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이 결론을 내립니다.
- 은비 (1992년), 소정 (가수)의 경우 유지 의견이 삭제 의견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고, 소정의 경우 보이스 코리아 등에도 나온 것들을 들어 저명성이 충분히 있다 판단해 유지합니다.
- 나머지 두 문서의 경우 문서가 부실하며, 삭제 기록도 감안합니다. 발제자 의견대로 레이디스 코드로의 활동 외에는 딱히 개인적으로 한 것도 없기에 병합 처리에는 충분하다고 판단합니다. 병합 의견이 다수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해, 애슐리와 주니는 일단 레이디스 코드문서에 넘겨줍니다. 하지만, 문서를 보강할 의사가 있으신 분들은 다시 만들어 주셔도 무방은 합니다.
사족을 달자면, 이 문서들보다 매우 부실한 문서들이 있습니다. (유 모 다중계정의) 그런 경우에는 바로 삭제를 해야하지만, 이 문서는 그것보다는 낮다 봅니다. 아무튼 위 결과 선언에 따릅니다.
--분당선M (토론) 2014년 11월 9일 (일) 07:23 (KST)[답변]
해당 멤버들은 레이디스 코드로의 활동 외에는 딱히 개인적으로 한 것도 없습니다. 레이디스 코드 문서에서 모두 기재 가능한 내용입니다. 은비의 경우에도 불의의 사고로 사망한 것 외에는 사실 문서 상에서 기재할 내용이 없습니다(w:Talk:Go Eun-bi 참조). --Namoroka (토론) 2014년 10월 22일 (수) 23:06 (KST)[답변]
모두 유지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0월 22일 (수) 23:12 (KST)[답변]
굳이 삭제를 해야 한다면 은비는 유지 나머지는 삭제입니다. 멤버 은비는 지난번 사고로 (본의 아니게) 구설수에 올라 저명성은 어느정도 있다 봅니다.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0월 22일 (수) 23:17 (KST)[답변]
삭제 백:저명성 (음악) --Neoalpha (토론) 2014년 10월 22일 (수) 23:14 (KST)[답변]
레이디스 코드에 병합 후 삭제, 넘겨주기. — revimsg 2014년 10월 23일 (목) 00:02 (KST)[답변]
유지 은비 (1992년) 문서만--Hohaen1 (토론 • 기여) 2014년 10월 23일 (목) 00:10 (KST)[답변]
의견 은비 문서는 유지하자는 분들께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사람이 죽은 것이 저명성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은비 문서의 본문 대부분을 제가 썼는데, 사실 교통사고 설명 부분 빼면 정말 얼마 없습니다. 그리고 이미 합칠만한 내용은 모두 합쳤습니다.--Namoroka (토론) 2014년 10월 23일 (목) 00:22 (KST)[답변]
모두 유지--분당선M (토론) 2014년 10월 23일 (목) 02:29 (KST)[답변]
- 그렇게 생각하시는 이유를 들을 수 있을까요?--Namoroka (토론) 2014년 10월 24일 (금) 00:11 (KST)[답변]
- 밑에 분들의 의견으로 갈음하겠습니다. 충분히 저명하다 판단하고 있습니다. 인터넷으로 떳고, 사망 전에도 저명했긴 했지요.--분당선M (토론) 2014년 10월 24일 (금) 21:43 (KST)[답변]
에슐리, 주니는 삭제 로 의견을 변경합니다. 나머지는 유지--분당선M (토론) 2014년 10월 24일 (금) 21:44 (KST)[답변]
모두 유지 Namoroka님의 말씀처럼 사람이 죽은 것이 저명성이 될 수 없다는 것에는 동의합니다만, 레이디스 코드 멤버보다 저명성이 훨씬 떨어지는 연예인들의 문서들도 굉장히 많습니다. 은비 문서만 유지하는 것도 기준을 들이밀면 형평성에 어긋나다고 봅니다. 소정의 경우 은비보다 훨씬 저명성에서 앞서고 이미 데뷔전부터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서 알려진 인물입니다. 그런데 은비만 유지한다면 그것이 형평성이 맞을까요?--Initial Z (토론) 2014년 10월 23일 (목) 18:29 (KST)[답변]
- 레이디스 코드 멤버들보다 저명성이 비교적 더 떨어지는 사람들도 많으므로 이 문서들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은 위키백과의 전체적인 질적 하락을 불러오는 논리적 오류라고 생각됩니다. 그럼 그 문서들도 삭제 토론에 가져오면 그만입니다. / 그리고 오해하신 것이 있는데 제 의견은 은비 문서만 유지해야한다는 것이 아니라, 위 네 개 문서 모두 없애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고려하여 재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Namoroka (토론) 2014년 10월 24일 (금) 00:11 (KST)[답변]
- 소정 얘기를 한건 다른 분들이 유지를 할꺼면 은비 문서만 유지하자고 해서 말한 것입니다. 그리고 Namoroka님 말씀대로면 권리세 문서 또한 또한 유지할 명분이 없다고 생각되어 레이디스 코드 문서로 병합하면 될 것으로 보이는데 왜 권리세 문서만 제외하셨는지 물어보고 싶습니다. 질적 하락을 불러오는 논리적 오류로 다른 문서들도 삭제 토론에 가져오면 된다고 하셨는데 그럼 레이디스 코드 구성원 문서뿐만 아니라 저명성이 부족한 인물 문서 전부를 삭제 토론에서 논의했으면 합니다. 그렇게 하면 저는 찬성하겠습니다. 그렇게 해야 형평성에 맞다고 생각합니다.--Initial Z (토론) 2014년 10월 24일 (금) 05:03 (KST)[답변]
- 다른 분들을 염두하고 적으신 거였군요 / 권리세는 데뷔 이전 부터 미스코리아 일본 진(眞), 《스타 오디션 위대한 탄생》 뿐만 아니라 《우리 결혼했어요》와 같은 황금시간대 주말 예능에도 출연한 적이 있습니다. 리세와 다른 멤버들간의 저명성은 사실 비교 자체가 불가합니다. 레이디스 코드 문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해당 그룹이 ‘권리세 걸그룹’이라고 불릴 정도였으니까요. (권리세 vs. 은비 네이버 트렌드) / 다른 저명성이 더 떨어지는 문서가 있으면 삭제 토론을 새로 열면 되지, 여기서 다뤄야 합니까?--Namoroka (토론) 2014년 10월 25일 (토) 00:40 (KST)[답변]
- 권리세가 미스코리아 출신으로 주목받은건 미스코리아 출전 당시가 아닌 연예계 데뷔 후이고 당시에는 본선 진, 선, 미 입상을 못하여 미스코리아로써 주목받지 못하였기에 미스코리아 일본 진은 데뷔 전 저명성이 될수 없고 오디션 프로그램 출연은 같은 멤버인 소정도 해당되는 맥락입니다. 우리 결혼했어요의 경우 권리세가 출전한 오디션 프로그램을 제작한 방송사에서 같은 방송사의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시킨 것으로 본인의 저명성만으로 출연한 것으로 보기 어렵고 또 출연하고 나서도 우결 출연자들 중 가장 짧은 기간인 3개월만에 하차했기에 권리세가 우리 결혼했어요를 통해서 저명성을 쌓았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데뷔전 거의 유일하게 인지도를 쌓았다고 볼수 있는건 스타 오디션 위대한 탄생뿐이고 이걸 인정하면 보이스 코리아 출신 소정도 마찬가지로 인정해야 합니다. 권리세 걸그룹으로 불렸다고 하는데 기사를 검색해보면 권리세 단독보다는 이소정과 함께 나온 제목으로 된 기사가 더 많고 레이디스 코드에 링크된 기사 본문에도 이소정이 들어가 있습니다. 밑에 직접 올리신 저명성 발췌된걸 보면 리얼리티 TV 시리즈에 참가한 것만으로 저명해진 가수나 음악가는 그것과 무관한 저명성을 얻기 전까지 TV 시리즈 문서로 넘겨주기 한다고 나와있는데 권리세가 레이디스 코드로 데뷔하기 전까지 스타 오디션 위대한 탄생 출신과 무관한 저명성을 얻은 적이 있습니까? 위탄 출신이라는 꼬리표는 레이디스 코드 데뷔하고 나서도 계속 따라다녔습니다. 그리고 밴드의 멤버들은 개별 문서화하지 않고 넘겨주기하나 솔로 앨범이나 밴드와 독립적으로 활동하여 자체적인 저명성이 있는 경우는 제외라고 했는데 권리세가 이에 해당되나요? 앞서 말한 리얼리티 TV 시리즈 참가자는 그것과 무관한 저명성을 얻기 전까진 넘겨주기로 한다고 되어있는데 권리세는 위탄과 무관한 저명성을 얻지 못했고 이는 자체적인 저명성도 얻지 못했다로 연결됩니다. 솔로 앨범 또한 낸적 없으니 개별 문서로 유지할 이유가 없는거 아닌가요? 다른 구성원들은 삭제하고 권리세는 유지한다? 형평성이 맞지 않습니다. 권리세도 충분히 레이디스 코드 문서에서 서술하면 됩니다.--Initial Z (토론) 2014년 10월 25일 (토) 22:16 (KST)[답변]
- 미스코리아 그 자체로도 당시 기사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공중파 3개월 동안 출연한 것을 방송국 연줄을 통해 출연한 것이니 저명성이 없는 것으로 치면, 케이블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3개월 방송한 것이 더 저명성 없지 않나요? 우결 출연 얘기가 나온 당일 날 기사 리세가 데뷔 전 위탄이나 우결 외 인지도를 쌓은 예는 많습니다. LG 옵티머스 3D 광고, MTV 싸이월드 뮤직 페스티벌 진행(MTV는 SBS 계열사입니다), 엘르걸 화보 촬영, 리바이스 데니즌 광고 촬영. 그리고 아래 제가 제시한 저명성 정책은 음악가에 한한 것으로, 리세의 경우 위를 참고할 때 활동이 음악에만 국한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에 소정은 음악 이외에는 활동한 것이 없으므로 해당 정책을 적용하면 되는 거죠. 소정은 보이스 코리아 출연 이후를 보니 오디션 출연자들과 홍대 거리 공연이나 신승훈이 진행한 콘서트에 초대받아 받은 것 말고는 딱히 없네요.--Namoroka (토론) 2014년 10월 25일 (토) 23:39 (KST)[답변]
모두 유지죽음 이후로 기사가 아주 쏟아졌습니다. 사람이 죽은것이 저명성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정책 좀 가져와 주세요. 그리고 소정은 이전에 보이스코리아출신으로 꾸준히 기사 나오던 멤버입니다. --Reiro (토론) 2014년 10월 23일 (목) 20:11 (KST)[답변]
저명한 밴드의 멤버들은 개별 문서화하지 않고 전부 밴드 문서로 넘겨주기합니다. 다만 솔로 앨범 발매 등, 밴드와는 독립적으로 활동함으로써 자체적인 저명성이 있는 경우는 제외. 또한 리얼리티 TV 시리즈에 참여한 것만으로 저명해진 가수나 음악가는 그것과 무관한 저명성을 얻기 전까지 TV 시리즈 문서로 넘겨줍니다. ―백:저명성 (음악) (지침)
해당 사건 내에서의 개인의 역할이 그보다 덜 중요하다면, 독립된 문서는 필요하지 않으며, 넘겨주기로 처리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한편, 어떤 사건이 충분히 중요하다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참여자들도 개별적인 문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백:저명성 (인물) (제안)
위키백과는 추모 사이트가 아닙니다. 백과사전 문서의 대상은 위키백과의 저명성 기준을 만족해야 합니다. 위키백과는 저명성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세상을 떠난 친구나, 친적, 아는 사람, 혹은 기타 다른 사람들을 추모를 하기 위한 사이트가 아닙니다. / Wikipedia is not a memorial site: Subjects of encyclopedia articles must satisfy Wikipedia's notability requirements. Wikipedia is not the place to memorialize deceased friends, relatives, acquaintances, or others who do not meet such requirements. ―w:WP:MEMORIAL (영어판 정책)
- 바로 위에 Neoalpha님이 백:저명성 (음악)을 언급해주셨는데 미처 못 보셨나 보네요. 재차 말씀 드리지만 은비의 경우 사망한 것 개인적으로 음악가로서 활동한 것이 딱히 없으며, 교통사고와 죽음에 대해서는 레이디스 코드 문서에서 언급을 모두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해당 사고의 피해자는 은비와 리세 뿐만 아니라 모든 레이디스 코드 멤버들이며, 이 경우 한 문서에서 서술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으로 보입니다. 본인이 말씀하신대로 “죽음 이후로 기사가 아주 쏟아졌습니다.”라는 말은 이해가 안 됩니다. 조금이라도 저명성이 있는 공인이 죽으면 당연히 기사가 나오는 것 아닙니까? / 소정의 경우 보이스 코리아 문서에 해당 내용을 같이 기재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요? 오랜 기간동안 크게 의미있는 기여가 진행된 것도 아니고 말입니다.--Namoroka (토론) 2014년 10월 24일 (금) 00:11 (KST)[답변]
은비 (1992년), 소정 (가수) 유지, 애슐리 (가수), 주니 (가수) 레이디스 코드에 병합 독립적으로 활동한 것으로 보이는 위 두 명은 일단은 유지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MiNaTak ミナ (minaTalk / 行跡) 2014년 10월 24일 (금) 23:39 (KST)[답변]
- @MiNaTak: 소정은 모르겠는데, 은비가 어느 부분에서 ‘독립적으로’ 활동하였습니까?--Namoroka (토론) 2014년 10월 25일 (토) 00:40 (KST)[답변]
- 제가 예전에 은비 문서 훼손을 고친 기억 때문에 착각한 것 같습니다. --MiNaTak ミナ (minaTalk / 行跡) 2014년 10월 26일 (일) 21:24 (KST)[답변]
- @Namoroka:은비는 레이디스 코드 데뷔 이전 영화에 단역으로 출연한 적이 있습니다. http://movie.naver.com/movie/bi/pi/basic.nhn?code=165962 프로필 상에선 사진으로 보이지 않으나, 해당 자료를 추가로 보시면 됩니다. http://tvpot.daum.net/v/v8bceSe1cjHj0HGc10AXXET (한 팬분이 단역 출연본을 편집한 링크입니다) --Darkhost (토론, 작업장) - 2014년 10월 25일 (토) 04:58 (KST)[답변]
- 해당 영화에 사실상 잠깐 스쳐가는 단역, 말이 좋아 단역이지 거의 아르바이트 수준으로 출연한 것이 과연 저명성의 의미를 갖는, ‘독립적으로’ 활동한 것인가요?--Namoroka (토론) 2014년 10월 25일 (토) 14:01 (KST)[답변]
보류 문서를 병합하는 데에는 어떤 이유와 선례가 있나요?--MiNaTak ミナ (minaTalk / 行跡) 2014년 10월 26일 (일) 21:24 (KST)[답변]
- 질문의 정확히 무슨 의미인지 이해가 안 됩니다.--Namoroka (토론) 2014년 10월 28일 (화) 23:56 (KST)[답변]
- 1. 문서의 병합 여부는 저명성인가요, 문서의 질인가요? 아니면 둘 모두인가요?
- 2. 아티스트 그룹에 관한 문서 중 이렇게 일부 인물만 분리된 경우가 있나요? --MiNaTak ミナ (minaTalk / 行跡) 2014년 11월 3일 (월) 00:52 (KST)[답변]
- 당연히 둘 다 적절히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 소녀시대만 해도 9명 모두 분리되어 있습니다.--Namoroka (토론) 2014년 11월 3일 (월) 23:36 (KST)[답변]
- @Namoroka: 일부 멤버만 분리된 경우는 없을까요? --MiNaTak ミナ (minaTalk / 行跡) 2014년 11월 6일 (목) 01:17 (KST), 2014년 11월 8일 (토) 13:34 (KST)[답변]
- 블락비가 있네요.--Namoroka (토론) 2014년 11월 8일 (토) 14:50 (KST)[답변]
정보 애슐리 (가수)와 주니 (가수) 문서는 이전에 삭제되었다가, 10월 18일 황제숙종 님이 다시 생성한 것임을 알려드립니다. 황제숙종 님의 사용자토론 문서에서 질문을 드렸으나, 제가 그 분의 의견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사용자토론:황제숙종#레이디스 코드 관련 문서)--Namoroka (토론) 2014년 10월 24일 (금) 00:11 (KST)[답변]
- @Namoroka: "조금이라도 저명성이 있는 공인이 죽으면 당연히 기사가 나오는 것 아닙니까?" 기사가 나왔으니 저명하다는 것 아닙니까? 기사 내용이 죽음 관련된 것이면 안 된다는 규정 있나요?
- 소정 검색하려고 보이스코리아 검색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다만 나머지 멤버는 그냥 병합하는 게 나아 보입니다.--Reiro (토론) 2014년 10월 24일 (금) 11:12 (KST)[답변]
- 죽었다는 사실 말고는 딱히 유명한 것이 없는데, 그것 때문에 개인 문서를 따로 만들어야 하나요? 은비와 레이디스 코드 문서를 비교해보세요. 전자에 있는 모든 내용이 후자에 이미 다 포함되어있습니다. 그리고 계속 규정, 규정 하시는데 제가 위에 보인 규정들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덧붙여서 애슐리와 주니 문서에 대해서는 어찌 생각하시나요?--Namoroka (토론) 2014년 10월 25일 (토) 00:40 (KST)[답변]
- 찾아보았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고은비씨를 따로 서술하는 건 무리인 듯합니다. 의견 철회합니다. 그리고 나머지 멤버(권리세 제외)는 '그냥 병합하는 게 나아 보입니다'라 의견 밝혀 두었습니다.--Reiro (토론) 2014년 11월 1일 (토) 20:02 (KST)[답변]
- 미처 못 봤습니다. 죄송합니다.--Namoroka (토론) 2014년 11월 3일 (월) 23:36 (KST)[답변]
모두 유지 --Darkhost (토론, 작업장) - 2014년 10월 25일 (토) 04:50 (KST)[답변]
유지 그렇게 따지자면 현재 위인전 등으로 전승되지 않는 인물을 제외한 예전에 죽었던 사람, 예를 들면 원티드의 서재호 같은 인물도 삭제되어야 한다는 얘기인가요? 해당 인물이 죽었기 때문에 저명성을 유지할 수 없다는 삭제 찬성자의 주장에 동의할 수 없습니다. ㅡ커뷰 (토론) 2014년 10월 25일 (토) 11:50 (KST)[답변]
- 은비 문서에 대해서만
유지하자는 의견이신가요?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0월 25일 (토) 11:52 (KST)[답변]
- 나머지 멤버 문서에 대해서는 해당 인물에 특별히 기록할만한 사항이 없다면
레이디스 코드에에 병합 의견입니다.ㅡ커뷰 (토론) 2014년 10월 25일 (토) 12:00 (KST)[답변]
- @커뷰: 그 질문에 대한 저의 대답은 "예" 입니다. 해당 문서도 현재 짧은 토막글 수준에 불과한데, 그런 문서들이 양산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해당 구성원들도 모두 그룹 문서에서 서술 가능한 것 아닌가요? 서재호씨도 원티드나 세븐데이즈처럼 그룹 말고는 개인적으로 활동한 것이 없습니다. 제가 계속해서 강조하는 것은 “음악 그룹 내에서 설명할 수 있는 것을 왜 굳이 별도로 만들어야 하는가”입니다. 위에 제가 가져온 백:저명성 (음악)에 대해서도 참고해보십시오.--Namoroka (토론) 2014년 10월 25일 (토) 14:01 (KST)[답변]
- @Namoroka: 은비의 죽음을 따로 슬퍼한 사람이 한 둘이 아니고, 그걸 또 넣으면 복잡해지거든요. 예시는 위의 서재호로 갈음하겠습니다.--Reiro (토론) 2014년 10월 26일 (일) 03:00 (KST)[답변]
- @Reiro: 죽음을 슬퍼한 사람이 있다는 것을 이유로 든 것이 바로 “위키백과는 추모 사이트가 아닙니다”라는 말에 위배되는 것입니다. 위 말이 영어판 정책이기는 하지만, 이 부분에 대해 반대하지는 않으시겠죠? 그리고 “그걸 또 넣으면 복잡해지거든요”라고 하셨는데, 지금 당장 은비 (1992년)와 레이디스 코드 문서의 사망 관련 단락을 비교해보십시오. 해당 부분이 너무 복잡한가요? 한국어판에는 내용이 적다면 잘 쓰여진 영어판과도 비교해보십시오.--Namoroka (토론) 2014년 10월 26일 (일) 16:00 (KST)[답변]
- @Namoroka:그건 여기다가 '고 아무개의 명복을 빕니다' 이런 거 집어 넣지 말란 소리고, 제가 말한 건 직접 애도를 표한 사람이 있는 게 '출처'로 나와 있단 말입니다. 서재호 문서로 예시는 갈음합니다.--Reiro (토론) 2014년 10월 26일 (일) 18:50 (KST)[답변]
- 그 말도 맞지만 죽기 이전에는 저명성이 없다가, 죽은 이후에 관심을 받은 사람들을 쓰지 말라는 의미로도 볼 수 있지 않나요? 은비가 죽음 외에 저명성 기준 충족합니까? 그리고 계속 서재호 문서를 갈음한다는데 무슨 부분을 보란 건가요? 서재호 문서도 충분히 그룹 문서에서 설명가능하지 않나요? 윗 단락에서도 물었는데 지금 은비 문서와 레이디스 코드 문서를 비교했을때, 레이디스 코드 문서의 사망 단락 부분이 현재 복잡합니까? 그리고 애슐리와 주니 관련해서는 어찌 생각하시는지 물어봤는데 그 부분도 답을 안 해주시네요.--Namoroka (토론) 2014년 10월 28일 (화) 23:56 (KST)[답변]
정보 난잡해져서 나중에 판단하기 힘들까바 적습니다(토론 중인 분들은 이 내용 무시해주시기 바랍니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사용자는 은비랑(75-65%) 소정에(60-55%) 대해서 유지 의견을 표현하셨습니다. 그에 반해 나머지는 삭제 의견도 여럿 보였습니다.--분당선M (토론) 2014년 10월 26일 (일) 06:05 (KST)[답변]
유지 사회적 논란이 있고 많은 기사에서 다루어진 인물이므로 전부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문서가 토막글인 경우에 한하여 일단 레이디스코드 항목에 병합하고, 추후 내용이 많아지면 분리하는 것으로 했으면 합니다.--콩가루 (토론) 2014년 10월 26일 (일) 16:07 (KST)[답변]
유지 위 콩가루 님의 의견과 같습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14년 11월 2일 (일) 02:55 (KST)[답변]
- 3일간 추가적으로 지켜본후 결과를 내도록 하겠습니다.--분당선M (토론) 2014년 11월 4일 (화) 10:21 (KST)[답변]
- @분당선M: 이제 결정하시는게 좋을듯 싶습니다.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1월 8일 (토) 13:36 (KST)[답변]
모두 유지 "쓸 내용이 없다"와 "저명성이 없다"는 다른 문제니 문서의 질은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저는 "저명성"이 정확히 무엇인지도 잘 모르겠네요.
주니(본명: 김주미, 1994년 12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로, 걸 그룹 레이디스 코드의 멤버이자 서브보컬이다.[minatak 1]
↑ 이현영 (2014년 10월 7일). “'아이돌스쿨' 애슐리·故 리세, 팀워크 돋보이는 락킹 댄스 '호흡 척척'”. 티브데일리.
- 예를 들어 주니같은 경우, 기록할만한 특출난 사항이 없으므로 병합해야 한다는 주장은 병합과 분리의 문서 관리의 차원에서 접근해야지, 저명성의 문제로 바라보아서는 안 된다고 봅니다. 저는 관리자가 아니라 문서를 병합하는 것과 분리하는 것 어느 쪽이 관리차원에서 좋은지는 모르겠지만, -최근 들어 레이디스 코드에 대한 출처가 많아진 관계로- 문서의 등재 기준이자 삭제 기준인 저명성 지침으로 생각하면 모두 '유지' 의견입니다. --MiNaTak ミナ (minaTalk / 行跡) 2014년 11월 8일 (토) 13:34 (KST)[답변]
※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