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베키스탄-이란 관계

우즈베키스탄-이란 관계
이란 및 우즈베키스탄의 위치
이란의 국기
이란
우즈베키스탄의 국기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이란은 깊은 문화적, 역사적 유대를 맺고 있다. 두 나라 모두 경제 협력 기구(ECO) 회원국이다.[1]

중요성

이란은 이슬람 신정국가이고 우즈베키스탄은 세속적인 대통령제 민주주의에 결함이 있는 국가이다.[2] 두 나라는 정치적 차이에 대해 우려해 왔지만 여전히 관계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3] 또한 우즈베키스탄은 고대 페르시아, 소그디아, 박트리아의 일부로 서로 고대 문화적 유대를 맺고 있다. 대이란의 일부로 간주된다.

무역

이란우즈베키스탄은 농업, 운송, 석유 및 가스 생산, 건설, 제약, 은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기 위해 양자 협정을 체결했다.[4] 양국은 육로 연결 및 기타 합작 투자에도 노력해 왔다.

우즈베키스탄은 면화, 철 및 비철 금속, 비료, 화학 섬유 등 다양한 원자재를 이란에 수출하고 있다. 이란은 우즈베키스탄에 건축 자재, 세제, 식품, 차, 과일을 수출하고 있다. 2008년 이란-우즈베키스탄 무역액은 6억 달러를 넘어섰다.[4]

2018년, 메흐르 뉴스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 대사는 이란과의 양국 관계를 확대하고 협력을 강화하여 이란과의 무역 규모를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5]

2025년 2월, 양측 화물 차량의 각 진입에 대한 400달러의 운송비가 상호 취소되었다.[6][7]

각주

  1. “The Secretariat of Economic Cooperation Organization”. 《Economic Cooperation Organization》. 2016년 4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월 23일에 확인함. 
  2.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ksu.uz. 2016년 6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2월 24일에 확인함. 
  3. “Uzbekistan – The Middle East and Pakistan”. Countrystudies.us. 2016년 1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6일에 확인함. 
  4. “Central Asia At Close Range”. 2009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월 23일에 확인함. 
  5. “Uzbekistan keen on expanding economic ties with Iran.”. 2019년 1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5월 10일에 확인함. 
  6. “Uzbekistan Lifts $400 Transit Fee for Iranian Fleet”. 2025년 2월 4일에 확인함. 
  7. “Iran reduces fees for Uzbek transporters by US$400”. 2025년 2월 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