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대한민국의 인터넷 신조어 목록를 본 결과 수 년 전부터 본 문서의 존재의 이유에 대해 의문을 갖는 사용자들의 의견이 꽤 발견되었습니다. 본 토론 문서에서 제기된 문제점이라면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로 위키백과는 낱말사전이 아니므로 본 문서가 등재되기엔 부적절하다이고 두 번째는 너무 무분별하게 신조어를 다 때려 박는다입니다. 두 가지 문제에 저 또한 동의를 하며 본 문서에 대한 삭제 토론을 회부합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2월 19일 (수) 23:51 (KST)[답변]
삭제 --스위스 육군 (토론) 2020년 2월 20일 (목) 15:58 (KST)[답변]
- 다중 계정으로 차단되었으므로 취소선 처리.--Leemsj2075 (토론 | 기여) 2020년 5월 4일 (월) 17:20 (KST)[답변]
유지 저는 유지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뜻도 모로고 인터넷에서 쓴다고 쓰는 사람들이 종종 있습니다. 그 뜻을 알려주고 '이런 뜻이구나 조심해야지' 라는 생각을 가질 수 있게 사전처럼 인터넷 신조어를 모은 것을 유지해야된다고 생각하는 까닭입니다. --불매운동 (토론) 2020년 2월 22일 (목) 09:38 (KST)[답변]
- 완전히 삭제하는 것보다 개선하는게 더 나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삭제는 마지막 방법이라 생각하고, 출처를 넣어 출처가 없는 신조어들을 지우는 식으로 진행하겠습니다. --불매운동 (토론) 2020년 2월 22일 (토) 00:22 (KST)[답변]
유지 다수 언어 위키백과에 등재된 취미 목록 문서를 예로 참고하여 유지 의견을 냅니다. --ted (토론) 2020년 2월 22일 (토) 10:11 (KST)[답변]
- 취미 목록의 경우 각각 문서로 연결되는 형태를 띈 문서입니다. 신조어 목록 문서와는 성질이 다르다고 봅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2월 22일 (토) 18:37 (KST)[답변]
- 그렇게 본다면 '신조어'만을 다루는 특별한 지침, 정책 또한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다. 위키백과:위키백과는_단어_사전이_아닙니다#신조어에서 보면 단지 등재 기준에서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출처가 거의 또는 아예 없는 신조어 관련 문서는 일반적으로 삭제됩니다."라는 언급이 있습니다. 위키백과에 수많은 목록 문서들이 존재하는데, 목록 문서에 들어가는 기준이 우선 마련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불매운동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출처가 없는 부분은 삭제하거나 출처를 보강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은 어떨까요? --ted (토론) 2020년 2월 23일 (일) 10:54 (KST)[답변]
- 출처가 없는 부분은 당연히 제거가 되어야할 것입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2월 23일 (일) 20:16 (KST)[답변]
유지 Yoyoma88 (토론) 2020년 3월 2일 (월) 14:59 (KST)[답변]
삭제— 친절한사용자 (토론 / 기여) 2020년 3월 2일 (월) 20:01 (KST)[답변]
삭제 독자연구가 상당히 포함되었을 거라 추측됩니다.ㅡworktime100「Con.」 2020년 3월 5일 (목) 11:21 (KST)[답변]
삭제 --옐로보이 (토론) 2020년 3월 7일 (토) 17:54 (KST)[답변]
유지 --#Mini 2020년 3월 8일 (일) 22:19 (KST)[답변]
개정 전통적인 언어학 연구에서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을 화용론(話用論)이라는 언어학의 하위 분야로 던져 넣고 무시하다 보니, 화용론은 ‘언어학의 쓰레기통’이 되고, 나중에는 그 쓰레기통이 언어학의 나머지보다 훨씬 커져서 화용론을 연구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이 문서는 신조어의 쓰레기통으로 방치되었습니다. 뷁, 안습, 짤방 등 별도의 문서였던 신조어는 물론이고,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다고 판단된 많은 신조어가 이 문서로 넘겨주기되거나, 넘겨주기 없이 이 문서에서 서술되고 있습니다. 최대한 출처를 달고, 어떤 신조어를 문서에 다루고 어떤 것을 다루지 않을지, 혹은 품사나 조어법이나 예시는 어떻게 얼마나 표시할지 등의 기준을 토론을 통하여 세울 일이지, 그러한 ‘기준’에 대한 토론이 제대로 선행되지 않은 채 현재의 상태만으로 삭제하기에는 이릅니다. 다만, 현재의 참담한 상태에는 동감합니다. --吳某君 (토·기) 2020년 3월 9일 (월) 03:25 (KST)[답변]
개정 윗 사람 의견에 동의합니다 --옐로보이 (토론) 2020년 3월 13일 (금) 17:37 (KST)[답변]
삭제 아이피 유저라 의견을 낼 수 있을지 모르겠는데, 저는 삭제 쪽에 의견을 내고 싶습니다. 아무래도 위키백과에서 그나마 접하기 쉬운 인터넷 신조어라는 특성 때문에 소위 말하는 '저연령층 이용자' 혹은 가벼운 관점으로 서술하는 유저들이 자신들만의, 혹은 저명성이 부족한 유행어나 밈(이를테면 특정 플랫폼의 특정 방송인 사이에서만 쓰이는 밈이나 특정 크리에이터의 특정 채널에서만 쓰이는 유행어)을 등록하는 등의 문제가 많으며 이 또한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개정한다 해도 이러한 기여자들의 참여가 많을 것 같고, 이런다면 아예 삭제하는 편이 나을 것 같습니다. --61.99.252.121 (토론) 2020년 3월 13일 (금) 18:32 (KST)[답변]
유지로 의견을 냅니다. 다만, 어느 정도의 개정은 필요해보입니다. — 앵무 2020년 3월 20일 (금) 16:13 (KST)[답변]
- 개정 의견은 좋으나, 백날 개정하자고 외쳐봤자 막상 개정이 안되면 본 문서를 존치하는게 옳은가에 대한 의문이 남을 듯 합니다. 만약 본 문서가 유지가 된다면 주기여자들께서 개정에 힘을 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3월 20일 (금) 16:49 (KST)[답변]
한국어 인터넷 속어로 이동 표제어를 이동시키고 독자 연구를 정리하는 방향으로 진행했으면 합니다. Motoko C. K. (토론) 2020년 3월 20일 (금) 19:58 (KST)[답변]
유지--Kth696586 (토론) 2020년 3월 21일 (토) 12:33 (KST)[답변]
- 저도
유지를 하나, 개정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부엉이(프로필•토론•기여) 2020년 4월 12일 (일) 11:16 (KST)[답변]
삭제 출판된 연구를 인용하지 않는 한 존속할 이유가 없으며, 위키백과:독자 연구 금지에 해당된다고 봅니다. -Benzenekim (토론) 2020년 4월 23일 (목) 15:55 (KST)[답변]
유지 상동――사도바울 《토|기|X》 2020년 4월 28일 (화) 00:06 (KST)[답변]
유지 --조재규1322(F · C) 2020년 4월 28일 (화) 10:25 (KST)[답변]
유지로 의견을 내요. 저도 모르는 걸 많이 얻어가서요.
유지 윗분과 같은 생각입니다. --🥖바게바게🥖(사토:바게트) 2020년 5월 3일 (일) 14:27 (KST)[답변]
의견 철회 유지 상동.--Leemsj2075 (토론 | 기여) 2020년 5월 4일 (월) 17:20 (KST)[답변]
유지--강주 💜 ( D , C ) 2020년 5월 4일 (월) 17:46 (KST)[답변]
삭제 출처가 없고, 그런건 네이버로 치면 나오지 않나요? DarLoI _αмяιт SaTo 2020년 5월 9일 (토) 01:07 (KST)[답변]
조건부 유지 그런건 개정을 통해 독자연구를 없애고, 출처를 넣으면 충분히 해결될 문제입니다. 이에 저도 출처를 넣는 조건하에 조건부 유지으로 변경합니다--Leemsj2075 (토론 | 기여) 2020년 5월 11일 (월) 10:31 (KST)[답변]
유지하자는 의견이 더 많으나 대부분 개정하자는 의견으로 종결합니다.--L. Lycaon (토론 / 기여) 2020년 5월 12일 (화) 14:43 (KST)[답변]
※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