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간, 올트라르노는 부유한 사회 계층들 (일반적으로 단기 거주자)의 도래로 인해 엄청난 변화를 겪고 있으며 특히 관광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영향이 컸는데, 이러한 산업은 피렌체 다른 지역의 방문객들까지도 고객층으로 끌어들이고 있다.
[1]
2011년 11월, 피렌체시 도시재생부서는 아직 착수는 하지 않았지만, 옛 가스 저장소 (올트라르노에서 몇 백 미터 거리)를 도시 전체와 관광객들을 끌어들이는 대형 사설 건강·미용 스파 및 레스토랑 센터로 전환하려는 계획을 세웠다.[2]
몇 달 뒤, 소상공 단체인 '콘페세르첸티' (Confesercenti)는 피렌체의 다른 지역들처럼 대규모 관광에 개방하기 위해 '프로제토 올트라르노'라고 하는 계획에 나섰다.[3]
2012년 가을, 거의 공원이 없었던 올트라르노는 니디이치 정원과 레크레이션 공간을 상실했다. 과거 조각가 에밀리오 산타렐리의 작업 공간[4]이었던 니디아치는 1923년에 산프레디아노(San Frediano) 지역 어린이들을 위한 공간으로 바뀌었으며, 이후 '피렌체 사회적 가톨릭주의의 상징'이 되었다.[5]
정원의 건축물과 많은 부분들이 부동산 회사에 경매로 판매되었고,[6] 사측은 거주민들의 접근을 막기 위해 나무로 된 벽을 세웠는데 이는 시위를 야기했다.[7]
니디아치 정원의 남은 부분은 현재 학부모와 주민들로 구성된 단에 의해 자원봉사 방식으로 개방되고 있다.[8]
2012년 5월, Firenze Parcheggi라는 기업은 카르미네 광장에 지하 주차장을 짓기 위한 계획서를 제출했으며,[9] 이를 통해 현재 사용 가능한 주차 자리 247개를 201개로 대체하게 된다 (65개는 거주민들에게 판매하고, 나머지는 개방).[10] 사업 시행자들은 이 계획은 광장의 대지를 자동차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이라 주장하나, 거주민들은 자신들을 몰아내기 위한 시도이자, 동시에 올트라르노 지역의 지역 보건 시설 매각 및 폐쇄와 함께 진행되며,[11] 나아가 최우선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기념물들의 건축적 그리고 수리 지질학적 안정성을 위협하는 요소로 보았다.
산프레디아노 내 피아텔리나 광장의 건물의 창문에서 보이는 "NoScav" 깃발 (2013년)
이는 '노스카브' (NoScav, 굴착 금지) 운동의 탄생으로 이어졌는데, 이 운동에서 주민들은 문장화 된 카르미네 성당이 묘사되어 있고 다른 지역에서 고속 철도 시스템 도입에 반대하며 벌어진 '노타브' (NoTav) 운동을 연상시키는 배너를 창문에 걸어 놓았다.[12]
올트라르노의 이 반대 운동은 기존의 '올트라라르노푸토로 위원회' (Comitato Oltrarnofuturo)로 모여, 지하 주차장, 나디아키 문제, 지역 보건 시설 폐쇄, 한 건설사의 키에사로 (Via della Chiesa)에 건물 세 채를 올려 카르미네 성당의 후면 모습을 가린 문제,[13] 학교 수업 시간 단축, 세랄리로 (Via de' Serragli) 및 로마나로 (Via Romana)의 좁은 도로를 따라 운행되는 대형 관광버스 교통량 증가 등에 대해 시위를 조직하였다.[14]
지역 사회의 강한 저항으로 인해, 지하 주차장 계획은 시 당국에 의해 일시적으로 중지되었으나, 당시 시장이던 마테오 렌치는 이 계획에 찬성한다는 의견을 밝혔는데[15] Firenze Parcheggi 사의 대표이사 마르코 카라이가 2012년 중도좌파 경선 당시 렌치의 주요 후원자 중 한 명이었기 때문에 이해 충돌 의혹을 불러일으켰다.[16]
각주
↑Ilaria Casillo, “Dinamiche spaziali e pratiche sociali della gentrification in Italia. Il caso di San Frediano a Firenze”, unpublished thesis, Università Orientale di Napoli,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