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페란토 문자
에스페란토 문자(에스페란토: Esperanta Alfabeto 에스페란타 알파베토)는 에스페란토의 표기에 쓰는 문자다. 총 28자의 알파벳이며, 26자의 기본 라틴 알파벳과 비교하면 Q, W, X, Y가 없고 대신 Ĉ, Ĝ, Ĥ, Ĵ, Ŝ, Ŭ를 포함한다. 에스페란토 문자는 1자1음(에스페란토: unu litero, unu sono 우누 리테로, 우누 소노)의 원칙을 따르는 표음 문자다. 즉 고유 명사 외에는 예외 없이 쓰인 대로 읽는다. 문자 목록모음은 그대로 발음하고, 자음은 해당 자음에 -o를 붙여서 읽는다.
자음 가운데 5자(ĉ, ĝ, ĥ, ĵ, ŝ)는 곡절 부호(에스페란토: cirkumflekso 치르쿰플렉소 또는 에스페란토: ĉapeleto 차펠레토)가, 1자(ŭ)는 반달표(에스페란토: hoketo 호케토)가 붙어 있다. ("ĉapeleto"는 "작은 모자"를, "hoketo"는 "작은 갈고리"를 뜻한다.) 역사컬로처이 칼만과 가스통 바랭기앵에 따르면, 에스페란토 알파벳은 체코어 알파벳에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4]:26 체코 알파벳에서는 등의, 반대 곡절 부호나 고리가 붙은 글자들을 사용한다. 반면 에스페란토는 반대 곡절 부호 (Č) 대신 곡절 부호(Ĉ)를 사용한다. 초기 에스페란토에서는 오늘날의 곡절 부호 대신 폴란드어 알파벳과 같은 양음 부호를 사용하였으나,[5]:53 이는 제1서에서 오늘날의 반대 곡절 부호로 대체되었다.
발음 구별 기호의 대체유니코드 이전에는 많은 타자기나 전산 체계들이 발음 구별 기호(곡절 부호 및 반달표)를 다룰 수 없었다. 이럴 때는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 있는 글자로 치환하여 사용되었다.
H-체계는 푼다멘토에서 권고하는 체계로, X-체계보다 더 오래되었으나, 약간 모호하다. 예를 들어, ĉashundo 차스훈도(사냥개)는 H-체계로는 "chashundo"가 되는데, 이는 *ĉaŝundo 차슌도로 잘못 읽기 쉽다. X-체계는 모호하지 않으나 ("x"는 에스페란토에서 쓰이지 않는다), 다른 유럽 언어의 "x"와 전혀 다른 용도로 쓰이므로 다소 보기에 이상할 수 있다. 스테파노 라 콜라(이탈리아어: Stefano la Colla, eo:Stefano la Colla)는 자음 위에 곡절 부호를 사용할 수 없을 때, 대신 그 다음에 오는 모음에 곡절 부호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4]:26 이는 프랑스어에서는 Â, Ê, Î, Ô, Û 등의 문자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가 된다. 그러나 이는 널리 쓰이지 않았다. 또한, 이 표기법으로는 ŝtono(돌) 등의 단어를 쓰기 힘들다. 무선 통신 및 컴퓨터ISO/IEC 8859 가운데 ISO/IEC 8859-3(남유럽)은 모든 에스페란토 문자를 포함한다. 유니코드에서는 에스페란토의 특수 문자는 라틴 확장-A(Latin Extended-A) 블록에 포함되어 있다.
아날로그로, 전화나 아마추어 라디오로 통신을 할 때는 잡음 때문에 철자 등을 올바르게 전달하기 힘들므로, 통화표를 쓴다.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에서는 에스페란토 알파벳 28자에 대한 통화표를 제정하였는데, 다음과 같다.[6][7]
각 낱말은 (universo-hoko를 제외하고) 그 머리글자를 뜻한다. 다만, 에스페란토의 음운론 상 Ŭ로 시작하는 단어는 (의성어를 제외하고) 없으므로 부득이 "universo-hoko"를 쓴다. 에스페란토 알파벳에 없는 글자(Q, W, X, Y, ß 등)는 통상적인 글자 이름(kuo, ikso 등)을 쓴다. 기타 문자28자의 로마자 알파벳 말고도, 에스페란토를 표기하기 위한 다른 문자 체제들이 있으나,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쓰이지 않는다. 키릴 문자소비에트 연방 시절에, 동유럽의 에스페란토 사용자들은 로마자를 손쉽게 인쇄할 방법이 없었고, 대신 에스페란토를 키릴 문자로 표기하였다.
기타 ja: я/йа/ја je: е/є/йє/йе/йэ/јє/је ji: ї/йи/йі/јі/ји jo: ё/йо/јо ju: ю/йу/ју ŝĉ: щ/шч ŝt: щ/шт 이 가운데 є, ґ, і, ї는 우크라이나어 문자에만 포함되어 있고, 러시아 문자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이 가운데 џ, ћ, ј는 세르비아어 문자와 마케도니아어 문자(ћ 제외)에만 포함되어 있고, 러시아 문자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또, ў, і는 벨라루스어와 우즈베크어 문자(і 제외)에만 포함되어 있는 문자다. 만약 이런 글자들을 쓸 수 없다면, џ, ћ, ў를 щ, ъ, у로 대체하기도 했다. 점자와 지문자에스페란토는 점자로도 표기할 수 있다. 곡절 부호(^)는 6번 점(⠠)을 추가해 나타낸다. 즉, ⠉(c) → ⠩(ĉ), ⠛(g) → ⠻(ĝ) 따위다. ŭ(⠬)는 u(⠥)의 1번 점을 4번 점으로 옮긴 것이다. 이에 따라, 2-4-5-6 점자(⠺)는 ĵ를 나타내게 된다. 이는 표준 점자에서는 w를 나타내는 점자이다. 만약 에스페란토에서 고유 명사 등에 W를 쓸 필요가 있으면 2-3-4-5-6 점자(⠾)를 쓴다.
![]() 에스페란토를 지문자(指文字, fingerspelling)로도 쓸 수 있다. 이는 한국 수화나 미국 수화 등 수화 언어가 아니라, 단순히 에스페란토 철자를 수화로써 나타내는 것이다. 기타 체계이 밖에도, 텡과르를 사용한 표기법[8] 이나 쇼 문자(Shavian alphabet)를 사용한 표기법[9] 등이 제안되었지만, 취미 이상으로 쓰이지 않는다. 발음모음모음이 5개밖에 없기 때문에, 구별 가능한 한도 내에서 미묘한 모음 변화는 허용하고 있다. 자음이 가운데, /r/은 탄음 [ɾ]이나 전동음 [r] 둘 다 가능하다. 음운 변화같은 모음이 반복되는 경우, 보통 성문 파열음 [ʔ]을 삽입한다. 예를 들어, heroo [heˈroʔo]. 두 개의 자음이 연속으로 있으면, 자음 동화가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주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