모프-위튼 불변량 가운데 일부만을 포함하지만, 큰 양자 코호몰로지는 모든 종수 0 그로모프-위튼 불변량을 포함한다.
예
복소수 사영 공간
은 푸비니-슈투디 계량을 부여하면 콤팩트 켈러 다양체를 이룬다. 이 경우, (고전적) 코호몰로지는
![{\displaystyle \operatorname {H} ^{\bullet }(\mathbb {CP} ^{n};\mathbb {Z} )=\mathbb {Z} [p]/(p^{n+1})}](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ff030ea0cb66f5eda91061be57f40c7594ede563)

이다.

이므로, 양자 코호몰로지에는 한 개의 추가 생성원
가 존재하며,

이므로

이다. 구체적으로, 작은 양자 코호몰로지는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operatorname {H} ^{\bullet }(\mathbb {CP} ^{n};\mathbb {Z} )=\mathbb {Z} [p,q]/(p^{n+1}-q)}](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81152e2f488f3e29fbcd2d796caad65bffde27ba)


이다.
이면 양자 코호몰로지가 고전적 코호몰로지로 수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응용
양자 코호몰로지는 위상 끈 이론에서 2차원
시그마 모형의 A-모형 위상 뒤틂의 손지기환으로 등장하며, A-모형과 B-모형 사이의 거울 대칭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